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1] [2] [3]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16-12-21 16:08
[펌글] 피파가 컨페더컵없애고 클럽월드컵 키우려는 이유
 글쓴이 : 두리네이터
조회 : 1,806  

FIFA가 클럽월드컵을 32팀 체제로 확대 후 2년 주기로 개최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습니다(부제;클럽월드컵 확대 개편의 배경은 무엇일까?) | 축 구 토 크
전체공개 2016.12.21. 00:01
퍼스나콘/아이디 영역
빌게칸(parl****)
카페매니저 1:1대화
http://cafe.naver.com/kleagueworld/109818  주소복사
1. 현행 클럽월드컵 진행 방식 및 배경
현행 클럽월드컵은 매년 12월 초~중순에 토너먼트 방식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대륙별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개최국 1부리그 우승팀 등 총 7팀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사실 대회 명칭과는 무색하게 대회 규모 자체가 작은 편이고, 권위 또한 높지 않은 편입니다.
말그대로 최소한의 상징성, 구색만 갖춘 대회인 것입니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1960~2004년에 개최된 인터컨티넨탈컵(일명 '도요타컵')의 확장팩 수준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인터컨티넨탈컵에는 남미, 유럽 챔피언만 참가했다면,
클럽월드컵에는 각 대륙별 챔피언스리그 및 개최국 챔피언이 참가한다는 점입니다.

현재 FIFA가 클럽월드컵을 12월에 개최하고 있는데 '매년' 개최하기 위해서는 그럴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2014년 6월은 월드컵, 2015년 6월은 코파아메리카, 2016년 6월은 유로2016, 2017년 6월은 컨페더레이션스컵이 개최되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그 12월이 유럽 빅클럽들이 한창 시즌이 진행중인 시기라는 점입니다.
리그 우승 경쟁에 집중해야할 시기에 장거리 비행으로 어디론가 날아간다는 것 자체가 굉장한 부담입니다.

사실 유럽 빅클럽 입장에서는 2경기 하고 우승 상금 500만달러 벌겠답시고 시즌 도중에 짬내서 장거리 비행을 할 바에는
까놓고 말해서 안나가도 그만이기는 한데 그래도 FIFA가 나름대로 최대한 배려를 해주니까
적당히 져주는 척 하면서 FIFA 가오도 살려주고, 단기 알바 하는 셈 치고 대회에 출전하는 상황이나 다름없습니다.

7팀이 참가하여 어정쩡한 형태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에는 바로 이러한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유럽 빅클럽들의 참가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라는 것입니다.



2. 컨페더레이션스컵 폐지 및 클럽월드컵 확대 추진 배경
최근에 FIFA, UEFA, ECA를 중심으로 컨페더레이션스컵 및 클럽월드컵에 대한 이해관계의 변화가 생겼습니다.

FIFA 입장에서는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수익성이 낮고,
UEFA 입장에서는 컨페더레이션스컵이 있든 없든 상관없고,
ECA 입장에서는 컨페더레이션스컵 때문에 선수만 차출당하면서도 정작 떡고물은 떨어지지 않는 관계로
컨페더레이션스컵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가 높아진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싸리 컨페더레이션스컵을 폐지하고, 클럽월드컵을 극대화시키자는 아이디어가 등장했습니다.
FIFA 입장에서는 유럽 빅클럽들을 적극 활용하여 월드컵 이외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고,
UEFA 입장에서는 클럽월드컵 확대로 유럽 빅클럽들의 재정 규모가 더 확대되면 본인들에게도 좋고,
ECA 입장에서는 국대 차출로 인하여 호구짓 당하느니 아싸리 본인들이 돈이라도 직접 버는 것이 더 좋으니 말입니다.

유럽 빅클럽 기준에서 보면 뭐가 되었든 매년 여름에 선수 차출 각이 나옵니다.
2014년 월드컵, 2015년 코파아메리카, 2016년 유로2016, 2017년 컨페더레이션스컵, 2018년 월드컵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단지 어느 대회에 선수가 차출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선수 차출에 대해서 유럽 빅클럽들은 굉장히 싫어합니다.
왜냐? 간단합니다. 그들에게 돌아오는 이익 따위가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지금 체제를 유지해봤자 매년 여름마다 선수 혹사가 되는 것은 매한가지이니
그럴 바에는 혹사를 시킨다고 쳐도 '그에 따른 이익만큼은 본인들이 제대로 챙기겠다'라는 생각인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2년 주기로 클럽월드컵 확대 개편될 경우
클럽월드컵 출전 여부와 관계없이 기존 체제보다 더 이익이 됩니다.

클럽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하면 대회 참가에 따른 금전적 이익을 얻게 된다는 점도 있지만
클럽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할 경우 홀수연도 여름에 선수들이 전혀 차출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하니 말입니다.

왜냐하면 2년 주기로 클럽월드컵이 개최된다는 것은 곧 코파아메리카가 개최 주기가 변경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게 되면 홀수연도 여름에는 오직 클럽월드컵 이외의 메이저 대회 자체가 전혀 개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클럽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선수단의 완전한 휴식이 보장되니,
출전 여부와 관계없이 확대 개편에 따른 기본적인 이익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클럽월드컵 확대 개편은 유럽 빅클럽들에게 분명히 이익이 되는 방향이기에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ECA가 클럽월드컵 확대 개편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한 것이고
때마침 FIFA, UEFA와도 이해관계가 오지게 들어맞으면서 급물살을 타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컨페더레이션스컵 페지 및 클럽월드컵 확대 개편 추진 자체는 사실상 확정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3. 클럽월드컵은 어떤 형태로 확대될까?
클럽월드컵 확대 개편안이 처음 보도되었을 때에는 2년 주기로 16팀 또는 24팀 확대 방안이 언급되었습니다.
다만 최근 들어서 인판티노 FIFA 회장이 2019년부터 클럽월드컵이 32팀으로 확대하는 것을 추진한다고 언급한 만큼
FIFA가 32팀 체제로 확대 후 2년 주기로 개최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 http://www.mirror.co.uk/sport/football/news/uefa-planning-expanded-club-world-8858328
+ http://www.si.com/planet-futbol/2016/11/18/club-world-cup-32-teams-fifa-gianni-infantino 참고 )

다만 FIFA가 2년 주기로 클럽월드컵을 개최하기 위해서는
CONMEBOL과의 이해관계 조정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입니다.
왜냐하면 클럽월드컵이 확대될 경우 개최 시기가 12월에서 6월로 변경되기 때문입니다.

2021년, 2025년 등과 같이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연도 같은 경우 어차피 컨페더레이션스컵이 폐지되니 상관없는데
2019년, 2023년 등과 같이 코파아메리카 개최연도 같은 경우 시기가 완전하게 중복되므로
이 부분에 대하여 교통 정리를 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점을 FIFA가 이미 더 잘 알고 있을테니 CONMEBOL과도 조만간 쇼부를 칠 것으로 보입니다.
코파아메리카의 개최 시기를 변경하는 쪽으로 말입니다.

물론 CONMEBOL이 이에 대하여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전혀 알 수 없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따로 입장을 표명한 적이 없으니 말입니다.

다만 CONMEBOL이 굳이 현재의 개최 시기를 고집해야할 이유는 없으니
왠만하면 FIFA와 서로 적당히 쇼부를 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하여 아래와 같이 교통 정리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8년 : 월드컵
2019년 : 클럽월드컵
2020년 : 유로2020, 코파아메리카
2021년 : 클럽월드컵
2022년 : 월드컵



물론 가능성은 낮겠지만 CONMEBOL이 현재의 개최 시기를 고수한다면
그냥 2021년, 2025년 등 기존 컨페드레이션스컵 개최 시기에 4년 주기로 개최한다고 보면 됩니다.

아무튼 2년 주기가 되든 4년 주기가 되든 32팀 체제로 확대될 것이라는 점은 확실합니다.
인판티노 FIFA 회장이 2019년부터 클럽월드컵이 32팀으로 확대하는 것을 추진한다고 언급한 상황이니 말입니다.

FIFA에서는 클럽월드컵의 대회 기간으로 3주를 잡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6월의 마지막 3개 주에 걸쳐서 개최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5월 중순~6월 초에 하지 않고 6월 중순~말에 하려는 이유는 홀수연도 6월에 A매치데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 http://thenewscentral.net/fifa-boss-suggests-32-team-club-world-cup-in-2019/ 참고 )

그리고 진행 방식의 경우 UEFA 챔피언스리그의 진행 방식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즉, 32강 조별리그를 치른 뒤 16강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식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 https://www.theguardian.com/football/2016/nov/18/gianni-infantino-club-world-cup-expansion 참고 )

이러한 방식대로 3주간 대회를 진행한다고 치면 각 경기일별 개최 경기수는 아래와 같이 잡히게 될 것입니다.

- 클럽월드컵 32팀 체제(32강 조별리그+16강 토너먼트) 확대시 각 경기일별 개최 경기수 -
4 4 0 4 4 / 0 4 4 0 4 / 4 0 2 2 0 / 1 1 0 0 1 / 1 = 21일(팀당 3~7경기)



이러한 계획대로라면 각 팀당 3일에 1경기를 치르는 체제가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32강 조별리그 및 16강 토너먼트를 정확히 3주만에 끝낼 수 있으니 말입니다.

사실 일정이 빡세기는 한데 그렇다고 월드컵처럼 5주 가까이 치르는 것이 구단들에게는 더 안좋으니
단기적으로 좀 빡세도 후딱 3주 내로 시마이를 치려고 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아무튼 위에서 언급한대로 FIFA의 클럽월드컵 확대 개편안은 그 윤곽이 뚜렷하게 나온 상황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각종 이해관계를 고려해볼 때 FIFA가 의도하는대로
2019년부터 32팀 체제로 확대 후 2년 주기로 클럽월드컵을 개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작성자의 게시글 더보기
댓글 4  new |
등록순
| 조회수 95 | 좋아요  0
블로그카페북마크메모폴라구독
보내기
| 인쇄 | 신고
gldrns2016.12.21. 01:42답글신고
32팀에 4개팀 1조 방식이면 리그일정이 좀 빡세긴 하겠네요.....
(개인적으로는 3개팀 1조방식을 선호하는 편인데...)

그래도 3주이상은 일정상 합의보기가 힘드니 최대한 고려한것 같고 기존에 리그 휴식기를 잘 이용했다고도 생각합니다.

다만, 기네스컵이 좀 애매해질것 같네요. 뭐,유로시즌에도 운영은 했으니 없어지는건 아니겠지만 규모면에서 타격을 입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빌게칸2016.12.21. 01:50답글신고
기네스컵은 일개 프리시즌 친선대회에 불과하며, 클럽월드컵과는 아예 상관이 없습니다.
그리고 공식 축구 기구가 아닌 제3자가 주관하는 프리시즌 몸풀기용 대회인지라
어찌 되든 말든 축구 발전과는 하등 상관도 없지만 말입니다.
gldrns2016.12.21. 01:49답글신고
빌게칸 기네스컵이 직접적으로 간섭은 못하겠죠.

다만, 휴식기의 빅클럽간의 경기로 인기를 높여가는 추세에 클월의 등장으로 그 존재가치면에서 떨어질것 같고 일정면에서도 장거리 비행이 생길 수 있으니 빅클럽들의 경기가 줄 것 같습니다.

그냥 기네스컵 입장에서는 불운이 생긴것 같은 느낌인것 같아서요.
[출처] FIFA가 클럽월드컵을 32팀 체제로 확대 후 2년 주기로 개최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습니다(부제;클럽월드컵 확대 개편의 배경은 무엇일까?) (K리그월드 & K League World) |작성자 빌게칸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용팔이 16-12-21 16:27
   
재밌겠네요
클럽 월드컵도 확대되면...

근데 한나라에서 과연 몇개팀이 나올수 있을까요 ?

스페인,잉글랜드 리그 팀이 한팀만 나온다면 김빠지는 대회일듯..

그리고 컨페더컵은 국가 대항전인데.. 왜 다른 성격의 대회로 대체하려 하는지
     
두리네이터 16-12-21 16:31
   
본문에 자세히 설명되어있지만 결론은 돈이죠. 컨페더컵은 돈이 안되고 클럽월드컵은 돈이 된다는거. . 

그리고 컨페더컵은 비슷한 성격의 상위대회인 월드컵이 있지만 클럽월드컵은 그자체가 최상위대회죠.
     
볼텍스 16-12-21 16:31
   
내설리즘을 뺸 돈의 전쟁, 프로의 전쟁을 만들려는거죠.
설사약 16-12-21 17:22
   
유럽쪽 클럽 상위권애들이랑 다른 대륙 클럽 실력차가 너무 심해서 걍 유럽클럽애들이 찜쪄먹을거 같은데 과연 어찌될지요..
캣타워번지 16-12-21 19:09
   
매년 클럽월드컵 있으면 재미도 있고 돈도 되긴 하겠네요.

매년이니 월드컵처럼 32개국은 무리더라도 각 대륙별로 숫자배정 어느 정도 해서...
8-16개 팀 정도의 대회로 성장하면 볼만할듯요.
     
두리네이터 16-12-21 20:57
   
매년이 아니라 2년주기로 한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