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7-22 21:07
[기타경제] 물가로 알아보는 호황과 불황의 경제사
 글쓴이 : 트랙터
조회 : 2,521  

우리는 흔히 경기가 불황이다. 호황이다. 라고 말합니다.
참 막연한 말이죠. 경제적 논리로 보면 소비가 공급보다 많으면 호황이겠지요.
하지만 이것 역시 막연하지요.

물가의 측면으로 알아보는 호황과 불황의 경제사를 얘기 해볼까 합니다.

요즘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과 더불어 걱정하는 것은 물가일겁니다.
그런데 전후가 잘못되어 있는 것이겠죠. 물가가 올라갔기 때문에 임금이 오르는 것입니다.
임금이 올라서 물가가 올랐다는 것은 극히 드문 경우겠지요. 또한 최저임금은 최저임금일 뿐 전체 임금을 대변하지 않기 때문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입니다.
따라서 최저임금과 물가상승을 비교하는 것은 참 쓸 때 없는 짓이라 하겠습니다.  
 
통상적으로 물가가 올라가면 임금에 반영해달라는 노동자의 압박이 거세지고 기업은 임금을 올리게 되는 것이죠. 그럼 기업은 물가상승분 만큼 올렸느냐? 그건 또 뭐라 할 말이 없는 부분이군요. 이런 임금 압박에 해외 아웃소싱을 하거나 이전을 하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경기를 좌우하는 가장 큰 조건은 물가와 금리일 겁니다.
물가는 환율이나 해외 원자재 가격에서 영향이 클 것이고 우리나라와 같이 대외의존도가 큰 나라는 환율적 영향이 매우 크겠지요.

기본적으로
물가하락==>금리인하==>(경기부양)==>물가상승==>금리인상==>(경기안정)==>물가하락
의 순환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A1.jpg

지금 우리가 처해진 상황은 어디일까요?
물가상승과 금리인상 사이쯤에 놓여진 상황이겠지요.

2015년을 기점으로 물가가 상승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은 물가상승의 시점으로 보고 금리인상 정책을 시작하는 출구전략을 시작한 겁니다.
우리역시 2017년 1.9% 물가상승으로 비교적 안정적 물가상승을 하고 있네요.
미연준 은행에서 얘기하기에는 1.5~2.4% 사이가 안정적 물가상승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경기의 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해 서론이 꽤 길었네요.

이제는 본론으로 넘어가 시대별 경기를 살펴보려 합니다.
이 시대별 경기에서 호황 불황을 살펴보기 위해 좋은 비교는 GDP상승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비교해 보는 것이 가장 빠르다는 판단입니다.
즉, 소비자물가상승률이 GDP상승률을 상회 한다면 국가의 경기는 불황기라고 보고 어려운 시절이라는 것이겠죠.

1960년대부터 시작점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일본은 덤으로 추가해 봤습니다.
빨간 색은 불황기로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A2.jpg

1961년 5.16 이후 박정희 정권시대입니다.
물가는 매우 불안한 시대였습니다. 정치색을 배제하기 위해 평가는 하지 않겠습니다.
1963년부터 시작된 20.7% 고물가상승을 볼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외환위기였습니다.
나라의 외환보유고는 1억달러 미만 참 암울한 시기입니다.
1962년을 시작으로 경제개발 5ㄱ ㅐ년 이라는 명칭으로 허리띠 조이고 잘살아 보자의 시작이였던 것이죠.
그러나 이 계획은 장면 내각에서 새워놓은 것이라는 점...
당장의 성과는 딱히 없고 고물가의 불황기라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1970년대입니다.
A3.jpg

물가불안의 고물가시대는 여전합니다.
우리의 경우 여전히 지속적 외환위기 상황이였고 경제 불황 시기라 하겠습니다.
참고로 올린 일본 역시 빨간색의 불황기를 거치게 됩니다.
1974년 24.3%시작으로 엄청난 물가 상승을 볼수 있습니다.
오일쇼크라 불리는 석유장사치들의 압박으로 세계경제가 휘청이는 사태입니다.
부족한 외환보유고를 충당하기 위해 중동으로 건설업 진출이 활발해진 시기이기도 합니다.  
시대만 놓고 보면 한국경제사의 제일 암울한 시기가 아닐까 합니다.

다음은 1980년대를 살펴보겠습니다.
A4.jpg

2차 오일쇼크가 발생한 70년대말을 이어가며 불황의 1980년대를 맞이합니다.
결국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IMF 구제금융으로 부터 80년 초부터 중반까지 약 16억달러를 대출하게 됩니다.
1980년 전두환 신군부 집권과 5.18민주화운동등 정치적 혼란기를 맞이하면서 암흑기를 겪지만 이 당시 경제적으로는 박정희 정권의 중화학공업의 중복투자 및 부실기업을 정리하고 금융시장 개방을 하게되어 경제의 안정화를 하게 됩니다. 또한 1982년을 기점으로 세계적으로 원유 달러 금리의 3저호황으로 우리역시 황금기를 맞이 되는 결과가 오게 됩니다. 
불꽃같은 성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 1980년대의 대규모 차입이 이후 문제로 나타나게 됩니다.
일본의 경우를 보면 1985년 플라자합의 이후 엔고 현상으로 돈을 펑펑쓰고 다닌 시기라 하겠습니다.

1990년대를 살펴보겠습니다.
A5.jpg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대규모 해외 차입에서 찾았던 시기이며 노태우 김영삼 정권으로 이어지며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을 90년대 말까지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최악으로 치닫던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80년 초의 차관과 글로벌 위기가 연쇄적 복합효과로 한국경제의 외환위기를 초래 1998년 IMF사태를 맞이하게 됩니다. 일본의 경우는 잃어버린 20년의 시작점이라 하겠습니다.
 
2000년대를 살펴보겠습니다.
A6.jpg

1999년 경제성장과 국민적 노력에 의해 IMF 사태를 빠르게 극복한 한국경제는 지속적 안정기에 접어들게 됩니다. 그러나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중산층의 붕괴를 가져오게 됩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경기하강 국면에 접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으로 글로벌 경제위기가 오기 전까지 비교적 완만한 하락곡선을 그리면 지속적 성장을 하게 됩니다. 사회적으로는 비정규직 문제와 공무원 열풍의 시작점이 되게 됩니다.

2010년과 현재
A7.jpg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으로 이어지며 경제대통령이란 슬로건이 부각되던 시기입니다.
그러나 지속적 경제하락을 막을 길은 없었고 저성장 시대로의 본격적 돌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낙수효과라는 허무맹랑한 소리를 들고 나와 소득의 양극화가 더욱 심해졌던 시기라 볼 수 있겠습니다. 소득 먹거리 지수인 엥겔지수가 최고로 올라가며 당시 소득불균형이 심해 졌음을 보여줍니다.
박근혜 정권에서도 물가는 하락하며 금리하락의 시기를 맞이합니다.

현 시점인 2018년 슬슬 우리도 금리인상의 흐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소득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는 소득주도성장론을 들고 나왔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경제는 유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느때는 이 정책이 맞고 어느때는 이정책이 맞을 수 있는겁니다.
그동안의 소득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지금은 소득주도성장에 한표를 주고 싶습니다.
경기의 회복과 물가의 상승시점 다시금 경기성장과 안정화를 위한 발걸음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글로벌화 되는 기업이 많아 질수록 저물가에서 저금리 정책을 쓴다 할지라도 경기부양이 힘들어 집니다.
그렇기에 세계는 점차 보호 무역주의로 가고 있습니다.
머리를 맞대고 임금이 되었든 정책이 되었든 앞으로의 방향을 생각해 봐야 할것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환9191 18-07-23 10:28
   
국내 생산 = 국내소비
로 흐르면 호경기 불경기 사이클이 이루어지지만
외노자 자국송금 외인투자 수익유출 등으로 국부가 유출 된다면
사이클이 왜곡될수 밖에 없습니다
외노자 불체자는 반드시 해결해야 경제가 안정됩니다
     
마이크로 18-07-23 12:44
   
작년부터 생산가능인구수가 줄어들고 있어서 일정부분직종의 또는 일정수의 외노자는 불가피합니다.

단순히 외노자의 송금정도를 국부유출이라고 생각하고 단순하게 막다간

국내 기업의 해외이전으로 인한 국가전체의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어차피 제조업만이 살길은 아니지만 한국은 제조업강국이고 제조업으로

먹고사는 나라임에는 분명하기때문이죠.

단순히 집마당 청소해주는 외노자가 필요한 나라가 아닙니다.
          
나무아미타 18-07-23 12:52
   
해외송금은 돈은 세금을 잘 걷어 드리면 됩니다. 불체자들은 추방하는게 맞고 불체자 고용한사람들도 법적 책임을 져야함.
               
마이크로 18-07-23 13:22
   
불체자야 추방이 원칙인데 저는 합법적인 외노자를 말한겁니다.
                    
환9191 18-07-23 14:42
   
합법적인 외노자도 업종 제한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내국인 근무업종 전방위로 노출되어 있습니다
                         
마이크로 18-07-23 14:50
   
외노자 업종제한 있습니다.  엄청 엄격하구요 다른일하다 걸리면 최대 추방임.
                         
환9191 18-07-23 15:01
   
제가 볼땐 있으나마나한 업종 제한입니다
조선족 f4 비자 같은경우
어떤회사든지 4번까지 취업 가능하죠
                         
환9191 18-07-23 15:06
   
외노자 처음 들어올때는 임금이 열악한 중소기업에 배정되지만 몇달동안 상황 파악하고 나면 조선소나 건설사등 내국인과 차이 없는 업종으로 무리지어 몰려다닙니다
임금수준이 내국인보다 높음
내국인은 기공 + 조공이지만
게들은 처음와도 기공임금줌
                         
라거 18-07-25 12:42
   
- 외노자들이 뭐 대부분 고급 직종에서 일하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그런 부분은 인력없어 날리인데 너무 색안경 끼고 바라보는듯합니다. 오히려 이런 3D 물론 일에 귀천은 없다지만 한국인들이 잘 안가려는 직군을 이분들이라도 메워주지 않는다면 오히려 어떻게 될지 저는 걱정인데요.
- 환9181님 말씀처럼 조선소 이런데서 일하려해도 정식 자격증 없으면 안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지는 않을 겁니다. 오히려 이런 분야에서 일하고 싶거나 또는 나중에 수월한 비자 신청을 위해서 한국어 능력 시험이라든지 자격증이라든지에 대해 신경쓰는 외국인분들이 많아진다고는 들었습니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구직 또는 채류비자 연장을 위해 공부를 한다고하면 오히려 한국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나중에 본인의 나라로 돌아가서 좋은 인상을 남긴다면 그게 더 미래에 좋을 것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마지막으로 국부 유출 문제는 우리도 외국나가서 돈벌어 오고 이러는데 나가는건 안되고 들어오는건 된다는 해석은 만약 대한민국 국민이 타지에서 똑같은 이야기를 들었을 경우를 생각해 보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이도저도 18-07-24 11:02
   
그렇다면 인터넷상의 거래가 상당히많은 요즘은 과거처럼 물가상승의 압력이 예전보다는 덜하지않을까요?
     
라거 18-07-25 12:58
   
제 생각에도 예전과 달리 직구나 이런게 있기 때문에 예전처럼 수입상이 폭리를 취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일부 품목은 어느정도 피부를 느낄정도이고요. 오히려 직구할 때 택배비 포함된 금액으로 국내 물건 값이 정해지는 경우를 요즘들어 피부로 느낄정도로 (약간의 얄팍함을 보이지만 )그렇더라도 예전에 비하면 좀 더 싸진게 아닌가 생각이 들더라고요. 다만 국내 기업들이 얄팍한 술수로 직구를 못하게 한국 카드를 막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어 그것에 대한 대책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특정 브랜드의 전자제품(H사) ,의류 브랜드(T사) 등은 해당 쇼핑몰에서 한국카드로 결제할 경우 자동 취소됩니다. 또는 한국 아이피로 접속이 불가한 경우도 많습니다.
     
트랙터 18-07-25 14:17
   
인터넷거래가 많아서 물가상승이 억제된다기 보다는 생활물가가 억제되는 효과는 분명 있을겁니다.
물가를 얘기할때 위 본문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생활물가 근원물가로 나눠 생각해볼수 있는데요.
근원물가는 변동폭이 적은 물가지수입니다. 즉,농 수산 축산물 전기요금 원유등등...을 제외한 물가인데요. 근원물가를 위주로 하는 이유는 자연재해등이나 상황에 따른 정부가 손댈수 없는 물가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보통 공공요금이나 서비스요금등을 위주로 되어있습니다. 이걸 기반으로 정부는 금리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지요. 하지만 기본적으로 소비자물가 자체가 많이 오른다면 금리를 손봐야 하겠지요.  일본의 장기불황은 저물가 디플레이션 현상이 가장 큽니다. 저물가가 지속되면 임금은 오르지 않고 수요도 적으니 투자는 하지 않겠지요. 저금리 정책으로 가더라도 언제 회복될지 모르는 막연함이...저물가는 절대 좋은것이 아니지요. 적절한 물가상승이 성장을 촉진하게 됩니다. 현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은 정책상 공공요금을 억제할수 받에 없습니다. 이게 지금 상황과 딜레마를 겪을 수도 있겠죠. 그러나 원유가격이 상승하고 있기에 이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의 흐름은 이어질거로 봅니다.
멀리뛰기 21-01-02 14:35
   
[기타경제] 물가로 알아보는 호황과 불황의 경제사 감사^^
멀리뛰기 21-01-08 14:25
   
[기타경제] 물가로 알아보는 호황과 불황의 경제사 멋진글~
 
 
Total 16,3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3030
16338 [기타경제] 양배추 1통 8980원 (4) VㅏJㅏZㅣ 15:16 134
16337 [기타경제] 주요범죄 형량 (2) 가을핵파토 13:36 169
16336 [잡담] JP모건 하이닉스 목표주가 26만원으로 상향 ㄷㄷㄷ 강남토박이 11:22 235
16335 [잡담] 민주당은 한국 경제 망치는 주범!!! (3) 강남토박이 08:34 491
16334 [잡담] 여당 : 반도체 보조금 직접 꽂아주자 야당은 반대 (2) 강남토박이 02:29 434
16333 [전기/전자] 美·日 반도체에 수십조 쏘는데…한국은 삼성전자에 '… (4) 욜로족 03-27 917
16332 [기타경제] "이러다 큰일" 짜장면 어쩌나…양배추값 한망에 7000원 �… 가비 03-27 469
16331 [잡담] 오늘자 삼성전자 하이닉스 실적 상향 리포트 ㄷㄷㄷ.jpg (2) 강남토박이 03-27 453
16330 [기타경제] 사과도 못 먹는데 바나나 못 먹는 날도 임박했다? (3) 가비 03-26 916
16329 [기타경제] 올해 국세감면 77조 ‘역대 최대’…2년 연속 법정한도 … 가비 03-26 502
16328 [기타경제] 50살 자영업자 빚 1억9천…"코로나 겪고 더 열심히 살았지… (1) 가비 03-26 612
16327 [기타경제] "어떻게 알리보다 싸게 파나"…중소기업 사장님들 '… 가비 03-26 533
16326 [잡담] 삼성전자 8만원 돌파 ㄷㄷㄷ (5) 강남토박이 03-26 979
16325 [잡담] 26년 한국경제 역대급 황금기가 도래 (4) 강남토박이 03-26 1169
16324 [부동산] 돈줄 막히자 건설사업 중단 속출…개인투자자 피해도 일… (2) 욜로족 03-25 601
16323 [기타경제] 쓰러지는 중소기업‥내수침체에 직격탄 욜로족 03-25 322
16322 [기타경제] "기업 상속세 깍아주고 노동유연화 하겠다" VㅏJㅏZㅣ 03-25 523
16321 [잡담] [단독]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3E 12단 단독 공급 (2) 강남토박이 03-25 1154
16320 [잡담] 삼성전자, '존슨콘트롤즈' 8조원 들여 HVAC 사업부 … (4) 강남토박이 03-25 910
16319 [기타경제] 사과, 배에 1천5백억 태운 결말 (4) VㅏJㅏZㅣ 03-24 1079
16318 [기타경제] 조선·자동차 웃고…울상 짓는 반도체 가비 03-24 529
16317 [부동산] 포항·전주 분양가 5억이하 ‘전멸’...시멘트값 40% 폭등… (3) 가비 03-24 507
16316 [기타경제] '연 이자 4조' 한전, 하반기 전기료 동결 시 적자 &… 가비 03-24 291
16315 [기타경제] 정부 지원 빠지면 과일·채소 가격 2배 이상도…도매가는… 가비 03-24 186
16314 [잡담] 3월 제조업 경기지표가 3년여만에 최고치를 기록 (2) 강남토박이 03-24 267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