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2-30 12:00
[잡담] [펌] 뉴욕타임스 기사 폴 크루그먼 :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내 예상이 틀렸다.
 글쓴이 : 하이시윤
조회 : 4,454  

[펌] 뉴욕타임스 기사 폴 크루그먼 :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내 예상이 틀렸다.


https://www.nytimes.com/2021/12/16/opinion/inflation-economy-2021.html?partner=naver

Opinion | The Year of Inflation Infamy

www.nytimes.com
 

 

미국 노동부가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6.8%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1982년 이후 거의 40년 만에 최고 수치다.

 



I will always associate inflation with the taste of Hamburger Helper.


저는 인플레이션을 햄버거헬퍼의 맛과 연관시킬 것입니다.


In the summer of 1973 I shared an apartment with several other college students; we didn’t have much money, and the cost of living was soaring. By 1974 the overall inflation rate would hit 12 percent, and some goods had already seen big price increases. Ground beef, in particular, was 49 percent more expensive in August 1973 than it had been two years earlier. So we tried to stretch it.

 


1973년 여름에 저는 몇몇 다른 대학생들과 아파트를 같이 사용했습니다. 우리는 돈이 많지 않았고, 생활비도 치솟고 있었습니다. 1974년까지 전체 인플레이션율은 12%에 달할 것으로 보였고, 일부 상품들은 이미 크게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갈은 쇠고기는 1973년 8월기준으로 2년 전보다 49% 더 비쌌습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적은 양으로 만들려고 시도했습니다.

 


Beyond the dismay I felt about being unable to afford unadulterated burgers was the anxiety, the sense that things were out of control. Even though the incomes of most people were rising faster than inflation, Americans were unnerved by the way a dollar seemed to buy less with each passing week. That feeling may be one reason many Americans now seem so downbeat about a booming economy.


맛있는 햄버거 헬퍼를 만들 수 없다는 것에 대한 실망감 너머에는 불안감, 통제불능이라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소득이 인플레이션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인들은 1달러로 살 수 있는 게 매 주마다 줄어드는 것처럼 보이는 것에 대해 불안해했습니다. 이러한 느낌은 많은 미국인들이 현재 경기 호황에 대해 낙담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 중 하나일 것입니다.


The inflation surge of the 1970s was the fourth time after World War II that inflation had topped 5 percent at an annual rate. There would be smaller surges in 1991 and 2008, and a surge that fell just short of 5 percent in 2010-11.

 


1970년대의 인플레이션 급상승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연간 인플레이션이 5%를 넘어선 네 번째였습니다. 1991년과 2008년에는 소규모의 급등이 있을 것이고 2010-11년에는 5%에 조금 못 미치는 급등이 있을 것입니다.


Now we’re experiencing another episode, the highest inflation in almost 40 years. The Consumer Price Index in November was 6.8 percent higher than it had been a year earlier. Much of this rise was due to huge price increases in a few sectors: Gasoline prices were up 58 percent, used cars and hotel rooms up 31 percent and 26 percent respectively and, yes, meat prices up 16 percent. But some (though not all) analysts believe that inflation is starting to spread more widely through the economy.


지금 우리는 또 다른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습니다. 거의 40년 만에 발생한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입니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6.8% 높았습니다. 휘발유 가격은 58퍼센트, 중고차와 호텔 객실은 각각 31퍼센트와 26퍼센트, 그리고 육류 가격은 16퍼센트 올랐습니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인플레이션이 경제를 통해 더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고 믿고 있습니다.


The current bout of inflation came on suddenly. Early this year inflation was still low; as recently as March members of the Fed’s Open Market Committee, which sets monetary policy, expected their preferred price measure (which usually runs a bit below the Consumer Price Index) to rise only 2.4 percent this year. Even once the inflation numbers shot up, many economists — myself included — argued that the surge was likely to prove transitory. But at the very least it’s now clear that “transitory” inflation will last longer than most of us on that team expected. And on Wednesday the Fed moved to tighten monetary policy, reducing its bond purchases and indicating that it expects to raise interest rates at least modestly next year.


현재의 인플레이션이 갑자기 일어났습니다. 올해 초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낮았습니다; 통화 정책을 정하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3월까지만 해도 그들이 선호하는 물가 지수(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에 약간 못 미치는 수치)가 올해 2.4% 상승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수치가 치솟고 있음에도 저를 포함한 많은 경제학자들은 급등이 일시적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적어도 "일시적인"​​ 인플레이션이 우리 대부분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오래 지속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수요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통화정책을 강화하면서 채권 매입을 줄이고, 최소한 내년에는 완만하게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Inflation is an emotional subject. No other topic I write about generates as much hate mail. And debate over the current inflation is especially fraught because assessments of the economy have become incredibly partisan and we are in general living in a post-truth political environment.


인플레이션은 감정적인 주제입니다. 내가 쓴 어떤 주제도 항의 메일을 이렇게 많이 받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경제에 대한 평가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편파적이 되었고 우리는 일반적으로 사실보다 감성이 우선인 탈진실 정치적 환경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토론은 특히 우려됩니다.


But it’s still important to try to make sense of what is happening. Does it reflect a policy failure, or just the teething problems of an economy recovering from the pandemic slump? How long can we expect inflation to stay high? And what, if anything, should be done about it?

 

하지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정책 실패를 반영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팬더믹 침체에서 회복되고 있는 경제의 고통스러운 문제들을 반영하는 것일까요? 언제까지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To preview, I believe that what we’re seeing mainly reflects the inherent dislocations from the pandemic, rather than, say, excessive government spending. I also believe that inflation will subside over the course of the next year and that we shouldn’t take any drastic action. But reasonable economists disagree, and they could be right.

 


다시 한번 말씀드리자면, 저는 이런 높은 인플레이션이 과도한 정부 지출이라기 보다는 대유행으로 인한 선천적인 전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또한 인플레이션이 내년에 진정될 것이며 우리는 어떠한 극단적인 조치도 취하지 말아야 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합리적인 경제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으며, 그들이 옳을 수도 있습니다​.


To understand this dispute, we need to talk about what has caused inflation in the past.

 


이 논쟁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과거에 인플레이션을 일으켰던  원인들에 대해 이야기 할 필요가 있습니다.

Inflation stories

 

인플레이션 역사와 원인들

Inflation, goes an old line, is caused by “*too much money chasing too few goods.” Alas, sometimes it’s more complicated than that. Sometimes inflation is caused by self-perpetuating expectations; sometimes it’s the temporary product of fluctuations in commodity prices. History gives us clear examples of all three possibilities.

 

인플레이션은 오래된 말이 있듯이 "*상품에 비해 돈이 너무 많은 현상(too much money chasing too few goods)"에 의해 발생합니다.  하지만 가끔은 그것보다 더 복잡합니다. 때때로 인플레이션은 **자기실현적(self-perpetuating) 기대감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고, 때로는 상품 가격 변동으로 발생한 일시적인 산물이기도 합니다. 역사는 우리에게 세 가지 가능성 모두에 대한 명확한 예를 보여줍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밀턴 프리드먼이 한 말

** 자기 실현적 기대 :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경우 경제주체의 물가상승에 대한 자기실현적 기대가 형성되며 실제 물가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경우


The White House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suggested in July that today’s inflation most closely resembles the inflation spike of 1946-1948. This was a classic case of “demand pull” inflation — that is, it really was a case of too much money chasing too few goods. Consumers were flush with cash from wartime savings, and there was a lot of pent-up demand, especially for durable goods like automobiles, after years of wartime rationing. So when rationing ended there was a rush to buy things in an economy still not fully converted back to peacetime production. The result was about two years of very high inflation, peaking at almost 20 percent.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는 7월에 오늘날의 인플레이션이 1946-1948년의 인플레이션 폭등과 가장 흡사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이것은 전형적인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사례였습니다. 즉, 너무 많은 돈이 너무 적은 상품을 쫓는 경우(수요 > 공급)였습니다. 소비자들은 2차세계대전(1939~1945년)으로 인한 전시 저축으로 인한 현금이 넘쳐났고, 전시식량배급 이후 특히 자동차와 같은 내구재에 대한 많은 억눌린 수요가 존재했습니다. 그래서 배급제가 끝났을 때 평화로운 시기의 생산량으로 완전히 전환되지 않은 경제상황에서 물건들을 사려는 러시가 있었습니다. 그 결과는 거의 20퍼센트로 정점을 찍은 약 2년간의 매우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었습니다.


The next inflation surge, during the Korean War, was also driven by a rapid increase in spending. Inflation peaked at more than 9 percent.

 


다음 인플레이션 급상승은 한국 전쟁 기간 동안 급격한 지출 증가 (수요>공급)에 의해서도 이루어졌습니다. 인플레이션은 9퍼센트 이상으로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For observers of the current scene, the most interesting aspect of these early postwar inflation spikes may be their transitory nature. I don’t mean that they went away in a matter of months; as I said, the 1946-1948 episode went on for about two years. But when spending dropped back to more sustainable levels, inflation quickly followed suit.



현재 상황의 관찰자들에게, 이러한 초기 전후 인플레이션의 가장 흥미로운 측면은 일시적이라는 특성일 것입니다. 일시적이라는 말이 이런 인플레이션이 몇 달 만에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제가 말했듯이, 1946년부터 1948년까지의 에피소드는 약 2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지출이 보다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떨어지자 인플레이션률도 빠르게 줄어들었습니다.

 


->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수요>공급)은, 수요가 정상상태가 되면(수요↓) 인플레이션률도 줄어들게 됨.



That wasn’t the case for the inflation of the 1960s.

1960년대의 인플레이션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True, this inflation started with demand pull: Lyndon Johnson increased federal spending as he pursued both the Vietnam War and the Great Society, but he was unwilling at first to restrain private spending by raising taxes. At the same time, the Federal Reserve kept interest rates low, which kept things like housing construction running hot.

 


사실, 이 인플레이션은 수요 감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린든 존슨은 베트남 전쟁과 위대한 사회를 추구하면서​ 연방 지출을 늘렸지만, 처음에는 세금을 올려서 개인 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꺼렸습니다. 동시에,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금리를 낮게 유지했고, 이것은 주택 건설과 같은 것들을 뜨겁게 달궜습니다.



The difference between Vietnam War inflation and Korean War inflation was what happened when policymakers finally acted to rein in overall spending through interest rate increases in 1969. This led to a recession and a sharp rise in unemployment, yet unlike in the 1950s, inflation remained stubbornly high for a long time.



베트남전 인플레이션과 한국전쟁 인플레이션의 차이는 정책 입안자들이 마침내 1969년 금리 인상을 통해 전반적인 지출을 억제하기 위해 행동했을 때 일어났습니다. 이것은 경기침체와 실업률의 급격한 상승을 이끌었지만, 1950년대와는 달리 인플레이션은 오랫동안 고집스럽게 높은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Some economists had in effect predicted that this would happen. In the 1960s many economists believed that policymakers could achieve lower unemployment if they were willing to accept more inflation. In 1968, however, Milton Friedman and Edmund S. Phelps each argued that this was an illusion.



일부 경제학자들은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1960년대에 많은 경제학자들은 정책 입안자들이 더 많은 인플레이션을 기꺼이 받아들이면 낮은 실업률을 달성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1968년, 밀턴 프리드먼과 에드먼드 S 펠프스는 이것이 "환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Sustained inflation, both asserted, would get built into the expectations of workers, employers, companies setting prices and so on. And once inflation was embedded in expectations, it would become a self-fulfilling prophecy.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은 노동자, 고용주, 회사가 가격을 정하는 등의 기대 속에 형성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기대치에 박히면, 그것은 자기실현적 예언이 될 것입니다.



This meant that policymakers would have to accept ever-accelerating inflation if they wanted to keep unemployment low. Furthermore, once inflation had become embedded, any attempt to get inflation back down would require an extended slump — and for a while high inflation would go along with high unemployment, a situation often dubbed “stagflation.”


이것은 정책 입안자들이 실업률을 낮게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계속해서 가속되는 인플레이션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게다가, 일단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면, 인플레이션을 다시 잡기 위한 어떠한 시도도 장기간의 침체를 필요로 할 것이고, 한동안 높은 인플레이션은 종종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불리는 높은 실업률과 함께 동반될 것입니다.



목표가 실업률↓라면, 어쩔 수 없이 인플레이션↑

목표가 인플레이션↓이 되면, 어쩔 수 없이 실업률↑

그러다 인플레이션도 실업률도 높은 스태그플레이션(불황 속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도 함

->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은 둘다 잡기 어렵다


And stagflation came. Persistent inflation in 1970-71 was only a foretaste. In 1972 a politicized Fed juiced up the economy to help Richard Nixon’s re-election campaign; inflation was already almost 8 percent when the Arab oil embargo sent oil prices soaring. Inflation would remain high for a decade, despite high unemployment.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이 찾아왔습니다. 1970-71년의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은 단지 예감에 불과했습니다. 1972년, 정치화된 연방준비제도 이사회는 리처드 닉슨의 재선 운동을 돕기 위해 경제를 활성화시켰습니다; 아랍의 석유 금수 조치가 유가를 치솟게 했을 때 인플레이션은 이미 거의 8퍼센트였습니다. 높은 실업률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은 10년 동안 높은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Stagflation was eventually ended, but at a huge cost. Under the leadership of Paul Volcker, the Fed sharply reduced growth in the money supply, sending interest rates well into double digits and provoking a deep slump that raised the unemployment rate to 10.8 percent. However, by the time America finally emerged from that slump — unemployment didn’t fall below 6 percent until late 1987 — expectations of high inflation had been largely purged from the economy. As some economists put it, expectations of inflation had become “anchored” at a low level.

 


스태그플레이션은 결국 끝났지만, 큰 대가를 치렀습니다. 폴 볼커의 지도 하에 연준은 통화 공급의 성장을 급격히 감소시켜 금리를 두 자릿수로 크게 올리고 실업률을 10.8%로 끌어올린 깊은 침체를 유발했습니다. 하지만, 마침내 미국이 그 침체에서 벗어났을 때 – 실업률이 1987년 말까지 6퍼센트 아래로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는 경제에서 대부분 제거되었습니다. 일부 경제학자들의 표현처럼,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는 낮은 수준으로 고정되었습니다.


Despite these anchored expecta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inflationary spikes, most recently in 2010-11. Each of these spikes was largely driven by the prices of goods whose prices are always volatile, especially oil. Each was accompanied by dire warnings that runaway inflation was just around the corner. But such warnings proved, again and again, to be false alarms.


그러나 이러한 고정된 기대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급등이 여러 차례 있었는데, 가장 최근은 2010-11년입니다. 이러한 각각의 급등은 가격이 항상 변동성이 있는 상품의 가격, 특히 석유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습니다. 폭등하는 인플레이션이 코앞으로 다가왔다는 끔찍한 경고가 각자에게 동반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경고들은 계속해서 거짓 경보로 판명되었습니다.

 

 


How 2021 happened 

 

2021년도의 인플레이션은?

 

So why has inflation surged this year, and will it stay high?

그렇다면 왜 올해 인플레이션이 급등했고, 이 인플레이션은 높은 상태를 오래 유지할까요?



Mainstream economists are currently divided between what are now widely called Team Transitory and Team Persistent. Team Transitory, myself included, has argued that we’re looking at a temporary blip — although longer lasting than we first expected. Others, however, warn that we may face something comparable to the stagflation of the 1970s. And credit where credit is due: So far, warnings about inflation have proved right, while Team Transitory’s predictions that inflation would quickly fade have been wrong.


현재 주류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고 주장하는 측(Team Transitory)과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측(Team Persistent)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저를 포함한 Transitory 팀은 비록 우리가 처음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오래 지속되기는 하지만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반대 측은 우리가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과 비슷한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리고 인정할 걸 인정하자면 : 지금까지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는 맞는 것으로 판명된 반면,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사라질 것이라는 저희의 예측은 틀렸습니다.


 

But this inflation hasn’t followed a simple script. What we’re seeing instead is a strange episode that exhibits some parallels to past events but also includes new elements.

 


그러나 이번 인플레이션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과거의 사건들과 유사하면서도 새로운 특징들을 포함하고 있는 이상한 케이스입니다.



Soon after President Biden was inaugurated, Larry Summers and other prominent economists, notably Olivier Blanchard, the former chief economist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arned that the American Rescue Plan, the $1.9 trillion bill enacted early in the Biden administration, would increase spending by far more than the amount of slack remaining in the economy and that this unsustainable boom in demand would cause high inflation. Team Transitory argued, instead, that much of the money the government handed out would be saved rather than spent, so that the inflationary consequences would be mild.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직후 래리 서머스와 다른 저명한 경제학자들, 특히 올리비에 블랑차드 전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바이든 행정부 초기에 제정된 1조 9천억 달러(약 2250조)짜리 법안인 미국 구제 계획(경기부양책)이 경제에 남아있는 느슨한 양보다 훨씬 더 많은 지출을 증가시킬 것이며, 이러한 지속 불가능한 수요 호황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고 주장하는 측(Team Transitory)은 대신 정부가 나눠준 돈의 상당 부분이 지출보다는 저축돼 인플레이션 결과가 경미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Inflation did in fact shoot up, but the odd thing is that overall spending isn’t extraordinarily high; it’s up a lot this year, but only enough to bring us more or less back to the prepandemic trend. So why are prices soaring?


인플레이션이 실제로 치솟긴 했지만, 이상한 점은 전반적인 지출이 특별히 높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올해 지출이 많이 증가했지만, 팬더믹 이전의 추세로 되돌리기에 충분할 정도입니다. 그런데 왜 가격이 치솟는 걸까요?



Part of the answer, as I and many others have noted, involves supply chains. The conveyor belt that normally delivers goods to consumers suffers from shortages of port capacity, truck drivers, warehouse space and more, and a shortage of silicon chips is crimping production of many goods, especially cars. A recent report from the influential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estimates that price rises caused by bottlenecks in supply have raised U.S. inflation by 2.8 percentage points over the past year.


저와 다른 많은 사람들이 지적했듯이, 그 해답의 일부는 공급망과 관련이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소비자에게 상품을 배달하는 컨베이어 벨트가 항만 용량, 트럭 운전사, 창고 공간 등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리콘 칩의 부족은 많은 상품, 특히 자동차의 생산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영향력 있는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의 최근 보고서는 공급의 병목 현상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 지난 1년간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2.8% 포인트 상승시켰다고 추정했습니다.

 


-> 6.8% 에서 2.8%가 공급의 병목 현상으로 인한 가격 상승 때문이면, 나머지 4%는?



Now, global supply chains haven’t broken. In fact, they’re delivering more goods than ever before. But they haven’t been able to keep up with extraordinary demand. Total consumer spending hasn’t grown all that fast, but in an economy still shaped by the pandemic, people have shifted their consumption from experiences to stuff — that is, they’ve been spending less on services but much more on goods. The caricature version is that people unable or unwilling to go to the gym bought Pelotons instead, and something like that has in fact happened across the board.


이제 글로벌 공급망은 끊기지 않았습니다. 사실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물건을 배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엄청난 수요를 따라잡을 수 없었습니다. 총 소비자 지출이 그렇게 빠르게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전염병에 시달리고 있는 경제에서 사람들은 그들의 소비를 경험에서 물건으로 옮겼습니다. 즉, 서비스에는 덜 쓰고 상품에는 훨씬 더 많이 소비하고 있습니다. 캐리커처 버전(caricature version)은 헬스장에 갈 수 없거나 가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펠로톤(홈트레이닝 기구)을 대신 샀고, 실제로 그런 일이 전반적으로 일어났다는 것입니다.


Here’s what the numbers look like. Overall consumption is up 3.5 percent since the pandemic began, roughly in line with normal growth. Consumption of services, however, is still below prepandemic levels, while purchases of durable goods, though down somewhat from their peak, are still running very high.


숫자는 이렇습니다. 전반적인 소비는 전염병이 시작된 이후 대략적으로 정상적인 성장과 일치하여 3.5%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서비스 소비는 여전히 전염병 발생 전 수준을 밑돌고 있으며 내구재(자동차, 텔레비전, 가구 등 수명이 긴 재화) 구매는 최고점에서 다소 떨어지지만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는 덜 이용하고, 재화는 구매를 많이 하고 있는 상황


No wonder the ports are clogged!

항구가 막힌 것도 당연합니다!

-> 재화 소비증가 + 공급 줄어듦 동시에



Over time, supply-chain problems may largely solve themselves. A receding pandemic in the United States, despite some rise in cases, has already caused a partial reversal of the skew away from services toward goods; this will take pressure off supply chains. And as an old line has it, the cure for high prices is high prices: The private sector has strong incentives to unsnarl supply chains, and in fact is starting to do that.


시간이 지나면 공급망 문제가 크게 해결될 수도 있습니다. 일부 확진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미국에서 후퇴하고 있는 유행병은 이미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편중된 편향을 부분적으로 되돌렸습니다; 이것은 공급망에서 압력을 줄여줄 것입니다. 그리고 오래된 말처럼 비용이 많이 드는 해결책은 높은 가격입니다. 민간 부문은 공급망을 푸는 것에 대한 강력한 인센티브를 가지고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하기 시작했습니다.



In particular, large retailers have found ways to get the goods they need, and they say they’re fully stocked for the holiday season. And measures of supply-chain stress such as freight rates have started to improve.



특히 대형 유통업체들은 필요한 물건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으며, 휴가철을 대비해 재고를 꽉 채웠다고 합니다. 그리고 운임 등 공급망 스트레스 대책도 개선되기 시작했습니다.



Yet supply-chain problems aren’t the whole story. Even aside from bottlenecks, the economy’s productive capacity has been limited by the Great Resignation, the apparent unwillingness of many Americans idled by the pandemic to return to work. There are still four million fewer Americans working than there were on the eve of the pandemic, but labor markets look very tight, with record numbers of workers quitting their jobs (a sign that they believe new jobs are easy to find) and understaffed employers bidding wages up at the fastest rate in decades. So spending does appear to be exceeding productive capacity, not so much because spending is all that high but because capacity is unexpectedly low.


그러나 공급망 문제가 전부는 아닙니다. 병목 현상을 차치하고라도, 경제 생산 능력은 팬더믹으로 인해 제한되었습니다. 대유행으로 인해 많은 미국인들이 일터로 돌아가기를 꺼리고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전염병 발생 전야에 비해 아직도 4백만 명의 미국인들이 덜 일하고 있지만, 노동 시장이 매우 타이트해 보입니다. 기록적인 수의 노동자들이 직장을 그만두고(새 일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다고 믿는 신호), 인력이 부족한 고용주들이 수십 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임금을 올려 노동자들을 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출이 생산적인 용량을 초과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출이 그만큼 많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용량이 예기치 않게 적기 때문입니다.

-> 공급망 문제 + 노동력 부족


Inflation caused by supply-chain disruptions will probably fall within a few months, but it’s not at all clear whether Americans who have dropped out of the labor force will return. And even if inflation does come down, it might stay uncomfortably high for a while. Remember, the first postwar bout of inflation, which in hindsight looks obviously transitory, lasted for two years.




공급망 차질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아마도 몇 달 안에 떨어질 것이지만, 노동력을 그만둔 미국인들이 돌아올지는 전혀 확실치 않습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낮아지더라도 당분간은 불편할 정도로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기억하십시오, 전후 첫 인플레이션 한바탕은, 뒤늦게나마 분명히 일시적인 것처럼 보였지만, 2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So how should policy respond?

그렇다면 정책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To squeeze or not to squeeze, that is the question 

 

쥐어짜느냐 짜지 않느냐가 문제입니다.

I’m a card-carrying member of Team Transitory. But I would reconsider my allegiance if I saw evidence that expectations of future inflation are starting to drive prices — that is, if there were widespread stories of producers raising prices, even though costs and demand for their products aren’t exceptionally high, because they expect rising costs or rising prices on the part of competitors over the next year or two. That’s what kept inflation high even through recessions in the 1970s.


저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거라고 주장하는 측의 정식 멤버입니다. 하지만 미래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가격을 끌어올리기 시작했다는 증거를 본다면, 제 생각을 재고할 것입니다. 즉, 생산자들이 그들의 제품에 대한 비용과 수요가 예외적으로 높지는 않더라도, 향후 1-2년 동안 경쟁사들의 비용 상승 또는 가격 상승을 예상하기 때문에 가격을 올렸다는 이야기가 널리 퍼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말입니다. 그것이 1970년대 불황을 겪으면서도 인플레이션을 높게 유지했던 것입니다.


So far I don’t see signs that this is happening — although the truth is that we don’t have good ways to track the relevant expectations. I’ve been looking at stories in the business press and surveys like the Fed’s Beige Book, which asks many businesses about economic conditions; I haven’t (yet?) seen reports of expectations-driven inflation. Bond markets are essentially predicting a temporary burst of inflation that will subside over time. Consumers say that this is a bad time to buy many durable goods, which they wouldn’t say if they expected prices to rise even more in the future.


아직까지는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징후가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관련 기대치를 추적할 좋은 방법이 없습니다. 저는 경제 언론이나 연준의 *베이지 북과 같은 설문조사를 통해 많은 기업들에게 경제 상황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기대치에 따른 인플레이션에 대한 보고는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채권 시장은 근본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가라앉을 인플레이션의 일시적인 폭발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내구재를 많이 사기에는 지금이 좋지 않은 시기라고 말합니다. 만약 소비자들이 앞으로 가격이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면 이렇게 말하지 않을 것입니다.


-> 소비자들이 가격이 오를 것이라 생각하면 지금 내구재를 많이 사려고 할텐데 그러지 않음. 미래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가격을 끌어올리기 시작하는 상황처럼 안보임.


*베이지 북 : 연방 준비은행들이 FOMC(연방 공개시장 위원회)에 제출하는 경제 분석 보고서



For what it’s worth, the Federal Reserve, while it has stopped using the term “transitory,” still appears to believe that we’re mostly looking at a fairly short-term problem, declaring in its most recent statement, “Supply and demand imbalances related to the pandemic and the reopening of the economy have continued to contribute to elevated levels of inflation.”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임시적'이라는 용어 사용을 중단했지만 여전히 단기적인 문제를 보고 있다고 믿는 것 같습니다. FRB는 가장 최근의 성명에서 "대유행과 경제 재개와 관련된 공급과 수요 불균형이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라고 선언했습니다.


Still, an unmooring of inflation expectations is possible. Given that, what should policymakers be doing right now? And by “policymakers” I basically mean the Fed; political posturing aside, since, given congressional deadlock, nothing that will make a material difference to inflation is likely to happen on the fiscal side, inflation policy mainly means monetary policy.


여전히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굽히지 않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정책 입안자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어야 할까요? 그리고 "정책 입안자"라는 말은 기본적으로 연준을 의미합니다; 정치적 입장은 제쳐두고, 의회의 교착상태(전진 없이 머물러 있는 상태)를 고려해 볼 때, 인플레이션에 중요한 차이를 만들 어떤 것도 재정적인 측면에서 일어나지 않을 것 같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정책은 주로 통화 정책을 의미합니다.


I recently participated in a meeting that included a number of the most prominent figures in the inflation debate — a meeting in which, to be honest, those of us still on Team Transitory were definitely in the minority. The meeting was off the record, but I asked Larry Summers and Jason Furman, a top economist in the Obama administration, to share by email summaries of their positions.


저는 최근에 인플레이션 논쟁에서 가장 저명한 인물들이 포함된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거라고 보는 팀에 속해 있는 사람들은 확실히 소수였습니다.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됐지만, 저는 래리 서머스와 오바마 행정부의 최고 경제학자 제이슨 퍼먼에게 그들의 입장을 요약해서 공유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Summers offered a grim prognosis, declaring, “I see a clearer path to stagflation as inflation encounters supply shocks and Fed response than to sustained growth and price stability.” The best hope, he suggested, was along the lines of what the Fed has now done, end its purchases of mortgage-backed securities (which I agree with because I don’t see what purpose those purchases serve at this point) and plan to raise interest rates in 2022 — four times, he said — with “a willingness to adjust symmetrically with events.” In other words, maybe hike less, but maybe hike even more.



서머스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인 성장과 물가 안정보다 공급 충격과 연준의 대응에 직면하면서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가는 더 명확한 경로가 보입니다"라고 말하며 암울한 예후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FRB가 현재 해온 것과 같은 방식으로 주택담보부증권(mortgage-backed securities) 매입을 중단하는 것이 최선의 희망이라고 제안했습니다. (현재로서는 그러한 구매가 어떤 목적에 부합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동의합니다.) 그리고 2022년에 이자율을 4차례 인상할 계획이며, 그는 "사건에 따라 균형있게 조정​​하고자 하는 의지로"라고 말했습니다. 다시 말해, 덜 인상할수도 있고 더 많이 할 수도 있습니다.


Furman was less grim, saying, “We should not drop the goal of pursuing a hot economy,” but he wanted us to slow things down, to “get there by throwing one log on the fire at a time.” His policy recommendation, however, wasn’t that different. He called for three rate hikes next year, as the Fed said on Wednesday that it was considering.


퍼먼은 "우리는 호황(hot economy)을 추구하는 목표를 버려서는 안 됩니다"라고 덜 암울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우리가 상황을 늦추고 "한 번에 하나의 통나무를 불 위에 던져" 그곳에 도착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정책 권고도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그는 연준이 검토 중이라고 밝힌 것과 마찬가지로 내년에 세 차례 금리 인상을 촉구했습니다.


Where am I in this debate? Clearly, a sufficiently large rate hike would bring inflation down. Push America into a recession, and the pressure on ports, trucking and warehouses would end; prices of many goods would stop rising and would indeed come down. On the other hand, unemployment would rise. And if you believe that we’re mainly looking at temporary bottlenecks, you don’t want to see hundreds of thousands, maybe millions of workers losing their jobs for the sake of reducing congestion at the Port of Los Angeles.


이 논쟁에서 제가 어디까지 얘기했지요? 분명히, 충분히 큰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낮출 것입니다. 미국을 경기침체로 몰아넣으면 항만, 트럭, 창고에 대한 압력은 끝날 것이고, 많은 상품의 가격은 오름세를 멈추고 실제로 내려갈 것입니다. 반면에, 실업률은 증가할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우리가 주로 일시적인 병목 현상을 보고 있다고 믿는다면, 여러분은 로스엔젤레스 항구의 혼잡을 줄이기 위해 수십만, 어쩌면 수백만 명의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는 것을 보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But what both Summers and Furman are arguing is that the inflation problem is bigger than temporary bottlenecks; Furman is also in effect arguing that tapping on the monetary brakes could cool off inflation without causing a recession, although Summers doesn’t think we’re likely to avoid at least a period of stagflation when bringing inflation down.


그러나 서머스와 퍼먼 모두 인플레이션 문제가 일시적인 병목 현상보다 더 크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퍼먼은 또한 통화 브레이크를 밟으면 경기침체를 초래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서머스는 인플레이션을 낮출 때 스태그플레이션 기간을 최소한 피할 것 같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The Fed’s current, somewhat chastened, position seems almost identical to Furman’s. The latest projections from board members and Fed presidents are for the interest rate the Fed controls to rise next year, but by less than one percentage point, and for the unemployment rate to keep falling.

 


연준의 현재 입장은 퍼먼(Furman)의 입장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사회와 연준 총재들의 최근 전망은 연준이 통제하고 있는 금리가 내년에 1%포인트도 안 되는 상승률을 보일 것이고, 실업률은 계속 떨어질 것이라는 것입니다.


Perhaps surprisingly, my own position on policy substance isn’t all that different from either Furman’s or the Fed’s. I think inflation is mainly bottlenecks and other transitory factors and will come down, but I’m not certain, and I am definitely open to the possibility that the Fed should raise rates, possibly before the middle of next year. I think the Fed should wait for more information but be willing to hike rates modestly if inflation stays high; Furman, as I understand it, thinks the Fed should plan to hike rates modestly (in correspondence he suggested one percentage point or less over the course of 2022, matching the Fed’s projections) but be willing to back off if inflation recedes.


놀랍게도 정책 본질에 대한 제 입장은 퍼먼이나 연방준비제도이사회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저는 인플레이션이 주로 병목현상과 다른 일시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하는데, 내려갈 것이라고는 확신하지 않으며, 연준이 금리를 인상해야 할 가능성, 가능한 내년 중반 이전에 금리를 인상해야 할 가능성도 분명히 열어두고 있습니다. 연준은 더 많은 정보를 기다리되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게 유지된다면 기꺼이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 퍼먼은 FRB가 금리를 약간 인상할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서신에서 그는 2022년 동안 연준의 예상과 일치하는 1% 포인트 또는 그 이하를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줄어들면 기꺼이 금리인하를 하지 않을 것입니다.


This seems like a fairly nuanced distinc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hat bad inflation news will force far more draconian tightening than the Fed is currently contemplating, even now.

이것은 상당히 미묘한 차이처럼 보입니다. 물론 나쁜 인플레이션 뉴스가 현재 연준이 고려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엄격한 긴축을 강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Maybe the real takeaway here should be how little we know about where we are in this strange economic episode. Economists like me who didn’t expect much inflation were wrong, but economists who did predict inflation were arguably right for the wrong reasons, and nobody really knows what’s coming.

아마도 여기서 진정한 결론은 우리가 이 이상한 경제 상황에서 어디에 있는지 아는 것이 얼마나 적은가 입니다. 저와 같이 인플레이션이 심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은 경제학자들은 틀렸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예측한 경제학자들이 옳았지만 잘못된 이유로 옳았습니다, 그 누구도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지 못합니다.


My own view is that we should be really hesitant about killing the boom prematurely. But like everyone who’s taking this debate seriously, I’m hanging on the data and wonder every day whether I’m wrong.


제 견해는 우리가 호황을 조기에 없애는 것에 대해 정말로 주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토론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모든 사람들처럼, 저는 데이터에 매달리고 있고, 제가 틀렸는지 매일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요약

- 이전에는 공급 대비 수요가 넘치거나, 향후 가격이 오를거라고 기대함에 따라 실제로 가격이 올라가게 되거나 또는 상품 가격 변동으로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곤 했었음.

 


- 그런데 이번 인플레이션은 과거와 유사하면서도 차이가 있음. 최근 인플레이션은 높은 수준이었으나 이상한 점이 지출이 별로 안높다는 것. 근데 왜 가격이 올랐을까?

 

 

- 먼저, 공급망 부족이 일부 원인(공급의 병목현상) 그리고 서비스에 대한 소비는 줄었지만 대조적으로 재화에 대한 구매만 증가했음. 이 뿐만 아니라 노동력이 줄어든 것도 문제점. 공급망이 줄어든 건 앞으로 괜찮아지겠지만 노동력은 언제 괜찮아질지 확실치 않음.

 


- 의회의 교착상태 등을 고려할 때 재정부문에서 인플레이션 대응책을 기대하기 어렵기에 통화정책이 중요한 상황.

 


- 연준은 1% 또는 그 이하로 금리 인상을 생각중임. 이를 통해 운송문제가 해결되고 올랐던 가격이 떨어질 것이지만, 실업률이 증가할 수 있음. 고물가 지속 시 연준은 금리인상을 시행해야 하나 인플레이션이 줄어들면 금리인상 폭을 줄이거나 아예 하지 않는 등 유연한 대처가 필요함 


-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고 본 사람도 틀렸고, 인플레이션이 장기적이라고 본 사람도 잘못된 이유로 잘못 예측했다고 생각함 이후에 정확히 어떻게 될지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상황. 연준은 이 문제를 주의깊게 보고 있으나 판단을 잘못할 경우 전세계적으로 또 다른 경제위기를 불러올 실책을 저지를 리스크가 있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대기행렬 21-12-30 20:47
   
ㅋㅋ 에라이 ㅆㅆㅇ 가생이가 왜 무거워지나 했네
얻다 배설이야
     
하이시윤 21-12-31 11:32
   
ㄷㅅ아 원글이 긴걸 어쩌라고 그리고 텍스트만으루무거워지냐 ㅂㅅㅅㄲ
대기행렬 21-12-31 13:06
   
어휴 세상 유일 출산지켜보고 와이프 사랑꾼 대단하다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8&wr_id=1185104&sca=&sfl=wr_subject&stx=%EC%B6%9C%EC%82%B0&sop=and

세상 어지럽힐 거 같아서 그래 이누마
     
하이시윤 22-01-01 12:27
   
미친넘 지랄하고 자빠졌네
 
 
Total 16,4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5198
14796 [잡담] 아직도 소주성을 믿고 있나 (13) 마르티넬리 02-06 3452
14795 [잡담] 한국의 배달문화는 바람직한 분배 정책... (18) 이름없는자 02-06 4140
14794 [잡담] 저가 배터리 시대 (6) 이름없는자 02-04 6751
14793 [기타경제] 중국은 대만의 돈줄 (11) 케이비 02-03 6494
14792 [잡담] 진보시민/빌게이츠 협업 시..수십조원짜리 (4) 도다리 02-03 2950
14791 [기타경제] 중소기업이 대기업 못되는 이유 (25) 므흣합니다 02-02 5530
14790 [기타경제] 대통령이 열정페이인 나라 (10) 므흣합니다 01-31 5956
14789 [금융] 최악의 금융후진국 대한민국 (23) 므흣합니다 01-30 8146
14788 [자동차] 누가 타나 했는데‥턱밑까지 쫓아온 중국차 (13) darkbryan 01-30 6508
14787 [잡담] [홍사훈의 경제쇼] 박태웅ㅡ눈 떠보니 선진국, 한국! 아… (4) 흩어진낙엽 01-29 3836
14786 [잡담] [우크라이나 매체] 이스라엘, 한국처럼 하면된다. 자력… (13) 조지아나 01-29 6272
14785 [부동산] 이재명, 1주택자 보유세·종부세 완화“꼭 필요한 정책” (15) 그림자악마 01-29 3884
14784 [주식] 2235억원 횡령+배임 = 1심 2년6개월.. 3심? 집행유예? (15) 므흣합니다 01-28 5006
14783 [기타경제] 2021년 중국의 경이로운 경제성장 (9) 양철북 01-27 6985
14782 [기타경제] 아이고 주식 망했는데, 12월 무역수지도 적자일거 같네요 (17) 인스피어 01-27 5068
14781 [금융] 도둑놈들 소굴 (14) 므흣합니다 01-26 4675
14780 [주식] 더불어민주당, 주주 이익에 반하는 기업의 인적·물적분… (23) 그림자악마 01-26 3977
14779 [기타경제] 포스코인터, 지난해 매출 33조9489억 '사상최대'..… (3) 굿잡스 01-26 3033
14778 [주식] 오늘 미장 반등이 국장 반등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 (3) 사이다맛쥐 01-25 4056
14777 [기타경제] 한국 조선업의 수익성 (39) 새세상 01-24 8708
14776 [부동산] '이재명표' 부동산 공급 폭탄..전국에 311만호, 청… (12) 그림자악마 01-24 3034
14775 [부동산] 이재명 "GTX 플러스 프로젝트 추진..수도권 30분대 생활권" (7) 그림자악마 01-24 2496
14774 [전기/전자] 삼성 엑시노스 2200 성능 좋은 전망 (14) 이름없는자 01-24 3632
14773 [전기/전자] 삼성전자의 미래가 상당히 어두운 이유 (17) 사이다맛쥐 01-24 4895
14772 [기타경제] 금융 실격 ② 만드는 자와 챙기는 자 - 뉴스타파 (6) 므흣합니다 01-24 1260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