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1] [2] [3]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16-01-19 15:22
[잡담] 중국 유소년 축구 육성시스템의 문제점
 글쓴이 : 이리듐
조회 : 1,106  

1. 도시호적이어야한다.


2. 도시호적중에서도 부유층이어야 한다.


3. 실제 유소년 축구를 운영하는 구단이 별로 없다.


4. 부족한 구단유소년축구를 극복하기 위해 학원축구를 늘리고 있으나 아직 전시행정 수준.


5. 학원축구를 늘리건 클럽축구를 늘리건 늘어난 인구만큼 취업할 자리가 많아야 하는데 별로 없다.


6. 1부리그는 윙어밖에 뛸자리가 없고 현실적으로 뛸수 있는 자리는 2부리그다.


7. 인구수준에 비해 축구장이 별로 없다.


--------------------------

중국축구가 인구만큼의 축구실력을 갖추려면 취업자리가 많아져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1부리그의 외국인 용병비율을 줄이고 하부리그가 더 많아져야겠죠. 취업자리가 많아져야 유소년인구도 함께 느는 것인데 지금의 구조로는 택도 없습니다. 사실상 각 성마다 한팀씩정도 밖에 없는 상황과 그마저도 외국인이 차지한다는 것은 그냥 외국인 좋은일만 시키고 있는겁니다. 그나마 비집고 들어간 중국인 선수들 조차도 고액연봉을 받으며 생활을 하니 해외로 나갈 생각도 하지 않고 있고..


아무튼 총체적 난국인데 중국국대가 실력이 좋아지려면 외국인용병을 줄이고 중국인선수에 한해 샐러리캡을 도입하고 모든 구단들에게 유소년 보유 의무화, 그리고 각 성마다 지역리그를 운영하고 거기서 좋은팀이 전국리그를 진출하는 브라질리그식의 방식을 도입하는 식의 개혁이 필요해 보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실험가 16-01-19 15:24
   
한국돈으로 일천만원 이상 듭니다.금수저 아니면 이용못함.물론 한국도 그이상 들지만 평균소득이 4배죠.
     
이리듐 16-01-19 15:32
   
한국도 현재 돈이 드는건 사실인데 정부에서 대한체육회와 국생체를 통합하기로 했고 학교스포츠클럽을 활성화하기로 함에 따라 선수를 지향하는 축구부와 취미활동을 하는 축구부의 구분이 사라져가고 있죠. 선수 축구부도 공부를 해야 축구선수를 할수있다고 하니..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점차 클럽축구를 지향하고 있다는점에서 긍정적입니다.
리차일드 16-01-19 15:33
   
광저우 축구교실이 3500명 수용인데 줄을 섰다던데요

빈부격차도 빈부격차지만 부자도 그만큼 많아서요
     
실험가 16-01-19 15:37
   
광저우같은 시설 5개는 생겨야 한국과 대등해집니다.그만큼 한국이 시설이나 유소년축구엔 투자많이해요.
     
이리듐 16-01-19 15:37
   
문제가 그거죠. 광저우를 비롯한 몇개구단 정도밖에 유소년 축구가 잘 안되있다는것과 부자만이 할수있다. 중국이 부자가 많은건 저도 알겠는데 결국 가난한사람은 배제가 되는 격이니 인구빨을 살리지 못한다는 겁니다.
파연 16-01-19 15:42
   
저는 5번 일자리 문제가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축구학교를 만들어도
공부를 같이 해야 선수가 안돼도 먹고살수 있어서 수천명중에 많아야 다섯명 정도나 축구를 하지
나머지는 그냥 취미로 하는정도 밖에 안되죠. 축구로 먹고살수
있는 직업이 많아져야 학교를 많이 만드는 의미가 있다고 봄.
     
이리듐 16-01-19 15:50
   
정확히 보셨습니다. 우리나라 프로야구가 10구단이되자 고교야구팀이 더 많이 늘어났으니까요. 미국이나 일본의 프로야구도 독립리그가 활성화 되어있고 미국은 마이너리그까지 있으니 실제 유소년단계에서 야구를 하는 인구가 대단히 많죠.
고프다 16-01-19 15:48
   
그러니까 그 투자라는게 빛좋은 개살구에 불과함
     
이리듐 16-01-19 15:52
   
맞습니다. 돈이 필요한곳에 투자되지 못하는 느낌입니다. 시진핑이 축구를 강화하려고 노력한게 중국이 태국에게 5대1로 패하면서부터인데 국대실력을 갖추고자 축구를 강화한 목적이 퇴색이 되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