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1] [2] [3]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15-03-15 19:19
[잡담] MLS는 한경기 입장수입이 평균 4억8천만원입니다
 글쓴이 : 아이핀014
조회 : 1,145  

평관 1.8만에 객단가 2.7만원....
경기 3번만 하면 거의 아챔우승상금 뽑습니다


반면 K리그는 평관 0.8만에 객단가 0.3만원
경기당 입장수입 2400만원입니다 

대략적인 계산이지만 
경기당 입장수입이 20배 차이나네요

이제 MLS는 준 빅리그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만원사냥 15-03-15 19:25
   
원래 뭘해도 파이 자체는 큰 미국이라서

그리고 그 MLS 올해의 신인상인가 받은 오스틴이라는 선수가 이번에 안양에 입단했죠. 기대되는 선수임.
     
아이핀014 15-03-15 19:30
   
미국이랑 우리나라랑 시장규모차이가 12배인데
축구 입장수입은 20배차이입니다
게다가 MLS는 도시간 거리가 너무 멀어서 원정팬을 기대하기 힘든조건이구요
한국엔 야구 하나밖에 없지만
미국은 슈퍼볼이라는 넘사벽이 있고, 그 밑에 야구 하키 농구까지 있습니다
          
만원사냥 15-03-15 19:32
   
그래서 말씀하시고 싶으신게?
               
아이핀014 15-03-15 19:36
   
파이빨이 아니라는거죠
                    
배신자 15-03-15 19:40
   
인구도 생각하셔야죵...
                         
아이핀014 15-03-15 19:48
   
네 인구랑 물가 감안한 시장규모가 12배차이라구요
근데 입장수입은 20배 차이라구요
                    
만원사냥 15-03-15 19:41
   
그럼? 무슨 빨?
                         
아이핀014 15-03-15 19:49
   
파이가 12배차이인데
입장수입은 20배차이입니다
이게 어떻게 파이빨입니까
                         
만원사냥 15-03-15 20:06
   
파이랑 입장수입이 꼭 같아야 한다는 법이라도 있나요?

각자 사정에 맞게 가는거죠.

MLS가 자리를 잡게 된 결정적인 요인이 초기에 중계를 해주는 방송국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것도 있고(바로 올시즌 K리그가 비스무리하게 하고 있죠. 그결과 KBS공중파라는 대어를 잡았고) ... 각자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가야하죠.

단순히 미국은 이런데,, 우리보다 늦게 출범했는데 해봐야... 직접적인 문제해결에 도움은 되지 않죠.

최근엔 연맹등에서 동계시즌엔 제2리그 관계자나 기타 마케팅관계자들을 불러서 세미나도 열고, 모범사례도 공유하고 등등하면서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건 사실이죠. 물론, 워낙 야구나 기타 여가문화등에 밀리고 있긴 하지만...

30여년이 되었다곤 해도 ... 실질적으로 팬을 생각하고, 팬에게 다가가기 위해서 노력하기 시작한 건 불과 몇년이 안된다고 봐야합니다. 그런것도 생각해야죠. 단순히 미국은 이런데 왜 우린 이러냐라고 해봐야... 잔칫집 분위기에 찬물 끼얹으려는 심보로 밖엔 보이지 않죠. 냉철한 비판? ... 말은 좋죠. 하지만 애정어린 시각이 먼저 보이지 않으면, 냉혈한 비난에 가까워 지죠.
찌짐이 15-03-15 19:33
   
물가가 다르잖아요 인구도 더 많고 월급도 훨씬 더 많이 받고 구매력도 더 크고

돈이 없는데 어떡함 ;;

뾰족한 수 있음 말해봐요
     
아이핀014 15-03-15 19:36
   
미국이랑 우리나라랑 시장규모차이가 12배인데
축구 입장수입은 20배차이입니다
게다가 MLS는 도시간 거리가 너무 멀어서 원정팬을 기대하기 힘든조건이구요
한국엔 야구 하나밖에 없지만
미국은 슈퍼볼이라는 넘사벽이 있고, 그 밑에 야구 하키 농구까지 있습니다
          
찌짐이 15-03-15 19:38
   
왜 복붙함

방법을 얘기해보라니깐
               
아이핀014 15-03-15 19:49
   
파이는 12배차이인데 입장수입은 20배 차이입니다
파이탓하면 안되죠
방법이요? 자칭 K리그팬들이 직관 자주가야죠
                    
찌짐이 15-03-15 19:54
   
직관이 선결문제가 아니라 중계가 선결문제임

연맹이 바껴야함 에이 철밥통들

중계권 장사 신경 안쓰고 그냥 떡 버티고만 있음
                         
아이핀014 15-03-15 19:58
   
K리그는 20년이상 지속된리그입니다
중계는 둘째치더라도 직관수가 제자리인건 어떻게 설명하실건가요
                         
만원사냥 15-03-15 20:02
   
평관수는 실관중집계 한 후로 퐉 떨어졌었지만, 그 후로 꾸준히 늘고 있어요. 물론 팀수를 12개로 줄이는 영향도 있었지만
                         
찌짐이 15-03-15 20:02
   
20년 아니라 50년 지속되더라도 중계 안되면 직관수는 안늘어남

중계를 왜 둘째로 침

중계를 첫째로 쳐야지

그리고 프로리그가 관중수입으로만 유지되는 줄 아시나

빅리그일수록 중계권료가 얼마나 큰데

남의 나라 미국 빅리그다 자랑만 일 삼으면 돈이 나옴 떡이 나옴?

왜 우리나라 사람이 양키리그 빅리그라고 자랑질 하는데 열 올리고 있음?

이상하네
          
꾸물꾸물 15-03-15 19:41
   
유럽이나 미국은 '스포츠 팬'이라는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습니다. 미국만이 아니라
유럽이나 일본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말인즉은, 한국처럼 '야구'만 보거나, '축구'만 보는 사람들이 일반적이고, 다 보는
사람들은 '스포츠 정말 좋아하는구나.'라며 특별(?)하게 바라보는 것과 달리,

저기는 그냥 '운동'을 보러 가는 것(종목 불문) 자체가 일상의 한 모습으로 여겨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퍼볼.. NFL은 경기수가 얼마 되지 않습니다. 하키는 유명하나 지역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현재 상업적으로 MLS가 하키를 제친 것으로 나왔습니다.

하키는 미국 북부쪽 지역들과 캐나다에서 큰 인기이지, 중남부에서는 그렇지 못합
니다.

NFL의 경우 한 팀의 '정규시즌' 경기수는 16경기입니다. 일년에 넉달 정도만 정규
시즌이 운영됩니다. 그외에는 이제 플옵이 있지요.

경기수가 적습니다. 그래서 늘려보려고 18경기로 늘리자는 논의가 진행중이라고
하지요....
꾸물꾸물 15-03-15 19:36
   
1. 저 액수로는 준 빅리그의 ㅈ자도 못 꺼냅니다...

2. 물가차이, 환경차이를 감안한다하더라도(유럽 축구 시장과, 미국내 다른 프로스포츠 시장 포함),
    저 액수는 '적은 금액'같군요.

3. 스포츠 시장 자체가 근본 토양부터 사회에서의 스포츠에 대한 인식까지 서구체육 아니랄까봐
  확연히 다릅니다.


왜 준 빅리그의 ㅈ자도 못 꺼내는가하면... 저것의 두 세배 이상의 금액으로 더 많은 평관을
기록해도 빅리그가 안되기 때문이지요....
     
아이핀014 15-03-15 19:38
   
MLS는 신생리그입니다. 성장세를 봐야지 당장 EPL보다 못하다고해서 망한리그인게 아니죠
반면 K리그는 MLS보다 일찍 출범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규모차이인 12배보다 더 큰 20배 차이로 밀립니다

2,3배 차이도 어마어마한건데 20배 차이에요
          
꾸물꾸물 15-03-15 19:45
   
MLS는 신생이라고 하기에는 역사가 깁니다. K리그가 1983년인가 출범했고 MLS는
1994년 출범했습니다. K리그보다 11년이 늦었지만(J리그가 1993년이던가?), 2015년
현재 햇수로 22년정도 되었습니다.

그리고 K리그는 '프로'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실업 내지는 세미프로리그에 준하는 형태
로 오랫동안 지속되어왔고, 정말 '프로클럽'다운 운영을 목표로 한 것을 따진다면 MLS
보다 훨씬 늦었습니다.

J리그나 MLS의 클럽들이 명실상부한 '프로클럽'으로서의 자리매김을위한 노력을
출범전부터 준비하고, 출범할때부터 해왔다고 한다면, K리그는 몇년안되었습니다.

리그 자체의 역사는 K리그가 길지 몰라도, 프로 리그라는 명패가 무색하지 않게
하기위한 시스템적인 토대구축에 대한 관심이나 노력의 시기는 훨씬 뒤집니다.
오히려 그 부분을 따진다면 K리그가 '신생리그'라고 할 정도입니다.
               
아이핀014 15-03-15 19:51
   
그렇게 말씀하신다면 K리그는 아직도 실업리그입니다
운영자금이 기업,시청으로부터 나오는데 이게 어떻게 프로리그입니까
                    
꾸물꾸물 15-03-15 21:16
   
'유럽'에도 기업구단들이 있습니다. 구단자체는 독립이 되어 있지만 모기업이 존재해서 모기업에서 운영을 하는 형태이지요.

또한, 지자체나 중앙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는 팀들도 세계적으로는 다수 존재합니다. 단,
사안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습니다.
축알못탈출 15-03-15 19:42
   
미국이 진짜 맘먹고 투자하면 유럽리그는 금방일것같긴한뎅......
별명별로 15-03-15 19:47
   
https://dark.enha.kr/wiki/%EB%A9%94%EC%9D%B4%EC%A0%80%20%EB%A6%AC%EA%B7%B8%20%EC%82%AC%EC%BB%A4

MLS 시장성이야 미국 프로리그라는 점을 감안하면 당연히 큰게 맞겠지만

유럽 준빅리그 수준이라는건 단순히 시장성 규모에서만 그럴수도 있다는 점인거 같고

아직은 MLS도 좀 더 성장이 필요한 리그죠. 아직은 미국 메이저 프로리그라는 인식이 많지는 않으니
찌짐이 15-03-15 20:29
   
딱 보니 K리그 잘 안되는 건 팬들 니탓이야 직관 안가는 니들 탓이야

이런 소리할려고 쓴 글인게 딱 티가 남

축게인들 욕하고 싶어서 쓴 게 티가 나네

아무 도움도 안되는 쓸모없는 글 ㅉㅉ
씨카이저 15-03-15 20:45
   
관중 수익 잘뽑는건 부럽긴한데, 우리나라는 저이상 가격 올리기 힘들고 관중수 더 늘기도 좀 힘들죠 다른 중계료나 스폰서 이런 다른 데서 끌어오길 바랄밖에....
술나비 15-03-15 21:31
   
이건 규모의 경제 문제로 봐야 할 것으로 보이네요.

글쓴 분은 규모 12배 인데 수익은 20배 차이난다라고 말하고 이게 문제 있다고 보는 것 같은데.
규모 12배면 20배 훨씬 더 차이나는게 정상일 것 같네요.

시장 규모에 따른 수확은 1+1이 꼭 2가 답이 아니라고 보거든요.

조금 시각을 돌려서 인구 1억의 규모면 내수 시장만으로도 성장할 수 있다는 말이 있죠?
우리나라 인구도 1억만 넘어가면 시장이 두배가 아니라 5배 정도로 커질 거고 그렇게 되면 수출 없이도 자가 성장할 수 있을 거라고들 하는데...

뭐 그렇다구요.
무한깡통 15-03-15 21:57
   
어린이 입장권이 3천원이고 보통 성인은 만원이상인데.. 3천원이 객단가라니요?
호태천황 15-03-16 00:48
   
중계문제가 크긴 크죠....K리그도 재미지는데 중계가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