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1] [2] [3]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18-12-18 14:59
[잡담] 한국 축구는 킥을 강화해야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글쓴이 : 꾸물꾸물
조회 : 556  

대표팀을 말하는게 아니고, 유소년 축구부터 K리그까지를 말합니다.

유청소년이야 성장하고 배우는 과정이니 더 강하고 정교한 킥을 가질 수 있게 가르쳐주는걸로...


K리그는 팀들의 킥 중에서 특히 패스 부분을 더 빠르게 이어갔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경기보다보면

공이 너무 느리게 움직인다는 생각이 듭니다. 선수가 킥을 할 떄 까지 걸리는 시간이나 뭐 그런거야

그렇다쳐도 거리만 좀 떨어진다 싶으면 공이 날아가는 속도가 한숨이 나옴. 특히나 롱패스가 더

그런데...


궤적이 두둥실 떠올랐다가 내려가는 궤적이랄까...? 밑을 강하게 차서 역회전 강하게 걸고

띄운다랄까? 그런 로빙형 롱패스보다 높이는 더 낮더라도 빠르게 가는 패스로 했으면...


롱패스 아니어도 공을 빨리 처리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공도 빠르게 움직이게 더 노력했으면

싶네요.



상대를 흔들려는 목적으로 공을 돌린다는데, 공이 느려서 상대가 전혀 흔들리지 않는걸 보고

있으면 답답 그 자체...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lanova 18-12-18 15:03
   
맞습니다 패스 느리고 크로스 타이밍 뺏기고
부정확하고 소녀슟에 개답답....
도배시러 18-12-18 15:17
   
킥 연습을 자주하면 뼈에 실금이 가면서 피로골절이라는 부상이 자주 발생하죠. 치료기간 애매
     
꾸물꾸물 18-12-18 15:25
   
자주하기보다는...음.. 교육(?) 기준을 높이는게 어떨런지. 재능도 관련있겠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적응의 문제같기도 한데... 공 빨라지면 몸도 빨라져야하고, 판단도 빨라져야하고..감독도 탈모오고..
솔직히 18-12-18 15:22
   
킥 얘기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황의조 선수 드롭킥은 거의 패시브 스킬인 듯.
아시안 게임 이란 전 두번째골을 보고 깜짝 놀랐음.
조블랙 18-12-18 16:05
   
킥 같은 경우 발목힘과 파워가 뒷받침되야 하기 때문에 아시아 선수에선 킥 좋은 선수가 상대적으로 적죠.
거리가 늘어날 수록 정확도가 줄어드는게 바로 피지컬적 요소가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쳐요.
힘이 더많이 들어가니 정확도가 떨어지죠.
단순히 정확한게 아니라 얼마나 멀리, 빠르고 정확하게 도착하느냐가 패스 퀄리티를 좌우하죠.
기성용 같은 경우가 피지컬이 되니 거리가 멀어도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죠. 패스 센스도 있구요.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더 빨리 생각하고, 임팩트를 정확히 맞추는게 중요한데 압박 상황이나 경합 상황에선 그러기가 어려우니..
퀴클롭스 18-12-18 16:24
   
문제는 그런 패스를 하면 제대로 트래핑 하고 받는 선수도 흔치 않다는 거죠.
대표팀급 선수들 중에서도 트래핑이 별로인 선수가 허다한데
클럽팀까지 내려가고 유소년팀까지 내려간다면 더하죠.
어느 한 부분만 강조를 할 게 아니라 종합적인 기본기를 다져야 합니다.
꽤빙 18-12-18 17:19
   
개인적으로는 킥보다는 하체 근육 자체를 기민하게 만들어줘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요즘 보면 달리면서 크로스가 안올라가고, 목각인형처럼 트래핑 뻣뻣하고, 패스 느리고..
이런 것들이 전반적으로 하체 탄력이 없어서 비롯되는 하나의 문제라고 생각

이렇게 쓰면 축구선수들이 무슨 하체가 약하겠어, 이런 말이 나오겠지만
드리블, 횡패스에 총총총~ 들어가며 쓰는 근육하고 격한 경합상황에서 자세 바꾸는 근육들이 다른데
한국축구 보면 그간 크로스 지양하고 엔간하면 드리블에서 짧은패스. 컷인.
멀리 슥 보면서 인프런트 횡패스. 밀집지역에선 미리 다이빙 준비 하면서 부상 방지로 힘빼며 넘어지기..
이런 것들에 익숙해져서 상대적으로 순간 힘빡줘야 되는 상황들,
러닝크로스, 뛰어다니면서 자세 바로잡고 깔끔하게 받아내는 트래핑, 깎아차기
이쪽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고 있는것 같아요

훈련장면 봐도 거의 데드볼 상태에서 자기들끼리 내기 하거나 경합 크로스 연습들도 잘 안보이던데
전체적으로 좀 전투적인 쪽으로 단련을 시켜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기본기도 계속 가르쳐야 하지만 피지컬 쪽이 먼저 치우치거나 비고 있는것 같은 느낌이에요

옛날 안정환 정도만 봐도 섬세한 테크니션 소리 듣던 선수였는데, 턴하고 바로 강슛때리는거 보면 탄력이...
지금 선수들 저거 주문하면 많이들 휘청거릴거 같다.. 는 이미지가 떠오르더군요
환승역 18-12-18 18:27
   
킥도 킥이지만 후방자원들의 세세한 볼 컨트롤이나 키핑 능력 부족이 제일 문제인 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상대가 강하게 압박을 하면 어버버 거리다가 위험을 자초하는 모습이 자주 나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