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9-07 10:21
[잡담] 한국 제조·미국 원천기술·일본 소부장, '반도체 동맹' 탄생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1,476  

반도체 업계는 한·미·일 정상회의에 대해 '반도체 동맹'으로 평가한다. 특히 공급망 정보 공유를 통해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AI(인공지능)향 반도체 제조·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중국이 광물 수출 제한을 확대하는 등 미·중 기술 패권 갈등이 장기화 될 경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미·일 정상은 지난 18일(현지 시각)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캠프 데이비드 정신'(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경제 분야 키워드는 △공급망 연대 구축 △미래 핵심신흥기술 선도 △금융안정 협력 등이다. 주요 산업 공급망 연대를 강화하고 국립연구소들이 공동으로 혁신 분야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술 탈취에 맞서기 위해 미국의 기동타격단과 같은 조직도 구성할 방침이다.

​반도체 업계가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한·미·일 3국의 공급망을 묶는 '조기경보 시스템 연계'다.​ 조기경보 시스템은 반도체·배터리 등 주요 산업제품의 공급망을 점검해 핵심 국가를 선별하고 정책 동향과 정보교환, 공급망 교란 시 공조 방안 등을 논의해 '3각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대기업 전 사장은 "사실상 반도체 동맹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분야 조기경보 시스템은 3국이 각각 우위를 가진 분야를 중심으로 핵심 역할을 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 따르면 △한국 제조·공급 △미국 원천기술 △일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으로 분류를 나누고 세부적인 공조체계를 갖출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이 주도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뿐만 아니라 HBM과 DDR(더블데이트레이트)5 등 AI향 반도체 시장선점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3국의 반도체 공급망 체계가 두터워지면서 한국기업들의 영향력도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3국이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면서도 중국을 견제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반도체 업계에선 미국에 보다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돼 왔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결국 반도체는 미국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3국의 공급망 강화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와 전력 반도체 등에서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했다.


중국은 이번 한미일 정상회의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은 관영 인민일보 영문판을 통해 한미일 정상회의에 대해 "미국이 한국과 일본을 속여 자발적으로 국익을 포기하고 신냉전의 최전선에서 미국을 지키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의 지도자들은 조만간 이 함정에 빠진 결과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927315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6,52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44
14278 [기타경제] IMF 이후 최대 폭 하락 (1) VㅏJㅏZㅣ 02-08 1467
14277 [자동차] 애플 '제3 공급사' 선정 가능성 희박 (4) 스크레치 09-17 1468
14276 [전기/전자] LG화학 '車종주국' 독일서 전기차 배터리 특허출… (3) 스크레치 06-16 1468
14275 [전기/전자] 삼성전자, 세계 최초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개발 성공 (2) 흑수선 02-17 1468
14274 [과학/기술] 한화 '스페이스 허브' 출범 꼬마와팻맨 03-08 1468
14273 [전기/전자] 인텔 부진, 삼성 반격..더 치열해진 '반도체 왕좌'… (1) 스크레치 05-29 1468
14272 [전기/전자] 점점 커지는 삼성전자, 지난해 직원수·개발비 '역대 … (4) 스크레치 03-10 1469
14271 [자동차] 8300만원 제네시스 첫 전기차 출시 (2) 스크레치 07-08 1469
14270 [잡담] 일본에 마지막 남은 메모리반도체 기업 키옥시아 대위기… 강남토박이 02-24 1469
14269 [기타경제] “결국 터질게 터졌다” 이건 쇼크…넷플릭스발 폐업 ‘… (1) 가비 05-05 1469
14268 [잡담] 코로나 경제학자들은 부정적입니다. (2) 냉각수 04-06 1470
14267 [잡담] 10대 금융지주사 지난해 순익 31% 급증한 15조2000억 (1) 축신 04-06 1470
14266 [전기/전자] 한국 반도체 산업이 부족한 부분 (7) 이름없는자 03-27 1470
14265 [주식] 한류에 국뽕정서는 금물 경제논리로가야 (16) 냉각수 03-28 1470
14264 [기타경제] 제조업! 이런것도 도입해보자! (3) 가생일 12-11 1470
14263 [전기/전자] '깜짝 실적' 삼성·'12년만 최고치' LG.."스… (1) 스크레치 04-08 1471
14262 [잡담] 2019년, 2020년,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 일제히 상향.jpg 로터리파크 06-10 1472
14261 [전기/전자] 7월부터 펼쳐질 TV 경쟁…8K·90인치·8000만원 (3) 스크레치 06-22 1473
14260 [잡담] 日정부 주도 탄생 재팬디스플레이의 '자금 위기' (4) 피에조 08-14 1473
14259 [기타경제] ‘살아 남아야’…중형 조선업계도 ‘수주 가뭄’ (5) 봉대리 01-27 1473
14258 [기타경제] 3월 수출 538억弗 '역대 최고' (2) 굿잡스 04-08 1473
14257 [기타경제] 천정 뚫린 철광석·구리값..인플레 '부채질' (2) 스크레치 05-11 1473
14256 [전기/전자] 세계 빅테크 기업들 자체 반도체 개발 진행중 (2) 강남토박이 09-07 1473
14255 [잡담] 개인적으론 드론 산업이 매우 기대됩니다. (ft. 바다 낚시 조지아나 08-29 1473
14254 [기타경제] '1명 사망·9명 부상' 에쓰오일 산업재해 재판, 내… (1) 이진설 04-16 1473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