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1] [2] [3]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17-09-08 14:07
[잡담] 요즘 일본을 보며 참 많은생각을합니다
 글쓴이 : 리차일드
조회 : 508  

처음 할릴호지치가 오면서 부침이 많았죠

한국팬들 사이 에서도 본래 스시타카로 가야할가는게 가장 어울리는데

왜 저런 역습축구를 가는걸까 의문을 가졌구요

사실 비꼬는 팬들이 더많았죠.


이건 사실,.. 많은분들이 참 오해하는데

일본은 할릴호지치가와서 전술방향성이 바뀐게아니라

일본은 축협차원에서 스시타카의 방향성을 버린게맞습니다.

본래 아기레를 선임하는 과정에서 알수있는데요.

아기레는 그간 일본이 좋아하는 스타일의감독도 아니고

그렇다고 전임 자케로니를 데려온것에비해 크게 유명한감독도 아니죠.

그렇다고해서 급해서 데려온 감독도 아닙니다.

일본은 아기레 선임과정을 얘기했었는데 무려 3년간 지켜본 후 영입한거라합니다.

자케로니가 열심히 스시타카를 연마할시기에도 말이죠.


아기레 감독이 할릴이랑 비슷하죠.. 애초에 방향성을 틀었다는거에요

하지만 어쩔수없이 아기레가 재판으로인해 불가피하게 해임하는상황이 벌어진거고.. 그래서 할릴이 왔죠.



허나 지금 한국축협은 도대체 뭘바라는지 모르겠습니다.


국대가 추구해야할 방향성도 제시하지 못하고

슈틸영입할떄보면 무슨 한국축구 총괄매니저 마냥 국대감독이 해야할범위를

넘어서까지 시켰죠 


이상태면 지금 축구협회 높으신양반들이 있어야할 이유가  있나요?

도대체 이양반들은 한국축구를 위해 무슨일은 하는걸까요??

정말 답답한 실정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갓마르 17-09-08 14:10
   
스시타카가 아시아 대부분의 팀엔 통했지만
월드컵 본선, 그리고 아시아 호주 이란 한국같이 체격있고 체력있는팀엔 고전했었죠.

진작에 버렸어야 하는 전술인데... 할릴호치치 감독은 거의 히딩크급으로 일본축구의 근본을 바꿨다고 봅니다.
물론 다음 감독이 다시 스시타카로 간다면야 우리입장에선 좋은일이지만...
     
리차일드 17-09-08 14:16
   
그럴일은 없다고 봐야하죠

일본은 팀개성을 죽이지만 국대나 클럽이 획일화된 전술을 쓰길 고집하는 나라입니다.

j리그클럽은 여전히 스시타카가 남았긴하지만

가시와처럼 한국같은 축구를하는팀도 많아졌죠
     
coffeelover 17-09-08 14:35
   
스시타카 버렸다고 생각하시나요..?
오히려 전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생각하는데...

처음 스시타카 도입하는데 일본 특유의 사고의 경직성 때문에
뭔가 패스 고집 같은 그런걸 느꼈고 우리들이 애무축구다 스시타카다 폄하했지만,,
방향성은 정말 잘 잡은거라 생각했거든요.. 
지금은 일본 특유의 패스웍에 역습이나 다양한 전술이.. 뭔가 아시아에서 강팀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에 호주도 잡았고요..

피지컬.. 사실 식생활 개선되면서 피지컬은 동남아도 나아지고 있어요..
유럽은 고사하고 같은 아시아인 이란, 그리고 호주에게도 밀리는 우리가..
왜, 언제까지 피지컬 이라는걸 절대우위에 있는 마냥 생각해야하는지...

이번 이란전처럼 숫적우위에 있는 상황에서도, 그 이점 못살리고 피지컬로 밀리는 이란에게 계속 뻥축구하는 원인은 무얼까요..? 잔디 때문에..?  이란은 우리보다 더 많이 발밑패스러 연결하던데요..
패스웍을 별도의 축구마냥 생각하는 우리네 문제 아닐까요..? 하고싶어도 못하는...
          
리차일드 17-09-08 14:38
   
오랜기간 사용했던것을 하지않는다는게 버린게 맞죠.

coff님처럼 업그레이드 되었다는것도 맞는말입니다.

우리는 서로 다른말을 하는게 아니에요
               
coffeelover 17-09-08 15:37
   
아~ 저도 우리가 서로가 다른 말 하는거 아니라는 거 이해했어요~ ㅎ
님 의견에 저도 공감하구요~
단지 좀더 명확한 게 낫겠다는 의미에서 적은거니.. ㅎ
          
내가소라니 17-09-08 14:45
   
스시타카 버렸다는 얘기를 전 패스만하는 애무축구를 버렸다는 걸로 이해했는데
아닌가요?
만약 그렇다면 님의 스시타카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쪽 의견이 더 설득력은 있네요.

후반부에 말씀하신 패스를 별도의 축구로 생각한다는 말에
상당히 공감되어 댓글 남겨보았습니다.
               
coffeelover 17-09-08 15:38
   
부족한 의견에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갓마르 17-09-08 15:22
   
ㅇㅇ 제얘기가 좀 어설펐네요.
제생각의 스시타카= 쓸데없이 공만 점유하면서 이리저리 돌리는 축구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얘기도 맞습니다.  패스가 당연히 베이스가 되고 역습형 축구로 간거죠.
               
coffeelover 17-09-08 15:41
   
어설픈 건 절대 아니구요.. ㅎ
스시타카 란 말에 우리 모두 폄하하는 의미에서도 많이 쓰고 있으니..
그냥 명확하게 적고 싶어서 적은거니, 제 댓글에서 혹시 불쾌감 느끼셨다면 죄송합니다~
내가소라니 17-09-08 14:20
   
어떤 축구를 하던간에
선수들 개개인의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요즘 한국국대는 그런게 퇴화되거나 부족한 선수들이 많네요.
그러니 효율성있는 축구를 못하는 것 같고
지향하는 축구 자체도 반도 실현못하는게 현실이네요.

코치진 자체도 효율적인 축구보다 힘축구만 지향하는 걸로 보이는 것 같아 답답하네요.
소년명수 17-09-08 14:23
   
일본이 부러운 점은,
얘들은 발전을 위해서라면 남의 것을 받아들이는데 그리 주저하지 않는 것 같음.
역사적으로도 비록 자기들의 전통문화는 보잘것 없었을지언정, 발전한 나라의 문명을 받아들여 자기것으로 만드는 능력은 뛰어났을뿐더러, 단지 축구에 한정해서 봐도 체계적으로 선진축구를 접목하기 위해 노력해 왔음은 물론 지들이 가던 길이 아니다 싶으면 과감히 방향을 틀기도 할만큼 변화에 유연함.
반면 우리나라는 정 반대.
역사적으로 찬란한 문화를 갖고 있었지만, 외국 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에 거부감을 가진 세력의 득세로 근대화에 늦어 힘든 시기를 겪기도 했으며, 축구에 있어서도 기득권 세력의 보수성으로 인해 뭔가 변화를 일으키기까지 과정이 매우 더딤.
뭔가 선진축구를 접목하기 위한 노력을 하려고 시도는 하는 것 같은데 그리 적극적이지는 않은듯하고, 8인제 축구 도입 문제만 해도 뭐 하나 해보려고 하면 뭔 반대세력들이 그리 많은지 제대로 진행이 안 됌.
물론 각각 나름대로 일장일단이 있겠지만, 확실한건 축구 약소국인 우리나라 입장에서 이런 방법이 그리 도움되지는 않을 거라는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