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6-01-07 15:50
허울뿐인 창조경제, 제조업은 죽어간다
 글쓴이 : 처용
조회 : 5,118  


박근혜정권의 창조경제는 대기업 활성화 경제인가 봅니다.
전 아직도 창조경제가 경제 분야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분 대답 좀 부탁드립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주말엔야구 16-01-07 21:26
   
그걸 모르니까 창조경제 아닐까요?
자기가 뭘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여튼 뭔가가 되는것 같기도 하고
아닌거 같기도 하고
남들은 아니라고 하지만 내 업적을 위해선
일단은 되는것으로 생각하는
그런 식박한 창조정신에 입각한 경제발전
청백리정신 16-01-08 00:44
   
없던시장을 만들어 내는것..
폰의 발전으로 수백가지 신규 일자리가 창조 되듯이요..
일례로 우린 페이스북보다 10년가까이 앞선 네이트온 이나
싸이월드가 있었음에도 미국처럼 대박을 못쳤잖아요..
그런걸 사전에 발굴 하고 나라에서 밀어 준다랄까..
대중, 무현님 께서 일구신 타국보다 앞선 통신,커뮤니케이션
환경이라는 바탕위에서 엉뚱한 답없는 토목 공사를 벌이신 분 한명.
그걸보고 조금 정신 차려서 한게 그 창조 뭐시기죠..
오십보 백보 지만..
가닥은 잘 잡았는데 실행이 안되고 있어요...
솔직히 제조업은 네덜란드 스위스, 독일 처럼 기술 집약형
고부가가치 창출 쪽으로 속아지며 도태되는 과정이라 자연스런
흐름이라 볼 수 있는데..이는 폐업 되는 제조 회사의 매출 대비
순익을 통계낸자료가 있어요 통계청에..
회의 파포때 썼던 자룐데 다시 찾아보니 못찾겠네요.. ㅜㅜ
한마디로 규모의 경제만 믿고 기술개발 에 소홀히 해서 단순
노동 집약적인 아이템에만 매달리며 경쟁력 약화로 서서히 고사해간
케이스가 대부분 이었죠..
제조업이 문제가 아니라..그 제조업을 대체할 신규 시장을 만들어
내야하는데..이게 말로만 창조창조 거리고 게임시간 규제라던가
힘으로 억압하며 소통 안하는 거라던가...창조에 도움이 되는
행동은 전혀 안하고 이상한 짓 만 하고 있어서 문제에요..
Nitro 16-01-08 00:53
   
신산업의 창조
이 말로 축약될 수 있을 겁니다.
솔로우의 경제성장모형에서는 기술발전이라는 펙터에 들어가는 요소입니다.
과거의 예 중에서 가장 알기 쉬운 것을 보자면 인터넷이 되겠군요.
인터넷이라는 발명품은 과거에 없던 새롭고도 거대한 산업을 창조했습니다.
각종 검색엔진을 비롯하여 아마존닷컴 알리바바 등 여러 신흥대기업들의 모태가 되었고 스마트폰 같은 제품들에도 응용되고 있죠. 사물인터넷 시대가 곧 온다고도 하고요.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해서 경제규모가 얼마나 크게 증가했는지는 상상도 되지 않을 정도죠.
그런데 이 인터넷이라는 분야의 수요는 인터넷이 발명되기 전에는 아예 없었습니다.
이것이 핵심이죠.
기존의 따라잡기식 성장은 이미 한계에 달했으니 새로운 수요를 가지는 신산업의 발굴로 경제성장을 지속한다는 것이 창조경제입니다.
이미 존재하고 있는 산업은 성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농업이 아무리 발전해도 우리가 하루 3끼 먹던걸 5끼 먹게 되지는 않습니다.
제조업이 아무리 발달해도 우리가 벽을 TV로 도배할 정도로 많은 TV를 사지는 않습니다.
모든 산업은 결국 자체적인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고 결국 성장을 멈추게 됩니다.
이것을 넘어서 성장을 지속하려면 신산업이 발굴되어야 하죠.
전혀 새로운 분야에서 전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과거에는 없던 새로운 산업, 그리고 그것이 촉발하는 경제성장.
이게 그들이 말하는 창조경제이며 훌륭한 발상입니다.
문제는 그대로 행할 능력이 그들에게 부족하다는 것이며 의지조차 보이고 있지 않다는 것 정도가 되겠죠.
창조경제를 행하려면 기술혁신에 투자해야합니다.
그런데 현 정부에서 과거의 정부들보다 이를 위해 무엇을 더 했는가는 전 잘 모르겠군요.
프리홈 16-01-08 03:47
   
제조업도 업종의 변환기에 있읍니다.

이 흐름에 올라타지 않으면 도태되어야 한다고 보야겠지요.

유럽을 여행하다보면 시뻘겋게 녹슬은 거대 공장들을 보게 됩니다.
중후장대형 제조업이 사양길에 접어들 때, 나타난 결과입니다.

제조업 변환이 쉽지 않기때문에 우선 생태계 변환이라는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 가운데 고민차원에서 나온 것이 창조경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창조경제는 기존의 중소, 중견 제조업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 대기업(주로 재벌) 등이 자본공여하고, 기술지원하고, 생태계 조성해서 대기업(재벌 포함)-중견기업-중소벤쳐기업의 상호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라 봅니다.

업종은  ICT, BIO, 신생에너지, 무인자동차, 우주항공... 등으로부터 확산이 되리라 봅니다.
 
그리고 우선 배양기간이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기다려 봅시다.

그래도 한국의 제조업위치가 어려운 국제환경 속에서도  20여년간에 걸쳐 세계에서14~15위권에서 4~5번째 위치로 꾸준히 올라서고 있습니다.

한국 바로 앞자리가 네델란드인데 그리 차이가 많이 나지도 않습니다.
궤도에 오르기만 하면 조만간 한단계 올라설 수가 있겠지요.

자료마다 조금 차이가 나긴합니다만 한국앞에 제조업규모로 봤을 때는 중국, 미국, 일본, 독일 등이 있는데...
경쟁력으로 봤을 때는 야간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다음 자료에서 제조업의 위치에 관해 언급되는 것 같으니 참고하시지요.

https://www.youtube.com/watch?v=H3QqFxsBB9E (2016 세계경제 대전망)
https://www.youtube.com/watch?v=MfIwrntRJdo (2016 한국경제 대전망)
싱싱탱탱촉… 16-01-08 08:38
   
그냥 쉽게 이렇게 생각 하시면 됩니다.

대기업을 밀어 줬으니 그 대기업이 중소기업에게 오더를 주면 됩니다.
그것이 소위 말하는 낙수효과지요.

그런데 그 낙수효과가 미미해요.

그게 문제지요.

또한 대기업의 해외 생산기지 이전... 큰 문제지요.
wndtlk 16-01-08 08:55
   
2014년도  한국은 OECD 국가중 제조업 비중 49%로 1위, 서비스업 비중 40%로 꼴찌입니다.
소득이 3만불을 넘게되면 노동집약적 제조업은 개도국으로 넘어가는 것이고 서비스 산업을 발전시킬 수 뿐이 없습니다. 우리보다 잘사는 나라는 서비스업의 비중이 제조업보다 높습니다. 미국의 경우 제조업 비중은 14% 정도 뿐이 안됩니다.
제조업이 죽어간다고 하지만 개도국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노동집약적 기술은 죽어갈 수 뿐이 없고 고급기술의 제조업만 살아나갈 수 뿐이 없습니다. 제조업 전체의 비중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한 추세이고 고급기술의 제조업 분야 (IT,BT.NT)가 제조업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하고 3차산업인 서비스업분야를 성장하도록 해서 산업비중을 높여야 합니다.

서비스업이라고 물류,유통, 금융, 요식업 등만 생각하지만 지식기반 서비스업 (IT,  BT, NT의 연구개발, 통신, 소프트웨어, 연예, 영화, 특허) 등은 그 자체로 산업의 성장을 이끌 것이고 고급기술의 제조업과 연계하여 동반 성장하도록 해야 합니다.

한국의  노조도 선진국 쪽에서도 제조업 비중이 줄어드는 세계적 변화추세에 적응하고 육체적 노동보다 정신적 노동의 비중이 커질 것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노조원의 계발에 신경써야 합니다. 기술수준이 높아진 현대에서는 낫과 망치로 제조업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차피 개도국에 밀려 도태할 산업을 살려내라고 해서는 해결할 수 없는 일을 해결하라는 것과 같습니다.
     
싱싱탱탱촉… 16-01-08 09:43
   
제조업이 망하면 나라도 망합니다.
          
wndtlk 16-01-08 09:47
   
제조업이 망한다는 얘기가 아니고 중국 등의 개도국에 밀리는 분야는 정리하고 고급기술의 제조업은 육성해야 하지만 제조업 비중을 낮추고 서비스산업 비중이 높여가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우리나라의 치킨집이 맥도날드의 전세계 매장 수보다 많답니다. 이러한 영세 치킨집을 키우자는 얘기가 아니고 3차 산업도 경쟁력 있는 분야를 육성하고 고용을 창출해야 합니다.
썬코뉴어 16-01-12 13:17
   
댓글 알바가 여기에도 있네...
유저님 16-01-17 17:13
   
제조업을 키우는 것이야 말로 일거리를 늘리고 실업율을 줄이는 방법이죠
미국의 오바마의 기본 정책이기도 하고요
현재 세계경제가 어려운데 미국 홀로 활황인 이유가 거기에 있죠
일자리의 질보다는 일자리 자체를 늘려서 고용을 유발시키고 내수를 키워야지만이
가계부채를 줄이고 내수시장이 정상적으로 돌아갈겁니다
올해에는 서민들이 최저임금이라도 정상적으로 받을수 있도록 법과 제도가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wndtlk 16-03-31 12:35
   
미국의 경우 제조업 비중이 14%라 올릴 필요가 있지만 우리나라는 49%로 OECD 1위라 낮추고 지식산업과 서비스업 (지식산업도 서비스업에 포함) 된다는 얘기입니다. 위의 제 글 좀 읽어 보세요.
멀리뛰기 21-01-01 20:26
   
허울뿐인 창조경제, 제조업은 죽어간다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0:34
   
허울뿐인 창조경제, 제조업은 죽어간다  잘 보았습니다.
 
 
Total 16,39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4295
10342 [전기/전자] 애플 이제 PC칩도 만든다..10일 맥북 신제품 공개할듯 (29) 스크레치 11-06 2997
10341 [기타경제] 온통 CHINA로 뒤덮인 나이키… 中 수입 박람회. (9) 스쿨즈건0 11-06 5296
10340 [기타경제] 中, 미국 편드는 호주산 곡물 수입 전면 금지. (21) 스쿨즈건0 11-06 3258
10339 [과학/기술] [기사] 삼성이 대만 TSMC를 이기기 어려운 5가지 이유 (41) 없습니다 11-06 5624
10338 [주식] 코스피 지수 점검 (6) 지팡이천사 11-06 1242
10337 [기타경제] 러시아로 팔리는 韓아이스크림 (19) 스크레치 11-05 6464
10336 [전기/전자] 삼성전자 中샤오미·오포 중저가폰에 엑시노스 칩셋 공… (2) 스크레치 11-05 2472
10335 [전기/전자] 韓 글로벌 5G 통신장비 시장 주도권 고삐 '바짝' (5) 스크레치 11-05 1680
10334 [기타경제] 아일랜드 출신 화웨이 부사장 중국서 돌연 사망 (5) 일반시민 11-05 2874
10333 [자동차] 현대 日도요타에 선전포고…中서 수소전기차 맞대결 (2) 스크레치 11-05 2809
10332 [기타경제] 특허 사용료를 가장 많이 내는 국가 순위 (8) 호이짜아 11-05 4349
10331 [기타경제] 세계 5대 라면기업 현황 (2020년) (44) 스크레치 11-05 6764
10330 [기타경제] 삼성전자, 中서 모바일AP 발표…이재용의 변화된 시장 … (7) 스쿨즈건0 11-05 4237
10329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국가 현황 (2. 아르헨티나) (IMF) (43) 스크레치 11-04 6860
10328 [전기/전자] 중국에 엎드린 애플‘홍콩인 해방’ 문구, 제품 각… (19) 스쿨즈건0 11-04 5054
10327 [주식] 5일선 예측과대응의 한계 (10) 지팡이천사 11-04 2004
10326 [전기/전자] 韓·中에 끼인 日 전고체전지 개발에 사활 걸었다. (30) 스크레치 11-03 6073
10325 [기타경제] 10월 세계 주요 경제권 업황(구매관리자지수) (6) 귀요미지훈 11-03 2179
10324 [전기/전자] [단독]삼성 폴더블 라인 구축 예정 (3) 스크레치 11-03 4044
10323 [주식] 11월2일차 종합주가지수 (10) 지팡이천사 11-03 1641
10322 [전기/전자] 中화웨이 몰락 현실화…韓기업 “타격 미미” (67) 스크레치 11-03 8814
10321 [기타경제] 높아지는 무역장벽…한국산 대상 수입규제 작년보다 27… (20) 스쿨즈건0 11-03 4433
10320 [기타경제] 中 '호주 보복 조치', 랍스터까지 확대? (27) 스크레치 11-03 4681
10319 [자동차] 현대차가 삼성과 손잡은 이유는?..전기차 배터리 숨은 이… (6) 스크레치 11-03 3401
10318 [주식] 정치와경제 그리고3억 대주주양도세 (13) 지팡이천사 11-03 1006
 <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