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26 17:57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개발 초읽기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3,432  


2018.6.22 광주MBC 영상


크게 업데이트 된 내용은 없지만 다시 봐도 설레네요.

시험발사가 이제 4개월도 채 안 남았네요....두근두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6-26 18:24
   
귀요미지훈님의 업데이트 새로운 소식 늘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ㅋ

한국형 발사체 이제 완성이 되어서

어느덧 시험발사 남겨두고 있다고 하니


시간이 참 빠르게 흘러가긴 가는거 같네요

성공 화이팅!


그리고 연구진분들 언제나 수고 많습니다.
     
귀요미지훈 18-06-26 18:44
   
그러게요. 이제 4개월 앞두고 있네요.

잘 될거 같은 느낌적 느낌입니다.

2021년 정식발사 성공하면 그 날을 '우주의 날'로 지정하고 공휴일로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박물관이나 테마공원도 만들어서 아이들이 많이 가서 볼 수 있게요.
          
스크레치 18-06-26 18:57
   
좋은 생각입니다.

어차피 이미 엔진개발은 성공해서

설령 처음에 잘 안된다고 해도 앞으로 계속 발사체 만들어서 시도할수 있을것이고

잘 될겁니다.



기존에는 저 우주발사체 핵심인 엔진기술이 없어서

러시아에서 제공한 발사체에 한정되어 성공못하면 끝이었지만


이젠 우리가 스스로 발사체를 다 만들수 있어서

언제든 다시 쏘아올리면 됩니다.
베렉투스 18-06-26 21:44
   
궁금한데.... 진짜 믿기어려워서 그런데요....

진짜로 우리나라 연구원분들

엔진을 어떤 다른 나라의 도움도 없이 스스로 혼자 이렇게 만들어낸 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정말 말도안되게 적은 재원으로 이렇게 빠른 성과를 낸건.... 진짜 우리 연구원분들 몸이 남아나질 않으셨겠다는....
     
좋은비 18-06-26 21:56
   
우리나라가 이만큼 된것도 다른여타 선진국사람들처럼 일하고 쉬고 했으면 이정도 위치에 이렇게

빨리 올라오지 못햇을거라고 봅니다

제가 보기엔 연구원들 갈아내는듯해요 생산직처럼 2교대로 하는것도 아니니 정말 수고가 많습니다

조금만 버텨주세요 여러분들을 인정해주는 날이 오고 금전적 보상도 함께하는날이 올거라 생각합니다
          
베렉투스 18-06-26 22:08
   
진짜로 아무런 외국의 지원없이 해낸건가요??
ㅎㄷㄷㄷㄷ
     
영어탈피 18-06-26 22:29
   
러시아꺼 엄청많이 배낀거임
          
귀요미지훈 18-06-26 22:47
   
러시아랑 같이 프로젝트 하면서 기술습득한거지....말을 해도 참 지랄맞게 해요..ㅋㅋ

그렇게 따지면 러시아랑 미국은 독일 기술자들 데려다가 독일꺼 고대로 베낀건가?
               
세뇨르 18-06-26 23:22
   
어허~! 말을 이쁘게 합시다. 지랄이 풍년스럽습니다! 라고 하세요. ㅎㅎ
                    
정말미친뇸 18-06-27 00:02
   
염병하내
          
베렉투스 18-06-27 00:23
   
러시아는 엔진기술 안 줬다는데요?

그리고 1단은 러시아에서 조립해서 들고온걸로 알고있습니다.

우리가 습득할수 있는건 없는것 같네요.
               
마이크로 18-06-27 10:58
   
나로호때 엄청많은 기술을 습득했다고 들었습니다.  최고의 석학들의 눈으로 보는것만으로도 상당히 발전이 생긴다고 그래서 수천억들여서 실패(고의실패) 3번? 이나 하면서 배운거죠. 정비할때 근처도 못오게했지만 한국에 있는데 어떻게든 볼방법도 있는거고. ㅎㅎ

여튼 러시아기술이 많이 들어간건 맞는거 같더라구요.
                    
베렉투스 18-06-27 13:51
   
엔진을 러시아에서 조립해서 들고왔는데

어떻게 기술습득을 하나요??

아무래도 발사통제 시스템을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엔진은 정말 멘땅에 해딩해서 개발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가생이 밀게에서도 그렇게 들었고요
멀리뛰기 21-01-02 14:32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개발 초읽기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21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개발 초읽기 멋진글~
 
 
Total 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 [과학/기술] 피부에 붙이는 투명스피커와 마이크 현실로 나온다 (3) 진구와삼숙 08-04 1603
92 [과학/기술] CPU의 종말시대가 오는가?? 다가올 SCM의 시대 (13) 두개의시선 08-04 3735
91 [과학/기술] 포스텍, 기가스틸보다 강하고 유연한 철강 개발 메커니… (5) 귀요미지훈 07-28 2855
90 [과학/기술] 아모텍, 적층형세라믹콘덴서(MLCC) 시장 '출사표' (9) 4457205 07-26 2842
89 [과학/기술] 中기업의 민낯 … 핵심 부품 95% 해외 의존 (28) 귀요미지훈 07-20 7356
88 [과학/기술] 국내 연구진, 합금 촉매 화학반응 촉진 원리 찾았다 (4) 귀요미지훈 07-14 2059
87 [과학/기술] 세계 최대규모 '중이온 가속기' 프로젝트 (4) 귀요미지훈 07-14 2772
86 [과학/기술] 나노미터까지 보는 현미경 기술 개발 (3) 진구와삼숙 07-11 3035
85 [과학/기술] 서울대 공대, 478배 빠르고 정확한 '검색 알고리즘'… (3) 진구와삼숙 07-11 3017
84 [과학/기술] KAIST, 연료전지 전극 반응성 1000배 향상 기술 개발 (8) 진구와삼숙 07-09 3325
83 [과학/기술] 한국형 발사체, 마지막 종합연소시험 성공 (8) 귀요미지훈 07-05 3233
82 [과학/기술] KAIST, AI 기반 드론 자동 이착륙 기술 개발 (3) 귀요미지훈 07-03 1843
81 [과학/기술] '고무처럼 늘어나는' 배터리 제조기술 찾았다 (3) 귀요미지훈 07-03 2096
80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개발 초읽기 (15) 귀요미지훈 06-26 3433
79 [과학/기술] 2018.6월 수퍼컴퓨터 순위 (8) Banff 06-26 3152
78 [과학/기술] 화학연, 3차원 인공나뭇잎 개발…햇빛만으로 포름산 생… (6) 진구와삼숙 06-19 1525
77 [과학/기술] CCTV·블랙박스 '사각지대' 사라질까…신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6-18 2464
76 [과학/기술] 기술격차 1년내로 좁힌 中, 64단 3D 낸드 납품…'메모… (12) 공노비 06-13 3612
75 [과학/기술] 과기정통부, 국가 핵심 기술수준평가 제도 개선 (3) 케인즈 06-11 1295
74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3) 공노비 06-10 1504
73 [과학/기술] 낸드플래시 新기술 경쟁…"올해 QLC 시대 열린다" (6) 공노비 06-10 2131
72 [과학/기술] KAIST, 대용량에 폭발 위험 없는 2차전지 개발 (10) 진구와삼숙 06-06 2115
71 [과학/기술] 삼성전자 `32GB 노트북 D램 모듈` 업계 첫 양산 (2) 보면짖는개 05-30 2388
70 [과학/기술] 전자피부 시대…최대 18.8배 늘어나는 전극 개발 (3) 진구와삼숙 05-30 1245
69 [과학/기술] DGIST, 1000배 빠른 빅데이터처리 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5-29 2459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