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1] [2] [3]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19-06-15 08:17
[잡담] 오세훈 "자신감 생기니 안 되던 기술도 통해
 글쓴이 : 축구매냐
조회 : 1,485  

그렇습니다.
우리나라 선수들이 유스에서 갑자기 실력이 정체되는 이유가,
역시나 유스리그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때문입니다.
연령별 대표팀에 들어가야만
세계축구를 경험할 수 있는것도 단점이구요.
유스리그 활성화와 국제무대 꾸준한 교류가 매우 중요.
경기경험이 곧 자신감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승우빠어어 19-06-15 08:20
   
일단 프로대뷔년도가 빨라지고 있다는게  고무적이고 또한 u22  규정으로 인해 어린 선수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진다는 게 참 기쁩니다. 준프로계약 규정으로 인해 고교생 데뷔 선수도 볼 수 있는 게 하나의 포인트죠
     
축구게시판 19-06-15 08:32
   
제일 도움이 되는건 1학년 리그가 생긴다는 움직임인거 같아요.
쌈바클럽 19-06-15 08:29
   
송종국 유튜브에서 설기현이 그런 비슷한 얘기를 했죠.
사실 한국선수들 재능있는 선수들 많은데 아시아(또는 한국)에서만 커오다 보니 외국인(유럽)을 상대하는데 익숙하지 않아서 대처할 줄을 몰라서 실력발휘 안되는 부분도 있다고...

사실 생활체육 하사는 분들도 많이 느끼실거에요. 익숙한 멤버 익숙한 상대하고는 편하게 되던것도 경험이 없거나 심리적으로 위축되면 안된다는것. 실전에선 연습때 반도 하기 힘들다는거요.

물론 프로의 세계는 냉정하고 그런걸 해내야 하는 건 맞지만 냉정하기만 해선 우연히 잘하는 강심장 몇명 만 거진게 될거에요. 축구뿐 아니라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죠.

가능성을 발견해주고 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주변의 격려와 응원은 많은 젊은 재능들을 만날 수 있는 길일겁니다. 후배를 아껴주시고, 아이를 사랑해주세요.

채찍질도 필요하지만 화풀이가 되는건 아닌지 돌아봐주세요.
애정이 담겨야 사랑의 매도 의미가 있는거니까요.

그리고 아시아 축구뿐 아니라 세계(국제적인)를 경험하려면 어떤 나라 선수라도 국가대표가 되야 가능한거죠.
우리의 기준, 세계가 유럽이니 유럽인은 그냥 자연스럽게 국제적일것이라고 판단하게 되지만...
연령대표, 국가대표 안거친 선수들이 국제적 경험을 쌓는다는게 유럽인이라고 쉬운게 아니죠.

K리그,J리그 같은 아시아라도 진출해봐야 다른 축구도 볼 수 있는데 자리는 비좁죠.
우리보단 유리할 수 있다고는 해도 유럽선수들도 흔히 말하는 4대리그(1부)에서 주전급으로 뛰는 자리는
역시 엄청난 경쟁이 필요하고 대부분은 각국(연령포함) 대표를 들락거리는 선수들이죠.

연령대표를 통해서 처음 국제적 경험을 쌓고 어려움을 느끼고 극복해가는거 마냥 이상한 일은 아니라는거에요.
자연스런 성장과정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봐요.

우리가 그것을 이해하고 격려해 줄 수 있다면요.

그리고 핵심은 그들도 국제경험 없는데 그들은 유럽이고 남미라서 아시아에 주눅들지 않는데
우리는 아시아기에 유럽과 남미에 자연스럽게 주늑 드는것은 국제적 감각의 절실함이라기 보단
역사의 깊이 만큼의 자긍심, 자신감 부족이란 생각입니다.

우리가 처음 만나는 동남아팀 상대로 주눅든다는 생각 해본적도 없죠.

역사가 깊어지고 한국축구가 한번씩 자부심을 가질 전적을 쌓아간다면 자연스럽게 극복될 문제라고 생각해요. 시스템이 지금하고 별로 달라진게 없어도 손흥민,이강인 이후 세대는 그냥 자연스럽게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는거죠.
Kaesar 19-06-15 09:19
   
코치라는 것들이 때리고 욕하는 훈련방식이야말로 당장 버려야 할 적폐입니다.

자신감을 상실하게 하고 모험과 새로운 시도를 억제하는 못된 관행이지요.
축구에 대한 애정과 스포츠에 대한 선망을 꺾어 버리고요.
그림자13 19-06-15 10:20
   
어릴 때는, 유럽에서 배운 선수나 한국에서 배운 선수나... 아직 완성들이 안되어 있으니..
큰 차이가 안 날 수 있지만,

이 선수들이 앞으로 계속 뛰게되는 리그의 수준에 따라 성인으로 올라가면서.. 실력차가 벌어집니다.
리그 전반의 모든 것이 차이가 너무 나요..

선수들... 아니 사람이라는게 갈 수록 계속 실력이 늘고 성장하는 면이 있는 것은 분명하고,
성인이 되어도 사실은 계속 실력을 갈고 닦아야 하잖아요.. 손흥민 선수만 봐도 알수 있는 일이기도 하구요.

결국 궁극적으로 성인대표팀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리그 자체가 더 수준이 올라가던가..
혹은 핵심 선수 다수가 탑리거에서 활약하던가 둘중 하나입니다.
혹은 둘다 병행해서 일어나야 하는 일이죠..

오세훈 선수도 앞으로도 성장 여지가 많고, 좋은 리그에서 좋은 지도자을 만나서..
완전히 다른 선수가 될 수도 있죠.. 혹은 아시아 리그 수준의 선수가 되던가...
기회가 오면 무조건 전 유럽에 도전하라고 말하고 싶어요..

한국축구가 느려보여도 분명히 조금씩 조금씩 찬찬히 발전은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축구더 많이 바주고, 좋아하는 리그팀 하나 정도는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하면
강해질 수 밖에 없다고 봐요.

문제라고 하면..굳이... 야구의 나라라는게 함정이랄까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