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8-24 11:24
[전기/전자] '폰 노이만' 한계도 깨부신 삼성, 메모리·시스템 장벽 허문다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3,339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4&aid=0004696912

학회서 HBM-PIMAXDIMMLPDDR5-PIM 신기술 공개
한계로 인식된 '폰 노이만 병목현상', 삼성 PIM 기술로 깨고 제품화까지


AXDIMMPIM 기술을 칩단위에서 모듈단위로 확장한 것으로 D램 모듈에 AI엔진을 장착한 제품이다.


기존 D램 모듈에 탑재된 버퍼칩에 AI 엔진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기존 시스템 변경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현재 AXDIMM은 글로벌 고객사들의 서버 환경에서 성능 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성능은 약 2배 향상, 시스템 에너지는 40% 이상 감소가 확인됐다.


삼성전자는 초고속 데이터 분석 영역뿐 아니라 모바일 분야까지 PIM을 확대 적용한 'LPDDR5-PIM' 기술을 공개했다. PIM 기술이 모바일 D램과 결합하면 데이터센터와 연결 없이 휴대폰 독자적으로 AI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기기 자체의 AI의 성능과 에너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 실제 시뮬레이션 결과 음성인식, 번역, 챗봇 등에서 2배 이상의 성능 향상과 60% 이상의 에너지 감소가 확인됐다.


삼성전자는 지난 2월 공개한 HBM-PIM을 실제 시스템에 탑재한 검증 결과도 학회에서 발표했다. 회사는 프로그래머블 반도체(FPGA) 개발 업체인 미국 자일링스에서 이미 상용화 중인 AI 가속기 시스템에 HBM-PIM을 탑재했을 경우 기존 HBM2를 이용한 시스템 대비 성능은 약 2.5배 높아지고, 시스템 에너지는 60% 이상 감소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PIM 기술이 빅데이터 시대의 새로운 메모리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남승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램 개발실 전무는 "HBM-PIM은 업계 최초의 AI 분야 맞춤형 메모리 솔루션으로, 이미 고객사들의 AI 가속기에 탑재돼 평가되고 있어 상업적 성공의 가능성을 보였다"며 "향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차세대 슈퍼컴퓨터 및 AIHBM3, 온-디바이스 AI용 모바일 메모리, 데이터센터용 D램 모듈로 확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CPU-메모리로 이뤄진 전통적인 컴퓨터 설계기법인 폰 노이만 구조에서는 CPU와 메모리 사이에 하나의 통로로 통해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이동하며 처리되는데(직렬처리), 처리해야 할 데이터 양이 많아지면 지연현상이 생긴다. 이를 '폰 노이만 병목현상'이라고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학계나 업계에서는 메모리 내부에서 일부 연산과 병렬처리가 가능한 PIM 구조가 제안됐고, 삼성전자가 AI엔진을 HBM에 탑재해 제품화를 성공한 것이다. PIM 기술을 통해 고객들은 기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큰 변경없이 보다 강력한 AI 가속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강남토박이 21-08-24 11:24
   
혜성나라 21-08-24 14:05
   
참 이상한거 3가지
1. 이재용이 감옥에서 나오면 사업부서대로 돌아가며 신기술발표
2.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하면 사법부에서 니뽕에 자금 청구 소송
3. 연휴기간전에 항상 코로나 확진자 확 증가

뭐 웃자고 하는 이야기지만 패턴이 항상 정해져 있어서 의심이 의심이~~
혜성나라 21-08-24 14:06
   
1. 우리 오너에게 잘 보여야지 우리가 살아남지..
2. 일본도 우리에게 혐한 하잖아, 우리도 공생하고 상부상조하는거지
3. 시간집계차이 국민에게 좀 경고해야하지 않아?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27
14159 [잡담] 미중 패권전쟁 (17) 혜성나라 08-25 5072
14158 [전기/전자] 삼성전자, 車 반도체 2위 NXP 인수 포기하나 가격 높아져 … (10) 강남토박이 08-24 7369
14157 [기타경제] 英기자 韓 "선진국 자랑하더니 난민엔 침묵" 일침 (48) 스크레치 08-24 10348
14156 [기타경제] 日 수출하던 최고급 참치, 한국서 100만원에 팔았더니.. (5) 스크레치 08-24 7765
14155 [기타경제] 中 김치공정 STOP 美 캘리포니아주 "한국은 김치 종주국" (8) 스크레치 08-24 3927
14154 [기타경제] CDMO·바이오시밀러 강화 '제2의 반도체 신화' 만든… (4) 스크레치 08-24 1604
14153 [잡담] 삼성전자 투자계획 요약.jpg (3) 강남토박이 08-24 2575
14152 [전기/전자] 韓 TV업체 日소니 큰폭으로 따돌려 (8) 스크레치 08-24 2761
14151 [과학/기술] 희소금속 ‘몰리브덴’ 정련기술 국산화 성공…日 의존… (5) 할게없음 08-24 2901
14150 [기타경제] 삼성전자, 240조 투자·4만명 고용..반도체·바이오에 집중 (4) 스크레치 08-24 2032
14149 [과학/기술] 한국조선해양, 세계 최대 선사와 친환경선박 선도..1.6조 … (2) FOREVERLU.. 08-24 1814
14148 [과학/기술]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 전 마지막 관문 'WDR' … (2) FOREVERLU.. 08-24 1537
14147 [전기/전자] IBM, 프로세서 텔럼 삼성 파운드리 7㎚ EUV 공정 적용 (1) 강남토박이 08-24 1258
14146 [전기/전자] 삼성전자, 테슬라 반도체 'D1' 위탁생산 유력 (4) 스크레치 08-24 2758
14145 [기타경제] 삼성重 4600억 LNG선 2척 수주 (4) 스크레치 08-24 1481
14144 [전기/전자] '폰 노이만' 한계도 깨부신 삼성, 메모리·시스템 … (3) 강남토박이 08-24 3340
14143 [자동차] 美 "전기차만 지원" 日도요타·닛산 '비상' (34) 스크레치 08-23 6907
14142 [전기/전자] 삼성, 최대 512GB의 8스택 TSV DDR5 메모리 (3) 강남토박이 08-23 3825
14141 [기타경제] 中, 탈레반에 우호적인 까닭..아프간 1200조 광물 '눈… (21) 스크레치 08-22 6540
14140 [기타경제] 아베노믹스가 남긴 엔低 공포…'엔 = 안전자산' … (13) 안보면후회 08-22 6163
14139 [전기/전자] 中 반도체굴기 안 끝났다…美 견제에도 장비 '싹쓸이… (11) 스크레치 08-22 5574
14138 [전기/전자] LG엔솔 수주잔고 180조..中 CATL과 1위 경쟁 치열 (6) 스크레치 08-22 2748
14137 [자동차] 2022년형 제네시스 G90, 뉘르부르크링서 포착 (1) 스크레치 08-22 2870
14136 [자동차] 현대차, 브라질 공장서 신형 크레타 양산…25일 정식 출… (1) 스크레치 08-22 1624
14135 [자동차] 전기차 시대 기대되는 현기차.jpg (5) 강남토박이 08-22 3128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