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10-11 15:00
[기타경제] 中 '중진국의 덫 빠지지 말자.. 반도체·전기차 키우는 中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130  

https://news.v.daum.net/v/20201006050717452







국민소득이 1만불 내외가 된 중국 

아직 개발도상국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나 


결국 언젠가 찾아올 "중진국 함정"을 벗어나기 위해 

궁극적으로는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해야한다는 점은 중국도 잘 알고 있는듯합니다. 



문제는 자동차나 반도체 산업 등 가장 핵심 제조업 분야에서  

그렇게 쉽게 세계적인 강국으로 도약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이겠죠 



현재 자동차, 반도체 산업 모두 강국인 나라는 

대한민국, 미국, 유럽 일부국가 정도니까요 







[참고]




<아시아 1인당GDP 순위> (명목기준) (2018년 IMF 최종확정판) 




1. 카타르 (7만 379 달러) 
2. 싱가포르 (6만 4579 달러) 
3. UAE (3만 9709 달러) 
4. 일본 (3만 9304 달러) 
5. 대한민국 (3만 3320 달러) 

--------------------------------- 아시아 TOP5 부자나라 

6. 쿠웨이트 (3만 969 달러) 
7. 브루나이 (3만 668 달러)

--------------------------------- 아시아 1인당GDP 3만달러 이상 7개국 현황 

8. 바레인 (2만 5483 달러) 
9. 대만 (2만 5008 달러) 
10. 사우디아라비아 (2만 3539 달러) 

--------------------------------- 아시아 1인당GDP 2만달러 이상

11. 오만 (1만 8970 달러) 
12. 몰디브 (1만 4571 달러) 
13. 말레이시아 (1만 1072 달러) 

--------------------------------- 아시아 1인당GDP 1만달러 이상

14. 중국 (9580 달러) 
15. 카자흐스탄 (9401 달러) 
16. 레바논 (9251 달러) 
17. 태국 (7448 달러) 
18. 투르크메니스탄 (7065 달러) 
19. 이라크 (5882 달러)
20. 이란 (5417 달러) 

--------------------------------- 아시아 1인당GDP 5천달러 이상

21. 요르단 (4270 달러) 
22. 스리랑카 (4099 달러) 
23. 몽골 (4017 달러) 
24. 인도네시아 (3871 달러) 
25. 부탄 (3160 달러) 
26. 필리핀 (3104 달러) 
27. 라오스 (2566 달러) 
28. 베트남 (2551 달러) 
29. 동티모르 (2164 달러) 
30. 인도 (2038 달러) 
31. 방글라데시 (1749 달러) 
32. 파키스탄 (1565 달러) 
33. 우즈베키스탄 (1550 달러) 
34. 캄보디아 (1504 달러) 
35. 미얀마 (1300 달러) 
36. 키르기즈스탄 (1293 달러) 
37. 네팔 (1034 달러)

--------------------------------- 아시아 1인당GDP 1천달러 이상

38. 타지키스탄 (826 달러) 
39. 아프가니스탄 (545 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0-10-11 15:01
   
다크드라코 20-10-11 15:26
   
제로섬 게임에 중공이 선택한 방법은 특허권 무시, 기술탈취, 자국기업 보조금 무제한 등으로 대처했죠.

게임이란 규칙이 존재한다는 거고, 규칙을 지키지 않을때 퇴출이 벌어지죠.

제로섬 게임의 막차가 대한민국이기에 이후 어떤 국가가 선진국이 될 수 있을까요. 저는 없다고 봅니다.
     
스크레치 20-10-11 15:29
   
그러나 그 방법은 이제 미국이 중국 반도체 산업을 싹부터 자르기 위해

제재 들어가서 끝이 났습니다.


뭐 어차피 자동차 산업

내연기관은 기술력의 한계로 중국이 일찌감치 포기한 상황이구요


따라서 자동차 산업중에서도 전기차 분야에만 자국 내수 위주로 올인해서 키우려고 하는데

문제는 세계에서 팔리지 않으면서

점점 쓰레기로 전락하고 있다는 사실...


결국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에서 중국이 강국이 되기엔 이미 늦었습니다.




대한민국은 빠르게 경제발전을 시작한것도 있고

중국이 발전하기 전에 빠르게 경제발전을 한 운도 타고났습니다.

중국이 도약하기전에 경제성장과 제조업강국으로 모두 도약을 한 상황이라...


역으로 중국이 도약한 뒤에 경제성장과 제조업 발전을 시작했다면

싸구려 중국산에 밀려서 꽃도 못 피우고 다 중간에 무너졌을 가능성이 매우 컸다고 봅니다.
          
다크드라코 20-10-11 15:34
   
제가 옛날 샌드위치론 얘기를 들을때 친구들에게 거의 불가능하다고 했던 이유

중공도 우리가 격은 실련을 똑같이 격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처럼 극복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라고

얘기했는데 지금 20년이 지나고 보니 제 얘기가 맞는 쪽으로 흐르고 있죠. 역시 세상에 공짜는 없다.
               
스크레치 20-10-11 15:50
   
대한민국은 국민들과 정부 모두가 피땀흘려 세계 주요 선진국으로 도약한 원동력이고

전 개인적으로 운도 상당히 따라줬다고 봅니다.

(중국이 발전하기전 빠르게 도약한점)


가끔 중국이 발전한 다음에 우리가 발전 시작했으면 하고 생각해보면

아찔할때가 많습니다.
                    
다크드라코 20-10-11 16:07
   
6.25가 대한민국을 죽이기도 했지만, 살리기도 했다.
(미국의 원조가 아프리카 대륙전체보다 많았다)

중공은 6.25로 망했지만, 소련으로 흥했다. 대한민국과 중공의 순서는 우연이라기 보다

운명에 가깝죠. 모두 미국에 의한 발전이라 순서는 정해져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노력이 없었으면 불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잊을만하면 20-10-11 16:06
   
이론상 중국이 중진국이 가능한지 부터가 의문입니다.
인구 14억이 개인 gdp 2만불까지 올린다? 불가능하죠.
그정도 가려면 전세계 모든 산업에서 1위를 차지해야 가능할수 있을까? 싶군요.
반도체 하나로는 어림도 없고요.
7개 정도로 쪼개지면 하나정도는 중진국까지 갈수도 있을 것 같군요.
돌아온장고 20-10-11 17:36
   
지구를 위해서라도 중국은 후진국으로 계속 있어여 됌.
     
스크레치 20-10-11 21:03
   
개발도상국에서 벗어나긴 어려울겁니다.

중국의 소득증가보다

선진국들 소득증가가 현재 더 빠르거든요
     
carlitos36 20-10-12 12:09
   
완전 공감합니다
wolfpaw 20-10-12 06:54
   
그 덩치에 중진국을 벗어나려면... 흠..
신서로77 20-10-13 08:20
   
중국은 중진국에서 벗어나고 싶지않아해요...그걸 떠나서 중국이 민주화는 가능할까요?..
수염차 20-10-13 21:03
   
중진국이란건 없죠
선진국 후진국만 잇을뿐입니다.....ㅋ
인생은수레 20-10-30 11:24
   
대단하네요
 
 
Total 3,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54 [기타경제] 뜨거워지는 동유럽 원전시장...'루마니아'는 미국… (1) 스크레치 10-16 2299
1353 [기타경제] 신형 KTX 고속열차 '국산기술'로 달린다 (14) 스크레치 10-16 2911
1352 [기타경제] SK바이오팜 간질 신약, 日에 5800억 기술수출 (6) 스크레치 10-16 1789
1351 [기타경제] 韓조선업계 ‘막판 스퍼트’…LNG선 대규모 발주 기대감… (19) 스크레치 10-15 3932
1350 [기타경제] 넷마블이 품은 코웨이, 간판 바꿨다 (4) 대한사나이 10-15 1994
1349 [기타경제] 베트남GDP 싱가폴 추월 (4) 스크레치 10-15 3629
1348 [기타경제] [세계순위] 국가별 GDP 대비 R&D 투자 순위 (3) 호이짜아 10-15 1853
1347 [기타경제] 3만불대 국민소득 선진국 현황 (IMF. 2020년 10월 최신판 기… (19) 스크레치 10-15 2477
1346 [기타경제] 메이드인 차이나=싸구려 인식이 바뀌고 있다 (45) 스크레치 10-14 6111
1345 [기타경제] 주요선진국 1인당GDP 현황 (IMF. 2020년 10월 최신판 기준) (1) 스크레치 10-14 1560
1344 [기타경제] 이탈리아 韓1인당GDP 같아져 (IMF. 2020년 10월 최신) (30) 스크레치 10-14 5241
1343 [기타경제] 코로나로 中만 이득…CNN "중국 경제만 상승" (12) 스쿨즈건0 10-14 3828
1342 [기타경제] 일본 여유있게 추월했네요 (1인당GDP) (PPP기준) (9) 스크레치 10-14 3579
1341 [기타경제] 세계 10대 경제대국 순위 (2020년 10월 IMF 최신판 드디어 … (18) 스크레치 10-14 3284
1340 [기타경제] 中 네티즌 역성에..韓삼성·현대차·휠라 BTS광고 내렸다. (65) 스쿨즈건0 10-13 7433
1339 [기타경제] 최근 imf에서 2021 예상 경제성장률이 나왔는데 (13) 변딸기 10-12 5985
1338 [기타경제] 韓에 역전당한 선진국 현황 (1인당GDP 기준) (47) 스크레치 10-12 9840
1337 [기타경제] 그리스 물량 싹쓸이 韓 K조선 세계톱 질주 (6) 스크레치 10-12 6688
1336 [기타경제] ‘강제징용’ 일본제철 주식 매각명령 12월9일부터 가능… (8) 스쿨즈건0 10-12 2822
1335 [기타경제] 호주 총리 "韓과 여행 재개 검토" (7) 스크레치 10-11 3881
1334 [기타경제] 내일부터 대형학원·뷔페 등 운영재개..유흥시설 등은 인… (2) 스크레치 10-11 1371
1333 [기타경제] 中 '중진국의 덫 빠지지 말자.. 반도체·전기차 키우… (14) 스크레치 10-11 4131
1332 [기타경제] 트럼프 관세폭탄 맞은 中 '코로나 수요'에 대미… (4) 스쿨즈건0 10-11 4301
1331 [기타경제] 韓 기선제압 中도 칼간다 '세계 첫 LNG추진선' (25) 스크레치 10-10 5759
1330 [기타경제] 노재팬 타격 유니클로 연달아 새 매장…올해 4곳 열… (36) 스쿨즈건0 10-10 5505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