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1] [2] [3]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16-12-22 15:07
[잡담] 아래 제이리그 연봉을 보니 궁금해지는 점.
 글쓴이 : 다음노바디
조회 : 862  

제이리거랑 케이리거랑..

사실 연봉차이 그리 크지 않네요. 2억5천대 1억 7천.

물가차이를 고려하면.. 사실상 거의 비슷한 수준.

그런데 왜 일본 선수들은 중동이나 중국리그에 별로

유출되지 않는걸까요.

유럽에 진출하는 선수는 더 많고 말이죠.

이건 아마도 제이리그 쪽에서 뭔가 .. 조치를 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울나라 케이리그는 중동이든 중국이든 돈 만 많이 주면
이적료 벌려고 못팔아서 안달이잖나요?

중국 중동리그에 셀링리그 비슷하게 되는 현상이 그토록
케이리그와 국대에 큰 문제꺼리라면
협회에서 뭔가 바람직한 정책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다음노바디 16-12-22 15:17
   
엉뚱하게 돈 벌려 중국 중동 이적하는 선수들을 비난할게 아니라..

문제점을 그냥 손 놓고 방치하고 있는 연맹 축협쪽을 조져야 맞는거 같은데요?

원래 행정이란게 그건거 정책으로 잘 조절하는 일인데..

행정을 개떡같이 하는데.. 그 상황에 따라 선수들은 당연히 이동하는 겁니다.
구단들은 돈 벌려 매각질해대고.
yang 16-12-22 15:37
   
연봉은 큰 차이 안나죠. 일본 최고연봉자가 엔도 18억원정도일건데..
근데 팀 운영비는 크게 차이나요. 연봉외에 돈 쓰는게 다른가봄.

거기다 일본팀들은 대부분 흑자라던데 한국은 적자라서 세금이나 기업투자금으로 메꾸는편이죠.
뭐 광고 스폰서라고 칠수도 있지만서도...

그리고 우리가 관심이 없어서 그렇지 일본에 오퍼는 하더라고요. 근데 다 거절함. 중국,중동에서 오퍼할정도면
J리그에서 상위권이나 유럽갈레벨인데 J리그에 남거나 유럽 중소구단 진출로 마무리 되버림...
중국 반일감정은 별 의미가 없는게 지일파 감독 왔을때는 비 국대급 일본선수 영입한적도 있거든요.

걍 중국이 원할정도의 선수는 일본선수들이 거절한다고 보면됨
     
yang 16-12-22 15:45
   
그리고 90~00년대 축협이 제대로 저변을 못넓힌게 문제지만
근본적으로 시장규모가 협소하고 시민들의 문화생활 시간, 금전적 여유가 좁아서 다른 놀이문화에
스포츠 관람이 밀리는게 더 큰문제라고 봐요.

거기다 축구팬들 부터가 돈돈돈 외치는데 선수들에게 무슨 도전이니 국대 경쟁력이니 외쳐도 소용없죠. 한국의 보편 가치관이 그런 방향으로 가 있는거고 그게 나쁘다고 할 건덕지도 없음.
반면에 팬들도 인신공격하지 않는 선이라면 아쉬워하는것도 문제될거 없죠. 스포츠 문화라는게 원래 그런 오지랖에 기반해 돈을 버는거니까요. 선수들 돈버는게 전부라면 우리가 선수들 응원할 필요도 없겠죠. 바르샤니 레알이니 하는 축구적으로 최고팀들 경기만 재밌게 보면 되지.
     
다이달 16-12-22 16:00
   
수년간 엔도가 연봉 1위구요
올해 연봉이 16억원
2위가 나카무라슌스케 13억원
위 둘이 실적.인기.연봉 넘사구요
우리나라 이동국 생각하시면 딱히 차이가 안나요.
양국 물가 세금 비교하면 이동국이 전혀 뒤지지 않습니다

정성룡도 수원에서 받는 돈보다, 실수령액 적게 일본 간걸로 알고요

일본 최대 스폰서인 우라와-미쯔비시, 나고야-도요다
년간 평균 스폰 금액보다
한국 삼성, 현대 년간 평균 스폰금액이 많아요
삼성,현대>>나고야,우라와
기업스폰은 한국이 더 많이해요.

단지 일본 넘사1위인 우라와 는 입장관중수입만 작년 200억이 넘습니다
같은해 한국 넘사벽 1위이 서울fc 입장수입이 31억이었구요


그차이가 운영비 차이로 나고요
그래서 팀 운영비는 일본이 30% 가량 높죠.

1군 연봉은 한일이 같습니다
2015년 전북현대 1군 총연봉 120억원 - 2015년 감바 오사카 연봉총액 100억원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10

그운영비는
팀 직원 연봉, 유소년 지원. 신인, 2군 연봉은 일본이 월등히 높습니다
즉 구단 직원 코치등의 숫자가 많고 연봉이 높은거죠
 
빅클럽들 말이고
일본도 스폰서 없고 인구수적은 하위 클럽 보면 참담해요

머 우리도 일본처럼 선진국 반열로 접어들었으니 점점 해외유학도 들가고
아무래도 타국가서 고생안하고 자국에서 편히 살라 하겠죠
          
yang 16-12-22 16:15
   
정성룡이 나이가 많이 찼고 기량이 떨어져가던차였던데다 고액연봉자였긴 했지만 일본에서 덜받는건 신기하군요.

 운영비 차이는 예상대로인거같네요. 팀숫자도 차이나고 돈많은 팀도 많고 수익도 많으니 저변도 넓고... 세금 떼가는게 차이가 나려나?

 하위클럽의 경우엔 전에 방송 나오는거 보니 2~3부 선수들 힘든건 마찬가진거같더라고요. 프리터들보다 덜번다고 ㅋㅋㅋ 뭐 예체능이라는게 다 그런거겠지만요.

뭐 그건 그렇고 이번에 중계권료 상승으로 자금력차이가 더 벌어지는게 걱정이네요. 수퍼리그야 중국선수 수준이 오르려면 10년은 기다려야겠지만 일본은 ...
               
다이달 16-12-22 16:30
   
네 중궈는 저도 전혀 걱정이 안되네요 ㅎㅎㅎ
10년후도 ㅎㅎ 너무 자만일까요ㅋ

제이 리그도 전체 모든권리 중계권 합이라서요
액수가 커보이는게 함정인데. 협회 절반 떼주고
현재도 30억 정도씩 받는걸로 아는데

중계권 올라봐야 50억 수준?으로 20억 가량 더나눠 받을거에요
머 18개 팀이나 되서

k리그 만도 못한 j약소 클럽들한테는 큰돈이지만....

흠... 2~30억이면 강해지려나요
수준급 용병 한둘씩 사올수 있다고 보면 되겠네요. 미묘하군요.
                    
yang 16-12-22 16:36
   
하도처맞아서 그런지 1~3위 팀에 몰아줘서 빅클럽 만들겠다는 이야기가 있더라고요. 어떻게 될진 모르겠지만.
 중국은 좀 희망적으로 봐준거죠 뭐 ㅋㅋ 최-소 10년. 길면 20년은 있어야 성과가 나올테니 시진핑 독재길어지면서 축구 굴기가 끝나더라도 최소한 어느정도 결과물이 나오고 끝날거같으니...
 현세대는 우레이~장위닝급이 한계인거같고 00년대생부터 좀 볼만한 선수가 나오지 않을까 싶어요. 국가적으로 돈과 인적 자원을 부으면 야오밍같은 애가 나올수도 있으니
cafeM 16-12-22 18:13
   
행정을 어떻게 해야 선수 이적을 관여할수 있는 지 얘기 해보세요.


그냥 일본선수들에게 콜이 안가는겁니다.

중동, 중국에서 일본선수보다 한국선수를 선호합니다.

이유는 단순하죠. 아챔에서 J리그랑 붙을때 우리팀에 데려왔으면 하는 일본선수 얼마나 되던가요??


유럽 진출이 많은 이유는 분데스에 이적료없는 공짜 선수 밀어넣어 놓은게 생각보다는 괜찮은 효과를 본것이고
     
다음노바디 16-12-22 19:53
   
유럽에 공짜선수 밀어넣는 그런 짓을 왜 제이리그 팀들은 하느냔 거죠.

케이리그 팀들은 절대로 하지 않을 짓을요.

거기에 정책이 뭔가 있다는 추측을 해봅니다.

글고.. 상식적으로 일본 선수가.. 중국은 반일땜에 그렇다쳐도
중동에도 거의 한명도 안가는 현상은.

님 말대로 (콜이 없어서) 그리 추측하는건 무리입니다.

막말로 분데스리가에서 뛰다가 자빠진 애들만 해도.
콜이 없어서 중동 중국 못간다 추측하는게 무리수입니다.
     
yang 16-12-22 22:34
   
님이 관심이 없어서 모르는거지 일본애들 많이 콜 했어요.
최근에 마키노 거액 오퍼도 있었잖아요. 몇년전 중동 50억,이번 광저우에서 대단한 금액을 불렀다는 오퍼도 거절함.(한국선수의 경우 홍정호등의 최고선수가 20억대)
이번에는 나이도 끝물이라 갈줄 알았는데 남는거 보고 놀람.(현재연봉은 8억정도)

유럽간 선수들 대부분 중동 중국 오퍼 거절하고 간거임. 우린 이름도 모르는 네덜란드,터키간 선수라던가...
거기다 유럽에 있는 선수들도 한국선수들 오퍼받듯이 받고있고요. 대표적으로 혼다라던가.

그리고 분데스에 싸게 밀어넣던것도 초반이야기지 요즘 무토,아사노 같은 선수들 이적료 보고오시면 그런 시기도 끝났다는거 아실수 있을겁니다.
 
 다만 일본이 분데스에 꽂아넣기 쉬운건 사실입니다. 유명한 에이전트가 일본선수들을 관리해주고있어서... 거기다 분데스-일본간에 선수 정보 교류 협약도 맺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