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7-05 20:00
[과학/기술] 한국형 발사체, 마지막 종합연소시험 성공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3,229  

▲ 10월 시험발사체 발사를 위한 마지막 테스트 성공

▲ 실제 비행시간 140초를 넘어선 154초간 엔진가동

▲ 연소성능, 방향제어, 전자장비 등 종합적인 성능 테스트 성공

▲ 75톤 액체엔진, 7톤 액체엔진 개발 및 연소시험 모두 성공, 현재 마지막 단계인 클러스터링 기술개발 단계에 와 있음.

▲ 러시아의 도움을 받았던 나로호와 달리 이번 한국형 발사체는 발사체와 엔진기술 모두 국내기술로 개발

▲ 2018년 10월 75톤 엔진 1기를 장착한 시험 발사체 발사예정

▲ 2021년 정식발사 예정(2월, 10월 2차례) - 1단 75톤 엔진 4개 + 2단 75톤 엔진 1개 + 3단 7톤 엔진 1개 + 1.5톤 아리랑 위성으로 구성 600~800km 궤도에 안착시키는 것이 목표



캡처.JPG

캡처.JPG


------------------------------------------------

발사체와 엔진 모두 국내기술로 개발.

한국형 발사체는 캐로신 클러스터링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일본 발사체 가격의 절반 정도로 발사가 가능,

향후 미국, 러시아 등과 세계 시장에서 경쟁이 가능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더군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18-07-05 20:04
   
FOREVERLU.. 18-07-06 06:22
   
대한민국은 한다면 한다.
우주 패권을 향하여~~~
영어탈피 18-07-06 10:15
   
사실 러시아 한테 기술 이전 받는거나 다름 없다라고 봐야죠
     
귀요미지훈 18-07-06 18:09
   
기사 내용도 안 보고 또 헛소리...ㅋㅋ
스크레치 18-07-06 21:54
   
세계적인 제조업 강국 대한민국이 늘 아쉬웠던 분야였던

우주기술도 드디어 확보를 한거 같습니다.


정말 감동이고

연구진분들의 노력이 가장 컸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응원하겠습니다.

우주기술 확보하는데 앞으로도 어떤 시련과 실패 혹은 고난이 오는건 너무도 당연한것이니

실패 전혀 두려워말고 물러서지 말고 도전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주 발사체 기술을 확보했으니

이제 다시 우리가 만들어서 쏘아올리면 그만이니까요
라거 18-07-09 08:03
   
조만간 발사한다고 했으니 항공우주 관련 주식좀 사야겠네요. 비**테크 같은데...
멀리뛰기 21-01-02 14:33
   
[과학/기술] 한국형 발사체, 마지막 종합연소시험 성공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22
   
[과학/기술] 한국형 발사체, 마지막 종합연소시험 성공  잘 보았습니다.
 
 
Total 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 [과학/기술] 피부에 붙이는 투명스피커와 마이크 현실로 나온다 (3) 진구와삼숙 08-04 1601
92 [과학/기술] CPU의 종말시대가 오는가?? 다가올 SCM의 시대 (13) 두개의시선 08-04 3733
91 [과학/기술] 포스텍, 기가스틸보다 강하고 유연한 철강 개발 메커니… (5) 귀요미지훈 07-28 2854
90 [과학/기술] 아모텍, 적층형세라믹콘덴서(MLCC) 시장 '출사표' (9) 4457205 07-26 2840
89 [과학/기술] 中기업의 민낯 … 핵심 부품 95% 해외 의존 (28) 귀요미지훈 07-20 7349
88 [과학/기술] 국내 연구진, 합금 촉매 화학반응 촉진 원리 찾았다 (4) 귀요미지훈 07-14 2056
87 [과학/기술] 세계 최대규모 '중이온 가속기' 프로젝트 (4) 귀요미지훈 07-14 2769
86 [과학/기술] 나노미터까지 보는 현미경 기술 개발 (3) 진구와삼숙 07-11 3030
85 [과학/기술] 서울대 공대, 478배 빠르고 정확한 '검색 알고리즘'… (3) 진구와삼숙 07-11 3014
84 [과학/기술] KAIST, 연료전지 전극 반응성 1000배 향상 기술 개발 (8) 진구와삼숙 07-09 3321
83 [과학/기술] 한국형 발사체, 마지막 종합연소시험 성공 (8) 귀요미지훈 07-05 3230
82 [과학/기술] KAIST, AI 기반 드론 자동 이착륙 기술 개발 (3) 귀요미지훈 07-03 1840
81 [과학/기술] '고무처럼 늘어나는' 배터리 제조기술 찾았다 (3) 귀요미지훈 07-03 2094
80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개발 초읽기 (15) 귀요미지훈 06-26 3428
79 [과학/기술] 2018.6월 수퍼컴퓨터 순위 (8) Banff 06-26 3149
78 [과학/기술] 화학연, 3차원 인공나뭇잎 개발…햇빛만으로 포름산 생… (6) 진구와삼숙 06-19 1522
77 [과학/기술] CCTV·블랙박스 '사각지대' 사라질까…신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6-18 2461
76 [과학/기술] 기술격차 1년내로 좁힌 中, 64단 3D 낸드 납품…'메모… (12) 공노비 06-13 3607
75 [과학/기술] 과기정통부, 국가 핵심 기술수준평가 제도 개선 (3) 케인즈 06-11 1294
74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3) 공노비 06-10 1501
73 [과학/기술] 낸드플래시 新기술 경쟁…"올해 QLC 시대 열린다" (6) 공노비 06-10 2125
72 [과학/기술] KAIST, 대용량에 폭발 위험 없는 2차전지 개발 (10) 진구와삼숙 06-06 2113
71 [과학/기술] 삼성전자 `32GB 노트북 D램 모듈` 업계 첫 양산 (2) 보면짖는개 05-30 2385
70 [과학/기술] 전자피부 시대…최대 18.8배 늘어나는 전극 개발 (3) 진구와삼숙 05-30 1241
69 [과학/기술] DGIST, 1000배 빠른 빅데이터처리 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5-29 2451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