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7-18 05:42
한국, 터키·폴란드와 비슷한 5.8달러 수준…세계는 임금 올려 소비 진작 ‘선순환’ 추구
 글쓴이 : 스쿨즈건0
조회 : 5,178  

한국, 터키·폴란드와 비슷한 5.8달러 수준…세계는 임금 올려 소비 진작 ‘선순환’ 추구
  
 
ㆍ뉴욕시, 내년 15달러 목표.
 
지난해 미국 대선 캠페인 때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나선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은 7.25달러인 연방 최저시급을 15달러로 올리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경쟁자였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당초 12달러로 올리겠다고 했다가 샌더스 측 의견을 받아들였고, 전당대회에서 채택된 민주당 강령에 ‘최저시급 15달러’를 못 박았다. 버락 오바마 정부 시절부터 미국에서 최저시급 인상은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왔다. 미국은 연방정부가 정한 최저임금은 말 그대로 ‘하한선’일 뿐, 주별로 이를 기준 삼아 최저임금을 정한다. 연방 최저시급을 10달러로 올리자는 오바마 정부의 제안은 공화당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됐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해 대선 때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했다.

지난해 10월 현재 미국 50개주 가운데 29개주는 연방정부 최저시급보다 높은 액수를 채택. 올 1월 매사추세츠주와 워싱턴주는 최저시급을 미국 내 최고액인 11달러로 올렸다. 뉴욕시는 2018년까지 최저시급 15달러를 달성할 계획. 특히 2013년부터 저임금 시간제 노동자들의 ‘15달러를 위한 싸움(Fight For $15)’과의 연대시위가 곳곳에서 벌어지면서, 맥도널드와 월마트 등 패스트푸드·유통업체들이 잇달아 임금을 올렸다. 1980년대 이후 세계 기업들의 경쟁은 주로 비용 절감, 특히 인건비 줄이기에 맞춰져 있었으나 이제는 노동자 임금을 올려 소비를 진작시키는 선순환을 만드는 것이 저성장 시대 각국의 생존전략으로 떠올랐다. 일본에서도 정부가 임금 인상을 선도하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난 3월 발표한 노동개혁안에 “최저임금을 연 3%씩 올려 최저시급 1000엔을 달성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일본 정부는 2015년 최저시급을 사상 최대 폭인 18엔 인상한 데 이어 2016년 다시 최대 폭인 24엔 올린 822엔으로 결정. 도요타자동차를 비롯해 닛산, 혼다, 도시바 등 대기업들도 줄줄이 기본급을 인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 중 2015년 기준 최저시급이 가장 높은 곳은 11.2달러인 프랑스이고 호주(11.1달러), 룩셈부르크(11달러), 독일(10.3달러), 벨기에(10.2달러) 순. 한국은 이스라엘, 터키, 폴란드와 비슷한 5.8달러 수준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쿨즈건0 17-07-18 05:42
   
한국, 터키·폴란드와 비슷한 5.8달러 수준…세계는 임금 올려 소비 진작 ‘선순환’ 추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32&aid=0002803048
백마 17-07-19 11:03
   
달러대비 원화절상속도가 빨라진다. 몇년간게속될거같다.
한국최저시급을 달러표시하여 년간상승시키먀 달러표시최저시급도 10$에 도달하고...흠
갈길은 멀고...
Marauder 17-07-19 16:21
   
미국도 7.25달러였다는 뜻
멀리뛰기 21-01-02 08:33
   
한국, 터키·폴란드와 비슷한 5.8달러 수준…세계는 임금 올려 소비 진작 ‘선순환’ 추구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1:29
   
한국, 터키·폴란드와 비슷한 5.8달러 수준…세계는 임금 올려 소비 진작 ‘선순환’ 추구 좋은글~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08
14383 [전기/전자] "중국발 치킨 게임은 없다"...낸드업계, '96단·쿼드… (32) 스크레치 06-13 5189
14382 [전기/전자] `타도한국` 외쳤던 日액정기업 JDI…7년만에 백기 (18) 스크레치 04-05 5189
14381 [전기/전자] 삼성 5G통합칩 세계최초 "연내 양산 돌입" (28) 스크레치 09-04 5189
14380 [전기/전자] '韓 해저 케이블' [세계 최고 도전하는 K-TECH] (21) 진격 09-23 5188
14379 [전기/전자] 미국 中 SMIC 제재 검토 (9) 스크레치 09-05 5188
14378 [전기/전자] 日보다 먼저 삼성SDI, 세계 최초 전고체전지 상용화 '… (20) 스크레치 06-10 5186
14377 [자동차] 애플카 생산위해 日도요타와도 논의 (17) 스크레치 09-04 5186
14376 [전기/전자] EUV가 뭐길래..미중 반도체 패권전쟁 격화에 유탄 맞은 SK… (14) 사랑하며 11-20 5186
14375 “환율조작국 될라” 긴장하는 정부 (6) 스테판커리 04-12 5185
14374 삼성, 1,000배 빠른 속도의 ‘MRAM’ 다음 달 공개 (9) 스크레치 04-27 5185
14373 [전기/전자] "미래 IT 주도권 한국에 넘어간다" 日의 견제, 美의 계산 … (33) 술먹지말자 08-10 5185
14372 [전기/전자] KAIST, 저전력·고속 트랜지스터 개발…비메모리 분야 활… (8) 진구와삼숙 02-20 5185
14371 중국의 대도시가 세계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이유 (3) Shark 09-17 5183
14370 [자동차] 日 전기차의 추락…도요타·닛산 올들어 '글로벌 톱10… (35) 스크레치 11-18 5183
14369 [잡담] (일.대)한국남 꼬추 6CM..한국 이미지 크게 실추 (15) 도다리 01-01 5183
14368 [자동차] 日렉서스 도요타 사라졌다..수입차 시장에 무슨 일이? (21) 스크레치 11-18 5182
14367 [잡담] 카타르 LNG선 100척 수주발표 (5) TTTTTTT 06-01 5180
14366 한국, 터키·폴란드와 비슷한 5.8달러 수준…세계는 임금 … (5) 스쿨즈건0 07-18 5179
14365 [전기/전자] 대만 HTC, 1500명 해고…애플·삼성 고래싸움에 시장점유율… (18) 스크레치 07-08 5179
14364 [기타경제] 남미 대륙 1인당 국민소득 현황 (2019년) (11) 스크레치 01-25 5178
14363 "중국과의 최악 상황, 곧 끝날 것"…18일 분수령. (15) 스쿨즈건0 10-14 5176
14362 [전기/전자] 트럼프도 놀란 삼성공장...“What the hell is that?” (4) 스크레치 07-04 5176
14361 [전기/전자] “中 반격카드 위협적, 美 ‘AI반도체’ 규제 실패할수도… (9) 나이희 09-11 5176
14360 카드사-가맹점, 수수료 인상 신경전 점입가경…결국 인… (2) 블루하와이 01-22 5175
14359 SK하이닉스, 세계 최고 '96단' 낸드플래시 개발 본… (8) 스크레치 12-09 5175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