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8-26 22:20
[기타경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26일 문재인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설명
 글쓴이 : MR100
조회 : 1,484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26일 문재인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설명하면서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로 수십 년 만에 경제 운용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며 "고통이 따르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지만,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경제 구조와 체질을 바꿔 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장 실장의 간담회 모두발언 전문.

『안녕하십니까? 청와대 정책실장입니다.

정부 정책은 각 부처 장관들이 책임지고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저는 오늘 문재인정부의 정책실장으로서 국민들에게 정부가 가고 있는 방향과 목표에 대해 소상히 설명드릴 시점이라고 생각하여 이 자리에 왔습니다. 최근 일자리, 가계소득 상황에 대해 국민들의 우려가 큽니다. 취업자의 증가 수가 급격히 둔화되었고, 저소득층인 1, 2분위 가구의 소득이 감소해 분배가 악화되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국정에 책임이 있는 사람으로서, 국민들께 먼저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한 달, 한 달 발표되는 통계수치를 면밀히 살피고, 부족한 부분이 어디인가를 밝혀서 빈틈없이 정책을 챙기는 것은 공직자로서 당연한 자세입니다. 고용률과 취업자 수가 증가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자 증가 규모가 둔화된 원인이 무엇인지, 평균 가계소득과 임금근로자의 소득이 늘었는데도 저소득층의 소득은 감소하고 자영업자가 어려운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혀서 정책을 세심하게 보완하겠습니다.

특히 일자리를 갖지 못한 분들과 경영상황이 어려운 소상공인, 규모가 작은 자영업들의 고통을 덜어드리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우리 경제의 현재 모습은 한두 달 만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의 

우리 경제가 어디에 있는가에 대해서 차분히 진단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에서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우리나라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서 1위입니다. 그러나 국내총생산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OECD 국가 중 끝에서 3번째로 낮습니다. 가계지출 중에서 정부의 교육, 의료 등 정부의 보조를 포함한 실제 개인소비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OECD 국가 중 끝에서 세 번째로 낮습니다. 

가계소비만이 아니라 정부지출도 매우 낮은 나라입니다. 정부지출 비중은 OECD 국가 중에서 끝에서 세 번째로 낮습니다. 사회복지지출 비중은 OECD 국가 중 최하위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여년간 OECD 국가 중에서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항시 가장 높았습니다. 그런데도 성장률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투자만이 성장을 견인한다는 생각에서 경제성장의 또 하나의 중요한 축인 국내수요, 즉 소비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간과해왔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실제 개인소비 비중이 지난 10여년간 OECD 국가 중에서 항시 최하위이었습니다. 우리 경제는 오랫동안 국내수요가 경제성장을 견인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국내수요, 즉 소비가 경제성장을 견인하지 못하는 이유는 경제가 성장한 만큼 가계소득이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2000년을 기점으로 작년까지 우리 경제는 89.6% 성장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71.5% 늘었습니다. 그러나 가계총소득은 69.6% 늘었고, 더욱 심각한 것은 평균 가계소득은 경제성장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31.8% 증가했습니다. 이렇게 중산층, 저소득층의 가계소득이 경제가 성장한 만큼 늘어나지 않은 근본적인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경제성장의 성과 중에서 가계소득으로 분배되는 몫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소득불평등이 심해졌기 때문입니다. 국민총소득(GNI)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67.9%에서 61.3%로 크게 줄었습니다. 반면에 기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에 17.6%에서 작년에 24.5%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과거에 대기업들은 버는 것보다 더 많은 돈을 미래를 위해 투자했습니다. 그러다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는 상황이 바뀝니다. 기업들이 버는 돈에 비해 투자 규모를 크게 늘리지 않았습니다. 기업투자는 기업의 투자 가능한 내부자금인 기업저축에 크게 못 미칩니다. 2013년부터는 지속적으로 기업투자가 기업저축보다 적습니다. 2016년에만도 기업투자는 기업저축보다 36조원이 적습니다.

가계소득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소비가 줄고, 기업소득 비중과 기업저축은 증가했지만 기업투자는 크게 늘지 않고 있는 것이 한국 경제의 현재 구조입니다. 경제성장의 성과가 가계소득으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국내수요가 정체되고 기업투자가 기업저축보다 작아지면서 성장잠재력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좀 더 미시적으로 들어가 보면 문제는 더 심각합니다. 

소득수준 상위 10% 근로자와 하위 10% 근로자의 임금배수는 2016년에 이미 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았습니다. 우리보다 높은 나라는 미국과 이스라엘 정도입니다. 저임금 노동자의 비중은 OECD 국가 네 번째로 높고, 고용 기간이 1년 미만인 단기고용 노동자 비중은 터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습니다. 고용불안이 가장 심한 나라인 것입니다.

경제가 성장해도 가계소득은 늘지 않고, 근로자 간 임금 격차는 더 커졌으며, 고용안정성은 낮고 기업의 투자는 몇 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올해 들어서 만들어진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재인정부는 작년 5월 출범 이후 경제구조를 바꾸는 일을 시작했습니다.

가계소득을 높여 총수요기반을 넓히고, 대기업 수출기업 위주에서 중소혁신기업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하며, 불공정한 경제구조와 거래 관행을 해소해야 함을 국민들께 호소했습니다.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라는 경제정책 방향이 그것입니다.

단순히 정책의 전환이 아니라 경제 운용의 패러다임을 전환한 것입니다.

최근 일자리, 가계소득 관련 통계가 악화되면서 '이 모든 것이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때문이다'라는 비판이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우리 경제가 안고 있는 모든 문제의 원인이라고 합니다. 최저임금 인상과 소득주도성장을 등치시키고,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전환하라, 심하게는 포기하라'고 합니다.

최저임금 인상은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문재인정부가 추진하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3개의 정책 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째, 가계의 소득을 높이고, 둘째, 가계의 생계비를 줄여 가처분소득을 높이며, 셋째, 사회안전망과 복지를 확충해 실질적인 소득증대 효과를 높이는 것입니다.

가계소득증대 정책은 최저임금 인상 및 일자리안정자금 지원, 근로장려금 확대 등을 통해 저임금근로자의 소득을 높이고, 카드수수료, 임대료 인하, 가맹점과 가맹본부 간 불공정 거래관행 해소 등을 통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정당한 소득을 보장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기초연금을 확대하여 노인가구 소득을 높입니다.

가계지출경감 정책은 핵심 생계비 부담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문재인 케어로 의료비를 줄이고, 보육료를 줄이고, 주거비용을 줄이고 어르신들과 저소득층에게 통신비, 교통비 등을 줄여서 가계의 실질소득을 높이는 것입니다.

또한 문화·체육·복지·관광·생활안전 시설 등 국민 생활에 꼭 필요한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확충과 쇠락한 도시환경 재생은 국민들의 삶을 크게 변화시키게 될 것입니다.

청년이 결혼을 미루는 이유 중 하나가 주거비 부담입니다. 신혼부부가 선뜻 아이를 갖지 못하는 것이 아이 키우는 데, 또 아이 교육시키는 데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이런 생계비 부담을 줄여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높여주는 것도 소득주도성장의 큰 축입니다.

소득주도성장의 마지막 세 번째 정책 축은 사회안전망과 복지제도를 확충하여 소득증대 효과를 높이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는 '한번 실패하면 모든 것을 잃는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번 직장을 잃으면 다시 이전만큼 좋은 직장을 얻기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선뜻 다니던 직장을 벗어나 창업하기도 어렵고, 새로운 도전을 위해 직장을 바꾸기도 어렵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보험 지원대상과 혜택을 확대하고, 한국형 실업부조 도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직업능력개발과 공공취업서비스를 확대해 국민들이 직면하고 있는 실직의 위험과 전직의 고통을 덜어드리고자 합니다.

아동수당을 도입해 아이 키우는 부담을 조금이라도 낮추고,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노인 빈곤에 대응하기 위해 충분하진 않지만 기초연금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다시는 송파 세 모녀의 비극적인 상황이 재연되지 않도록 부양의무자 조건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문재인정부가 추진하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방향입니다.

가계소득을 높이고, 지출비용을 줄이며, 안전망을 확충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최근의 고용 및 가계소득 지표는 '소득주도성장 포기'가 아니라 오히려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라'고 역설하고 있습니다.

만약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아니라면 다시 과거의 정책방향으로 회귀하자는 말입니까?

대기업·수출기업 중심의 성장정책은 과거 압축성장 시대에 효용이 다했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투자 중심의 성장정책만으로는 성장잠재력을 높일 수 없다는 것도 이미 밝혀졌습니다. 

양극화의 고통을 가져온 과거의 방식을 되풀이할 수 없습니다.

국가경제·기업뿐만 아니라 국민이 잘 사는 성장정책이 필요합니다.

경제성장의 과실이 일부 대기업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과 가계에 정당한 몫만큼 돌아가게 하는 성장이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지속가능한 성장입니다.

과거 정부와 같이 당장 눈앞에 보이는 성과를 위해 부동산·토목건설 경기를 부추기는 정책에는 의존하지 않을 것입니다.

최근 일각에서는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을 선택의 문제로 보고, '소득주도성장을 포기하고 규제혁신을 통한 혁신성장에 집중하라'고 합니다.

과거 정부에서도 녹색성장, 창조경제 등 투자 중심의 성장정책을 10여년 실시했지만 결과는 성장잠재력을 높이지 못했습니다. 

문재인정부의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은 선택의 문제도, 선후의 문제도 아닌 반드시 같이 가야 할 필연의 관계입니다. 신산업분야에 대한 과감한 규제혁신, 혁신인재 양성, 전략적인 집중투자, 창업 촉진 및 산업생태계 구축을 내용으로 하는 혁신성장은 소득주도성장과 분리할 수 없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습니다.

반드시 같이 추진되어야 다 같이 성공할 수 있는 패키지 정책입니다. 혁신성장을 통해서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가계소득을 늘리기 위한 기반이 확충되기 때문입니다. 가계소득이 늘어야 새로운 상품에 대한 소비가 늘고, 이것이 신산업 분야에 대한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공정경제는 이 두 정책이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불공정한 갑을관계, 기술탈취, 과도한 경제력 집중 등을 해소해 시장에서 공정한 룰에 따라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특히 공정경제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정당한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정책입니다. 하반기에는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 정책을 더욱 체계적이고 과감하게 속도감 있게 추진하게 될 것입니다.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어려운 난관을 극복해 나갈 것입니다.

이제 시작단계입니다.

문재인정부의 예산과 정책이 실행된 지 아직 1년도 되지 않았습니다. 올해 인상된 최저임금도 이제 반년을 지났습니다. 아동수당과 인상된 기초연금은 9월에 지급이 시작합니다.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기 위한 상가임대차보호법 등 민생법안은 아직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혁신성장을 가속화시킬 각종 규제혁신 법안도 국회에 계류되어 있습니다. 경제정책은 기획·입안에도 시간이 걸리고 실행에도 시간이 걸립니다. 물론 효과를 본격적으로 발휘하려면 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과거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것은 모두 인정할 것입니다. 양극화를 해소하고 국민을 더 잘 살게 하는 경제성장이 되어야 한다는 것도 모두가 수긍할 것입니다.

계획경제가 시작된 60년대 초 이후 50여년간 지속된 경제구조를 바꾸고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을 하는데 고통이 따르지 않는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서는 우리 세대가 현재의 경제구조와 체질을 바꾸어 놓아야 합니다. 다행히 희망의 싹이 조금씩 자라나고 있습니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 수준인 2.9%를 달성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출은 5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상회하고 있고, 특히 상반기 수출은 역대 최대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외국의 투자자들이 우리 경제가 얼마나 안정적이냐를 평가하는 기준인 CDS 프레미엄은 41bp로 위험도를 아주 낮게 보고 있습니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기록하고 있습니다. 

생산가능인구를 기준으로 한 고용률도 어느 때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신설법인 숫자는 사상 최대수치를 보이고 있고, 신규 벤처투자 역시 역대 최대실적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민간에서는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의 선순환 체계를 빠르게 만들어 기업들이 예측 가능한 정책환경 속에서 신산업분야의 혁신을 이루며 성장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할 것입니다. 비판들을 겸허하게 경청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경우에 정책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재인정부는 수십 년 만에 경제운용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루려고 합니다. 경제구조를 바꾸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만, 반드시 함께 잘 사는 결과를 이룰 것입니다. 

하지만 정책은 늘 양면성을 가지고 있고, 그로 인해 하루하루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분들이 더 고통받는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그분들의 짐을 조금이라도 덜고 정부가 나누어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가난하고 소외받는 서민들이 등을 기댈 수 있는 사회안전망을 확대하고, 사람으로서 대우받아야 할 최소한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포용적 복지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그것이 문재인정부가 있어야 할 이유입니다.

국민을 살리는 경제, 경제를 키우는 정책을 위해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언론도 목표가 다르지 않다고 믿으며 함께 해주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다시 한번 최근의 고용상황과 소득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지금의 상황을 헤쳐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8-26 22:30
   
꼼꼼하게 잘 읽었습니다.

한번 차분하게 믿고 가봅시다.


대한민국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닭밝 18-08-26 22:59
   
분배정책으로서는 맞는데 성장정책이 뒷받침되야지않을까싶어요
MDPS 18-08-26 23:17
   
성장없는 분배정책은 결국에는 공멸입니다  아르헨티나 그리스 베네주엘라가 그리 되었지요
세계를 무대로 이윤을 창출하는 많은 기업을 일구어야 합니다 그런거 없이 우리끼리 나눠먹으면 같이 망하는것 뿐이죠. 중국이 왜 기를 쓰고 적자나는 자국기업에 엄청난 투자를 하냐면 치킨게임에서 이기면 그다음 부터는 전부 자기들 것이 되기 때문에 그런 것이죠 현재 우리는 이러한 위중한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정신차려야 합니다
     
가마솥 18-08-26 23:23
   
베네주엘라가 왜 망했는지 부터 공부하고 오세요
     
incombat 18-08-26 23:58
   
미래에 대한 준비없이 뿌려대기만 하다가 망한 거죠. 폐미니즘식 공부 타령은 그만하세요.
incombat 18-08-26 23:57
   
소득주도성장이란 구호에 매의 눈으로 지켜보고 있지만 글은 참 잘 쓰셨네요. 글은 참 출사표같은 느낌이 들 정도입니다. 최저임금 상승과 임대차 보호법 같은 것이 타이밍 맞게 적용되었으면 좋았을 텐데요.

저는 공정경제에 더 포인트를 주고 싶습니다. 대기업의 지배 구조 개선도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장하준 교수같은 분은 경영권의 연속성이 한국의 성장을 이끈 점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전문 경영인이라고 앉혀 놓은 분들이 자기 업적 강조를 위해 분식회계를 하거나 단기 목표에만 치중하고 주주 이익만 신경쓰는 일이 많아 지고 있습니다.

경제적 자유를 획득하지 못 하는 한 진정한 자유, 평등, 민주주의의 길은 멀다고 생각합니다.
영어탈피 18-08-27 04:29
   
2분기 성장 0퍼대 기사뜸
뭐가 잘됬으면 좋겠는데 실패 하면 국가 경제가 2년 폭망한거 남은 임기동안 어케 복구하려고 하는지 상상도 안된다...
갈천 18-08-27 04:29
   
아니 소득주도 내수성장 다 좋은데 부작용 대책도잘마련하고 가야할꺼아닙니까 번갯불 콩구워먹듯이 일이년사이 해내겠다는 마인드로 가는데.. 그게 정상적으로 정착되겠습니까. 탈원전이나 좀 고만하시죠. 진짜 문정부 믿고 뽑았는데 국정운영능력이 실망스럽네요. 상가임대차보호법이니 민생법안이니 통과도안되고 최저임금인상을 무턱대고 실시하니 ㅉ .. 밑에글보니 우리는 중국에수촐도못하고 중국은 우리나라에 게임200개넘게 수출하고 아무대책도없고 대국이랍시고 슬슬기고있고...
별명이없죠 18-08-27 09:15
   
전 정권때 망한~
GM자동차와 경남 조선업의 구조조정으로 올해 제조업 실업자만 127,000명입니다
인력공급업체나 주변식당들도 타격을 받아 관련 업종들에서 각각 10만개와 4만개 넘게 일자리가 줄었습니다
위에 관련업체 실업자 숫자만 267,000명입니다

지난 9년간 대한민국 경제를 말아먹어도, 너무 말아먹었습니다.

지금 언론이 실업율이 높다고 난리지요
위에 나왔듯이 전~ 정권때 망한~
GM자동차와 경남에 조선소에서 실업자들이 저렇게 많이 발생했어도, 박근혜정부때와 실업율은 똑같습니다.
그만큼 또 다른~ 일자리가 늘어난것이겠지요.

1 고용률 2016년 66.1% -> 현재 67%
2 취업율 2016년 2641만명 -> 현재 2708만명
3 실업율 2016년 3.7% -> 현재 3.7%
4 경제성장율 2016년 2.9% -> 현재 2.9%

오히려 전 정권보다 고용률과 취업율은 더 좋아졌습니다.

지금 언론이 자영업이 어렵다고 난리죠.
그런데 전전 정권때가 더 어려웠습니다

2012년 8월 20일 기사 -> 경기 음식점 지난해 10곳 창업 9곳 폐업
2012년 8월 13일 기사 -> 월 167만원 못버는 자영업자 수두룩

그리고 언론은 사실을 왜곡했습니다

2018년 8월 23일 -> 文에 독박씌운 '음식점 90% 폐업'의 진실

1. 음식접 폐업비율 2007~2013년 7년간 연속 90% 넘어
2. 작년 비율 '6년만에 최고치'라는 보도도 엉터리
3. 2012년 폐업율이 최고치인 94.5%

과연 저들이 노리는게 뭘까요?
멀리뛰기 21-01-02 14:42
   
[기타경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26일 문재인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설명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33
   
[기타경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26일 문재인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설명  잘 보았습니다.
 
 
Total 16,41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5001
16263 [잡담] 일 독점' EUV PR 양산 임박, 삼성전자 미소 (1) 강남토박이 03-12 1004
16262 [재테크] [가상화폐 24시] 비트코인 상승 부채질하는 3대 요인 이진설 03-12 740
16261 [부동산] “어? 집주인이 중국인?”…외국인 부동산 사상 최대 (4) 가생이다 03-11 1577
16260 [기타경제] 비트코인 1억원 돌파, ‘돈나무 언니’ 10만달러 발언 현… (4) 이진설 03-11 1399
16259 [기타경제] "과일, 사진만 찍었어요". 저소득층 '직격탄 (25) VㅏJㅏZㅣ 03-09 2619
16258 [기타경제] 오르기만 하는 외식 물가…33개월째 고공행진 VㅏJㅏZㅣ 03-09 867
16257 [부동산] 아파트 재분양 또 미달..분양시기 눈치보기 VㅏJㅏZㅣ 03-08 1261
16256 [기타경제] 회사 특허 정보 빼돌려 놓고 영업비밀 아니라는 전 삼성… 이진설 03-08 1386
16255 [기타경제] 막장 대기업 경영권 분쟁...한미약품家 분쟁 격화… "모… (1) 이진설 03-07 1304
16254 [기타경제] 또 역대 최대폭 증가 (8) VㅏJㅏZㅣ 03-05 3588
16253 [기타경제] 범LG家 아워홈 오너, 회삿돈 떡 주무르듯 했나 이진설 03-05 1765
16252 [부동산] 105위 중견건설사도 무너졌다…‘4월 위기설’ 현실로? VㅏJㅏZㅣ 03-05 1389
16251 [잡담] 코스피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jpg (2) 강남토박이 03-04 1446
16250 [주식] 저PBR주로 날았던 SNT홀딩스, ‘반쪽 밸류업’에 주가 멈… 이진설 03-04 960
16249 [주식] 현정은·쉰들러 현대엘리 경영권 소송 8차 변론, 오는 5월… (1) 이진설 03-04 900
16248 [기타경제] 13년 만에 최대… 쪼그라든 ‘내수’ (2) 피에조 03-04 1222
16247 [기타경제] ‘영끌족’ 고금리에 지갑 닫자…국내소비 둔화 효과 23%… (3) 피에조 03-04 958
16246 [기타경제] 한전-가스공사 부채 250조 육박…작년 이자만 6조 (4) 가비 03-03 1230
16245 [과학/기술] "한국이 어쩌다 이 모양" 꼴찌 추락…중국에도 밀려 '… (1) 가비 03-03 1665
16244 [잡담] 일본, 작년 출생아 수 75만 8천 명 8년 연속 감소 '또 … (1) 강남토박이 03-03 863
16243 [기타경제] '한국 망했다'…출산율 0.7명 붕괴 속출, 인구소멸… (7) 가비 03-03 939
16242 [잡담] 제조업과 원가, 그리고 반도체와 중국 제조업 굴기 (3) 강남토박이 03-03 927
16241 [전기/전자] 원전으로 만든 전기는 안 된다?…한국 기업들 '전전… (32) 가비 03-02 2289
16240 [기타경제] “한국, 부진 끝 안 보여”…중국 물량공세에 공장 가동… (1) 욜로족 03-01 1880
16239 [과학/기술] 과학기술 중국에 첫 추월‥이차전지·반도체도 위험 욜로족 03-01 101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