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11-23 22:03
英 안풀리는 경제… 세계 5위 대국 프랑스에 내줬다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41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81&aid=0002871788







세계 5대 경제대국인 영국이 프랑스에 5위 자리를 내주고 6위 자리로 밀려났다. 유럽연합의 간섭에서 벗어


나 독자생존을 모색하려고 추진했던 '브렉시트' 결정이 경제 불확실성만 가중시켜 영국 경제를 끌어당기고 


있는 양상이다. 필립 해먼드 영국 재무장관은 국제통화기금이 지난 10월에 발표한 올해 각국 국내총생산(G


DP) 예상치에 따르면 영국 경제순위는 세계 6위라고 공식 인정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2017년 세계 GDP 순위> (IMF) 



1위 미국 (선진국) (19조 4000억 달러)

2위 중국 (개발도상국) (11조 9000억 달러)

3위 일본 (선진국) (4조 9000억 달러)

4위 독일 (선진국) (3조 7000억 달러)

5위 프랑스 (선진국) (2조 5750억 달러)

6위 영국 (선진국) (2조 5650억 달러)

7위 인도 (개발도상국) (2조 4000억 달러)

8위 브라질 (개발도상국) (2조 800억 달러)

9위 이탈리아 (선진국) (1조 9200억 달러)

10위 캐나다 (선진국) (1조 6400억 달러)

11위 대한민국 (선진국) (1조 5300억 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7-11-23 22:03
   
전쟁망치 17-11-24 00:06
   
역시 경제 규모는 다른 나라와의 교역 규모도 매우 중요하지
브렉시트 이후 프랑스에게 규모에 밀릴것이란 것은 자명한 일

같은 경우로 보았을때 우리와 러시아가 극동 개발을 적극적으로 할 경우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도 더욱 커질것이라 전망

원래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경제 규모 위치는 5위 7위 사이인데
통일후 4-5위 사이
이후 러시아와 극동 개발로 4위 점차적으로 북한지역 경제 개발 고도 성장과 함께 5위 에서 왔다갔다

이것이 나의 시나리오
     
스크레치 17-11-24 22:42
   
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대한민국이 경제 규모를 확 키울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은 이제 통일 정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통일하면 당장 인구가 8000만명 가까이 되고

그동안 안쓰던 북한의 땅과 자원, 인구들을 제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당장은 힘들어도 장기적으론 긍정적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제 개인적인 희망이 북한이 제발 통일되기 직전에

현재의 베트남 정도의 경제 수준과 개방도 만이라도 보유한 채로 통일이 되면

훨씬 통일 후 발전이 빨라질텐데 하는 아쉬움은 있습니다.

그리만되면 대한민국의 세계적인 제조업 기술과 자본이 투자되어 금방 시너지가 생길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지금 북한수준은 국민소득이 1천달러도 안되는 최빈국 수준에 거의 근접해 있어

대한민국과 격차가 너무 심합니다.


어차피 이제 대한민국과 경제 격차를 줄이는건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고

통일 후 발전을 위해서라도 북한이 어느정도는 개발이 되어 있는 상태로 통일을 맞이하는것이

여러모로 긍정적일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지금의 개인숭배 우상화 수준 북한 독재 상황으로는 그것이 힘들어보인다는게 한계이긴 하네요
          
축구사랑인 17-11-25 01:19
   
우리가 좀더 분발하면 영,프 정도까지 갈것 같습니다.
굳이 외연확대 하지 않더라도 가능할거라 봅니다.
통일을 우린 희망으로 보는 분들이 많은데 우리 경제가 얼마정도 되어야 통일시 충격을 버틸수 있는지는 모릅니다.
통일로 엄청난 혼란수습이 10년,20년 걸릴지 모릅니다.

최소한 gdp 2조달러이상 되어야 우리경제가 혼란이 최소화되지 않을까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스크레치 17-11-25 21:18
   
통일에 대한 혼란 얘기도 적극 공감합니다.

저도 준비없는 통일은 오히려 재앙일거라는 생각이 강합니다.

이렇게 남북한 경제적 격차가 하늘과 땅 이상으로 벌어진 상황에서 합쳐지면

그야말로 엄청난 혼란이 가중될것이고


여러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한 후 통일을 해야할거란 생각에 동의합니다.


북한의 경제력을 어느정도 끌어올린후 통일을 하거나

통일 후 한동안은 경제는 현 중국/홍콩 체제처럼 분리를 시키는 방법 등등
zerosnl 17-11-24 03:32
   
대처가 제조업을  싸그리  뭉개버리고 금융에 올인했는데
그땐 찬양했지만 두고두고 발목을 잡을듯합니다
Seamless 17-11-24 10:13
   
의미없음. 파운드화 약세에 따른 차이임.
rozenia 17-11-24 15:11
   
20-30년이면 영국프랑스도 못잡을것 같지는 않다는 막연한 느낌 ;;;
스크레치 17-11-24 22:36
   
윗분 말대로 제가 봐도 파운드화/유로화 차이가 큰거같습니다.

이번에 유로존 지역에 있는 국가들은 다같이 국민소득이 2~3천달러 뻥튀기가 되었거든요

환율이 좋게 나와서 역전한거지 딱히 프랑스/영국이 경제성장률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는거

같습니다.
abwm 17-11-26 02:53
   
영국이 eu에서 나가면 힘들어질꺼라는건 모두 예상하고있었던건데. 결국 유로화가치가 파운드화보다는 높을께 뻔하고, 그로인한  차이가 벌어진게 아닌가 싶네요. 이건 앞으로 더 심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백마 17-11-26 09:11
   
1.북이 새로운자유경제체재로전환뒤  현재의 중국1인당gdp8000$수준까지도달하는데 걸리는기간20~30년.
가령 그때 한국의1인당GDP60000$와 북의 8000$통일된다면 그30년후 북과남의 1인당gdp는 동일수준으로 수렴.

2세대60년후 비슷한수준이됨.
지금의 동독서독을 보면 그렇게 유추할수있슴.통일???글쎄올시다.
전쟁망치 17-11-26 10:20
   
북한과의 통일은 당장은 할 필요 없어요.
최소한 공산정권 무너지고 민주정권만 들어서도 성공 입니다.
이후는 교류를 점차 확대하면 통일은 시간 문제 거든요.
왜냐하면 교류가 확대되면, 서로의 차이를 좁힐 수 있거든요 자연스럽게
최대의 주제는 북한 지역의 발빠른 경제 개발 입니다.
러시아와의 극동 개발이 꽤 큰 영향을 줄 겁니다
순전히 모든 자본을 우리돈으로 해결 할 부담이 줄거든요.
북한은 아시아에서 1인당 소득이 제일 떨어 집니다 즉 인건비가 싸다는 거죠.
중국에게 위협적인 제조업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어요 거기다가 바로 태평양 진출 할 수 있는 항구가 있죠
러시아를 통하여서 유럽대륙으로 갈수 있고
한국.러시아 극동개발이 시작되면 북한도 거기에 수혜를 받을수 있습니다.
중국이나 동남아에 진출한 선진국 기업들도 투자 할 거구요
선택의 폭은 어마어마 합니다 다들 시야좀 넓게 가지세요
다들 너무 시야가 좁으심
멀리뛰기 21-01-02 08:57
   
英 안풀리는 경제… 세계 5위 대국 프랑스에 내줬다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1:50
   
英 안풀리는 경제… 세계 5위 대국 프랑스에 내줬다 감사^^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10
14384 삼성전자, 반도체 투자도 압도적 1위 (3) 스크레치 11-18 1509
14383 현대·기아차, 올 유럽 점유율 6.4%…역대 최고 수준 (3) 스크레치 11-18 1966
14382 삼성, 세계 반도체 1위 굳히기..압도적 투자까지 (3) 스크레치 11-18 3192
14381 외국 독점 체제 깰 '광학렌즈 가공' 원천기술 나… (3) 케인즈 11-18 2632
14380 제가 일뽕은 아닌데 너무 어처구니 없는 발언하시는분들… (8) Solitarie 11-18 2273
14379 中 일대일로 잇단 타격…파키스탄도 댐 건설 않기로 (4) 스크레치 11-18 3303
14378 테슬라 신차 근황[외계인고문수준] (7) 케인즈 11-18 4207
14377 러시아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7년 3분기) (3) 스크레치 11-18 4097
14376 40조 석유 주식 내다판다는 석유대국 노르웨이, ‘석유의… (9) 스크레치 11-18 5544
14375 세계 서버D램 점유율 순위 (2017년 3분기) (3) 스크레치 11-18 4456
14374 세계 D램시장 점유율 순위 (2017년 3분기) (4) 스크레치 11-18 5455
14373 선진국 TOP10 수출대국 순위 (2017년) (13) 스크레치 11-19 6840
14372 트럼프의 미국보호무역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10) ㄱㅈㅎ 11-19 2389
14371 '요금할인 25%' 직격탄 알뜰폰 경영 위기 ~ (2) 블루하와이 11-19 2728
14370 대출금리 다시 상승...은행 이자수익 5년 만에 최대 ~ (6) 블루하와이 11-19 3057
14369 유럽 자동차시장 한국-일본 기업 판매량 순위 (2017년) (8) 스크레치 11-20 5863
14368 삼성 반도체 인텔 잡고 세계1위… SK하이닉스 3위로 급등 (12) 스크레치 11-20 6562
14367 월드컵 진출국 경제순위 (2018년) (5) 스크레치 11-21 5899
14366 삼성 낸드플래시 점유율, 2위 도시바와 최대격차 (5) 스크레치 11-22 5512
14365 英 안풀리는 경제… 세계 5위 대국 프랑스에 내줬다 (14) 스크레치 11-23 4413
14364 삼성D, 내년 6세대 OLED 新공장에 최대 5조 투자 (3) 스크레치 11-23 3434
14363 '와신상담' 삼성, 7나노 파운드리 美·中 고객사 … (4) 스크레치 11-23 5223
14362 1인당 GDP 올 3만달러 '깜짝 돌파' 할까 (18) 스크레치 11-23 6742
14361 세계 GDP 근황 (13) 레스토랑스 11-24 6820
14360 롯데, 인도 아이스크림 제조사 인수…최대 50억弗 투자 (18) 스크레치 11-24 5460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