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1] [2] [3]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17-03-16 08:37
[잡담] 우리와 비교되는 이란의 16세 선수의 ACL데뷔
 글쓴이 : 만원사냥
조회 : 2,182  

캡처1.PNG

https://twitter.com/Asia_Fball_News


이 트윗에 이런 내용이 있더군요.


찾아보니...




캡처2.PNG

어린 선수인데 이미 상당히 많은 경기를 치루고 있더군요.



캡처.PNG


그런데 같은 팀에는 16세 3명이 있고

18세의 키퍼도 2명이나 있더군요.



저팀만 저런가 하고 봤더니 이란리그 1위팀인 페르세폴리스?팀에도 17세인가 18세 선수들이 있더군요.




이란을 비롯해서 프로리그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리그에서

16,17,18세 선수들의 데뷔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인데...



지난시즌인가 지지난시즌엔 역시 이란에서 당시 17세인가 선수가 사이드에서 혼자 원맨쑈를 보여주면서

돌파해서 골 넣은게 화제가 되었던 적도 있었고


일본의 그 미나미노도 역시 고교생 나이에 아챔에서의 경험을 많이 쌓았었습니다.

UAE인가에서도 얼마전 리그최연소골 기록을 역시 16세 정도의 나이에서 갱신한 적이 있었고



반면에 우리는

알다시피 고교생신분으로는 프로정식경기엔 뛸수 없다는 규정이 있어서

한찬희나 황희찬 등 프로유스소속이면서 어느정도 가능성있는 선수들의 프로데뷔시기가 늦춰지고 그로 인해서 경기경험도 상대적으로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렇게 어린 나이에 뛴다고 국대레벨이나 그 이상으로 성장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2군은 활성화가 안되어 있고, 대학까지 맞물려있어서 프로데뷔시기와 경험이 극도로 부족한 우리입장에선

하루 빨리 개선안을 세워야할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이돌그룹 멤버들도 며칠씩 학업빠지곤 하는데...

여기에서 힌트를 얻어서 아이디어를 모색할 수 없을지 아쉽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리차일드 17-03-16 09:08
   
대학선수들이 바로 프로에 적응하는 경우도 특별한케이스 아니면 거의없으니;;

보통 22~23살에나 프로에서도 쓸만한선수가 되는게 문제라고 생각함;;
     
만원사냥 17-03-16 09:19
   
좀 과한 말로 그 나이대라도 프로무대에 맞게 완성되었다면 모르겠지만...

얼마전 최강희감독도 지적했듯이... 아무리 대학리그에서 날렸더라도 막상 프로에 데리고 와보면 그야말로 하나부터 다 뜯어고쳐야하는 선수들이 대부분이라고 하더군요. 어떤 선수들은 프로에서 많이 쓰는 용어나 전술적개념 자체를 처음 접하는 선수들도 많다고;;;

그래서 몇년간 다시 교육시켜서 이젠 프로선수답게 쓸만하다 싶으면 군대크리;;;
이름요 17-03-16 09:18
   
피겨처럼 어린 나이부터 경기에 실전에 계속 뛰게 해줘야하는데 이놈들이 나이 커트라인을 너무 높게 잡으니...

22살 23살이면 이미 전성기를 향해 가야되는 나이인데 요즘 추세는...

그 나이에 데뷰를 하니 경기력이 떨어지고 실력도 딱 그 나이 그대로 멈추는듯 싶네요..

그놈의 탁상행정가들이 나라와 모든 협회를 지휘하니;;; 맨날 발전이 없네요..
     
만원사냥 17-03-16 09:23
   
우리는 여기에 군대까지 있어서... 참 아쉽습니다.
아무로레이 17-03-16 09:26
   
고종수는 96년 수원입단 (19세) ,  97년 국가대표로 노르웨이전 출전(20세) 기억이 나네요
저보다 딱 2살 많은 선수여서 기억이 납니다.  참 재능많은 선수였는데...

아 그리고 운동선수들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35세 이후 군대를 갈 수 있는 법적 장치가 마련되면 좋을거 같네요.  가장 활약하고 성장해야할 시기에 묶여버리면 너무 불쌍해요.
     
만원사냥 17-03-16 09:31
   
그런데 축구팬이 아닌 또 축구팬 중에서도 많은 분들은 상무와 경찰팀도 특혜라고 보는 분들이 많아서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렇게 할수만 있다면 축구선수를 비롯해서 운동선수들에겐 참 좋겠죠. 그 UFC의 황찬성?인가 하는 선수도 군대떄문에 거의 3년 공백이 있었다더군요.
융융7845 17-03-16 10:01
   
글쎄요 제생각은 좀 달라요 굳이 어린나이선수들을 어른들 욕심에
혹독한 프로에서 뛰게 하는게 맞는 일일까요?
가뜩이나 우리나라 유소년축구 문화가 즐기면서 뛰는것과는 거리가 좀 있는데
좋은 유망주를 키워내는거 물론 좋죠 근데 이게 어른들만의 욕심은 아닐까
신중하게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함.
     
만원사냥 17-03-16 10:32
   
고도성장기를 지나서 신체발란스가 다시 맞춰지는 선수들이 아닌 이미 신체적성장은 거의 끝나가고 동연령대 무대에선 적수가 없는 선수들이 있거든요. 그런 선수들을 말하는 거지... 아무런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선수들까지 말하는 건 아닙니다. 그래선 안되겠죠.
          
융융7845 17-03-16 11:52
   
아 네 저도 님의 의견에 반대를 하는게 아니라 걱정이 앞서서 한 얘기니 너무 괘념치마세요
당연히 동레벨을 뛰어넘은 선수를 계속 방치하는건 선수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인건 맞다고
생각해요

근데 그런거 있잖아요 이제 프로가 되면 이제까지와는 다르게 실력/성적/돈/경쟁 뭔가 축구
외적인 문제들도 상당히 멘탈을 건드리잖아요 어차피 언젠간 겪게 되는 문제점들이긴 한데
너무 빨리 겪게 되는게 아닌가 하는거죠..그냥 노파심이에요
               
만원사냥 17-03-16 12:02
   
어익후 오히려 제 발언이 좀 강했을 수 있겠습니다. 그런 의도는 전혀 없었고 제 의견에 정반대되는 의견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뭐든지 장단점이 있으니 이른 나이대의 데뷔도 긍정적인 부분 만큼이나 부정적인 부분도 분명히 있겠죠. 그런 부분도 케어해줄수 있는 여러가지 장치들이 있으면 좋겠지만 실질적으로 어렵긴 마찬가지겠죠.
yang 17-03-16 12:13
   
근본적인문제는 K리그 팀수부족인거같아요. 그나마 2부가 제대로 돌기 시작해서 다행임
cafeM 17-03-16 14:27
   
16세면 프로데뷔 가능 마지노선인데
전 전세계적으로 프로계약 조건이 더 늦춰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연예인같은 직업도 그렇고
그냥 웃고 좋기만 해도 될 나이에 노동을 시작한다는 게...
그냥 팬들과 구단의 이기심일뿐이라고 느껴져요.


그리고 저연령대에서 씹어먹는다고 다 재능이 있는건 아니죠.
정말 재능인것인지 그냥 남들보다 조금 더 빨리 큰 조숙한것인지 잘 판단하는 게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