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축구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축구 게시판
 
작성일 : 20-02-18 07:09
[잡담] EPL 중계권 동남아가 우리나라보다 비싼 이유
 글쓴이 : 공갈탄
조회 : 3,438  

5.jp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폴, 홍콩, 태국 이런 나라들이 울나라보다 EPL 중계료가 엄청 비쌉니다
간단합니다 시청률 때문이죠
그런데 시청률이 왜 차이나는지를 살펴봐야함
EPL 경기를 우리나라에서 보려면 대부분 새벽 1시 ~ 새벽 5시에 함
왠만한 축구매니아가 아니라면 경기 챙겨보기 힘든 시간대죠.....자야 되니까
반면에 동남아에서 EPL 보려면 밤 10시 ~ 새벽 2시에 시청 가능함......축구경기 보기에 가장 좋은 황금 시간대죠
우리나라는 축구보기에 가장 안좋은 시간대에 걸쳐있고 동남아는 가장 보기 좋은 시간대에 걸쳐있죠
그래서 우리나라 방송국들은 시청률이 안나오는데 무리하게 비싼 중계료를 못주죠.....적자나니까
결국 시간대와 시청률과 돈이 연관되서 우리나라가 쌀 수밖에 없는 구조에요
대륙판이 이동해서 세계지도가 바뀌기전까진 쭉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제이에스 20-02-18 07:16
   
사람들이 많이 보고 구매력이 클수록 광고주가 붙기 때문에 중계로가 싸지는 것이죠.
     
공갈탄 20-02-18 07:17
   
오타 아니에요? 중계로가 비싸지는건데
     
새터푸른 20-02-18 07:39
   
계약 중계료는 비싸지만 광고수익 때문에 방송사 손실은 적다고 봐야죠.
아쒸 20-02-18 07:40
   
시차가 한두시간 차인데.?
베트남 싱가포르 한시간.
태국 인도네시아 두시간.
그냥 그들이 우리보다 훨씬 더 많이 봄
     
공갈탄 20-02-18 08:14
   
잘못 아셨어요.
EPL이 아시아시장 공략하려고 경기시간까지 조정한게 기사로도 나왔어요
"프리미어 리그는 그동안 아시아 시장 공략에 힘 썼는데, 현지시각 오후 12시30분~5시30분은" 중국 베이징을 기준으로는 밤 8시30분~새벽 1시30분, 태국은 밤 7시30분~새벽 12시30분으로 TV를 시청하기에 적합한 시간대다."
          
아쒸 20-02-18 08:27
   
님이 쓰셨네요.
베이징은 서울과 한시간 시차가 있슴, 방콕은 두시간 시차,,울나라보다 느리죠.
베이징이 밤8시 30분~새벽 1시 30분 이면 서울은 밤 9시30~새벽 2시30분이고 도쿄도 서울과 같은 시간입니다,
두시간이 적은 시간은 아니지만 시청시간이 아주 큰 차이를 만든다고 보기엔,,,글쎄요,
그리고 동남아가 중국이나 한국 일본 보다 시장성이 큰가요?
               
공갈탄 20-02-18 08:31
   
중국은 동남아-한국-일본 다 걸쳐있느데 왜 동아시아으로 분류하시는지????????
그리고 당연히 동남아가 한국, 일본시장보다 더 크죠
동남아 인구수가 한국,일본 합친것보다 훨씬 많은데....당연한것 아닌가요?
                    
그건먹지마 20-02-19 12:24
   
중국 때문에 FA가 경기 시간대 옮긴것에 대한 이야기는 공감하더라도, 시장에 대해서는 공감 못하겠네요. 무슨 인구수로만 시장 크기를 따집니까. 그럼 동남아 시장이 3억 조금 넘는 미국 시장보다 크다는 이야기고, 500만 조금 넘기는 인구수를 가진 싱가포르의 중계권료가 다른 동남아 국가에 비해서 비싼지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15억을 넘는 중국이 저렇게 낮은 중계권을 내는것 또한 이해되지 않고요. 같은 컨텐츠를 본다고 같은 돈을 내는건 아니잖아요. 그리고 부가적인 소비까지 생각한다면 더더욱 그렇구요. 전 시장 자체는 한일 시장이 훨씬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한일에서는 시청하기 불편하고, 확실한 비교 우위에 있는 자국 프로스포츠(야구)가 있으니까요. PL이 안 팔리고 있을뿐이죠.
그리고 중국은 전통적으로 동아시아로 계속 분류되어온 국가입니다. 중국의 표준시가 북경시로 고정되어 있는 이유도 중국 인구의 대부분이 동쪽에 밀집해있기 때문에 그게 편해서 그렇게 쓰는거구요. 중국 애들이 싸드에 더 지랄한것도 중국의 동쪽에 국가 대부분의 행정, 경제 시설이 몰려있으니 그런 측면도 있죠.
전 중국 시장을 겨냥하면서 축구의 인기가 높은 동남아 시장을 부가적으로 같이 공략한거라봅니다. 아마 한일쪽 PL인기가 좀만 더 괜찮았으면 더 동쪽으로 맞쳐서 경기 시간 옮겼을걸요?
gun맨 20-02-18 08:19
   
난 홍콩이 놀랍네요 인구수에 비해서 어마어마하게 지불하네요
     
성길사한 20-02-18 08:51
   
홍콩은 중계권사서 일부지역에 되파는 사업도 하지싶네요. 십오년전 한국에 이피엘 최초중계될때 엠비씨가 홍콩에서 화질떨어지는 싸구려화면 받아와서 중계한 기억남. 체감으로 느끼는 제일 이피엘 광국은 태국임.
성길사한 20-02-18 08:49
   
한국이랑 일본시장(같은 기준시쓰니 묶겠음)이 동남아시장보다 돈이 더 된다고 생각하면 여기시청자들에 맞췄겠죠. 액수보면 대충 한일합한것보다 동남아+중국시장 합한게 수십배는 더 큽니다. 한일시청자들에 맞춰준다고 시청률과 중계권료가 수십배이상 늘어날일은 절대없어요.일본은 기본적으로 야빠나라고 거기에 해축도 세리에 인기가 epl보다 전통적으로 더 높은 특이한곳임.그리고 한국이야 뭐 알잖아요. 음주가무의 나라... 드라마 영화 예능 k팝등 연예시장만 어마어마하게 발달하고 다른 문화산업은 그냥 구색맞추는 수준만 있음.
로쟈리 20-02-19 00:54
   
뭔가 경기 시간대가 참 애매하더니 (현지시간 12시 이러고..) 아시아 마케팅 때문이었군요. 후진국이라도 인구가 워낙 많으니 돈벌이하기 좋겠죠.
꾸물꾸물 20-02-19 16:34
   
중계권료에서 가장 중요한건 중계권자가 돈을 어떻게 버는가입니다. 우리는 이해 못하는게 있습니다.
알아도 와 닿지 않는게 있죠. 유료플랫폼입니다. 돈을 광고주에게서만 버는게 아니라 시청자에게서도
버는겁니다. 유료채널 혹은 케이블 사업자 차원에서 하는 등 다양합니다. 단순히 채널가입자만을
확보하는게 아니라 후자의 경우에는 플랫폼 가입자까지 끌어들이는거죠. 예를 들면, LG 유플러스
독점이다하면 SK나 KT 가입자는 못보는겁니다. 보려면 LG에 가입해야죠. (이동통신 말고 TV말하는
겁니다) 경기를 보고 싶은 경우라면, 보통 기존에 가입되어 있던거 해지하고 옮기겠죠.

채널로 승부 보려는 회사는 기본적으로 채널을 여러개 돌려야겠죠. 한 번에 한 경기만 중계할거
아니면.

플랫폼으로 따져 월 2만원에 해당사유로 50만 가입자를 확보했다고 가정해보죠. 그럼 월 얼마의
매출일까요? 매출만 월 100억입니다. 일년에 1200억이죠.

단순히 시청자수만으로 따지기 어려운 이유입니다. 방송사들에게 중요한건 시청자수가 아니라
매출이죠. 시청자수는 매출에 필요한 조건 중 하나이지 그 자체로 매출이 아니니까요. 연간
1000억의 매출을 올려주는 1000만명의 시청자와, 연간 1200억의 매출을 올려주는 500만 시청자.
이러면 방송사의 선택은 후자게 되죠.
     
BigB 20-02-19 18:39
   
그렇기에 더더욱 플랫폼 산업과 같은 3차, 4차산업이 발달한 한국과 일본의 중계권료가 더 비싸야하는데 그렇지 않기에 아이러니 하죠.
말레이시아 쪽은 또 왜이렇게 비싼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