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료실
HOME > 영상자료 > 한류영상
 
작성일 : 15-05-16 18:43
[기타] 삼성vs애플 브랜드 인식 Samsung Vs Apple: Brand Perception
 글쓴이 : 오캐럿
조회 : 4,512  

삼성 vs 애플: 브랜드 인식 (Samsung Vs Apple: Brand Perception)

게시일: 2015. 5. 11.
설정버튼에서 한국어로 설정한후에 캡션(CC)버튼을 클릭하시면 한글자막 뜹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예랑 15-05-16 19:02
   
애플이 이미지 메이킹 제대로 한것 같네요...
뭐든지 애플이 처음으로 한줄아네...ㅉㅉ
개팔복 15-05-16 19:43
   
잡스가 대단하긴 했죠 개인 컴퓨터에 스마트폰까지 . 삼성 엘지 해외 대기업들이 도전을 두려워할때 애플은 했죠
김미 15-05-16 20:36
   
좋은 동영상입니다.
스코티쉬 15-05-16 20:52
   
애플이 잘하고 있는게 앱이나 기기를 생태계화 시켜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
 - 솔직히 삼성 갤럭시란 이름빼고 주변기기는 커녕 시리즈간의 연속성? 그런거 없죠.
어플? 사용환경? 안드로이드에 대한 충성도면 모를까, 삼성에 대한건 아니죠.

혁신이라는 추상적인 이미지를 구체화 시키는데 능숙하다는점.
- 역대급 폰팔이 잡스 프리젠테이션 보신분들은 알겠지만, 이것마저 트렌드로 만들고 간듯.


사실 pda폰이나 초기 전면터치 폰등.. 삼성이나 LG가 들인 노력이나 결과도 엄청나고,
수많은 특허권이 얽히고 설킨 와중에 애플이 혁신이란 이미지를 독점한다는게 웃긴소리죠.
누구맘데로?

게다가 애플이 스마트워치를 내기 훨씬 전에도 모험에 가까운 스마트워치 제품들이 많았고,
애플 스마트워치 훨씬 전에 출시된 삼성이나 엘지의 스마트워치의 완성도가 훨씬 높죠.

역시나 저기서 대부분 애플이 혁신이고, 삼성이 애플을 따라한다고는 하지만,
구체적으로 왜? 라는 질문엔 아무도 제대로 대답 못해요.

당연히 일반 사용자가 "어느 기업이 혁신적일까?를 하나하나 조사해서 결론 내진 않기 때문이고,
만들어진 이미지를 피동적으로 받아들일 뿐인데..

삼성은 이걸 정말 못하는것 같아요.

매번 새폰도 내고 있고, 최근엔 엣지로 양쪽 액정 좀 구부려서 냈죠? 
근데 그런거 말고, 저 영상의 얘기처럼 솔직히 나도 삼성이 뭐하는지 잘 모르겠음..
     
뚜루뚜 15-05-16 21:43
   
맞는말씀입니다
     
푹찍 15-05-16 22:17
   
솔직히 잡스 아니면 제대로 할 수 있었던 사람이 없었죠.
지구 문명을 몇 십년 앞당겼다고도 생각합니다.
스마트폰 이라는걸 만들어서 사람들 앞에 배포 해도 그것에 무엇이 좋은지 모르는데 사람들이 살일이 없고.
당연히 생태계도 형성이 안되고
sw 회사들도 안만들어지고
닭이 먼저냐 닭걀이 먼저냐 딜레마인데
잡스는 성공시켰죠.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이미지 전략과 고 퀄리티의 ui를 가진 os로...
까놓고 말해서 잡스가 형성해 놓은 생태계에
삼성이건 엘지건 기타 등등이건 심지어 안드로이드 마저도 숟가락만 얹어 놓았다고 봅니다.
잡스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거죠.
잡스덕에
스마트폰이라는 온갖 부품의 집합체를 요구하는 산업 모두가 흥했고...
그 혜택이라는것의 극히 일례로 삼성의 tv조차도 스마트폰 덕택에 소형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생산으로 징검다리로 삼아 리스크를 줄이고 대화면 tv로 이행 가능했죠.
소프트웨어 업계도 지각변동에
sns로 통하는 21세기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을 완성했다고 봅니다.
뭐 누군가 잡스 아니어도 누가나가 할 발상이고 해냈을 것이다 라고 말 할 수도 있는데
콜롬버스의 달걀로 일축가능하다고 봅니다.
          
주글랭말랑 15-05-16 22:50
   
이글은 공감되네요 ㅎ 근데 문명을 몇십년 앞당긴건 좀 과장이구여  잡스가 스마트혁명을 안일으켰으면 한... 5년정도? 그정도일려나 .. 당시에 뭐 터치폰 나오고  스마트폰도 낼 준비를 하고 있었기때문에  한 5년 정도 앞당겨졌다고 보네요 그 중에 가장 선두주자가 애플 ㅎ 현재 모든 생활에 알게 모르게 자리잡은게 스마트 시스템인데 ㅎ 그 스마트혁명의 선두주자가 애플의 잡스에서 시작됬다고 봅니다 저도 ㅎ 근데 삼성 요즘 보면 ㅎ 도전의식이 있어서 보기 좋습니다. 플렉서블 상용화는 얘들이 먼저했으니 앞으로 나올 제품들 기대가 되기도합니다. 이런 도전의식 높게 쳐주고 싶네요 ㅎ. 예전엔 도전하는데에 움츠려들고 조심스러워 했었는데
s아우토반s 15-05-16 22:22
   
이야기중에...삼성 디자인이 떨어진다고 싫어한다면 이해하겠는데...
하드웨어적인 이야기 많네요...아이폰보다 하드웨어적으로 떨어진다고....이해할수가 없네요...ㅋㅋ
애플 역시 이미지를 잘 포장해놨네요....애플은 고급..삼성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스마트폰으로...
깨알 같은 lg ㅎㅎ
minidaddy 15-05-16 22:50
   
써보면 알죠... 솔까 어느 제품이 더 사용자 친화적인지. 애국심으로 우겨봐야 우물안 개구리들의 개굴~개굴~
흙탕물 15-05-16 22:57
   
저기 미국인가요? 미국 사람들 자국브랜드인 애플에 대한 사랑 대단하다던데 뭐 애플은 안써봐서 ㅋㅋ
근데 브랜드 충성도는 확실히 애플이 대단하긴 함
     
주글랭말랑 15-05-16 22:58
   
호주에요 ㅎ
     
minidaddy 15-05-16 23:40
   
ㅎㅎㅎ 호주 사람들이 뭔 애플에 대한 자국브랜드 사랑이라고 하시는건지? 그저 객관적으로 느낀것을 인터뷰해준것 뿐인데...
블리자드 15-05-17 00:13
   
섬성에서 부품 공급 안해주면 어떻게 될까? 아이폰이 하드웨어가 우수해? 소프트웨어가 우수한 거겠지.
갤럭시 쓴다만 처음에는 엄청좋은데 갈수록 버벅거리고 느려지고 짜증나지. 아이폰은 안써봤지만 맥북을 쓴 경험으로 품질 하나는 좋다.
토담토담 15-05-17 00:50
   
애플 vs 삼성의 대결 구도는 삼성도 고마운 거라 생각함
이런 류의 질문에 사실 IOS vs 안드로이드의 대결로 볼 수 있는 질문인데 구글이 아니라 삼성이 들어가니
정확히 하면
애플 vs 삼성+구글
로 해야 된다 생각함.
굿잡스 15-05-17 00:52
   
초기 잡스가 스마트폰 신규 시장 개척에 큰 공헌을 한건 인정되지만 (자국 나라가 세계최대

소비시장이라는 강점도 크죠)

지금 나온 아폰6이라고 해봤자 갤폰의 큰버전 이외에는 더이상 혁신?이랄 것도 없는 상황. 도리어 기업의 수익

극대화에는 도움될지 모르지만 하청 발주라서 생산공정을 직접 관리하지 않기에 물량이

늘어날수록 이번처럼 갖가지 불량 게이트 시리즈는 정비례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소비자

입장에서 결코 좋은 업체가 아닌 구조임.

그리고 향후 아폰 7 나와봤자 지금의 갤6 삼성 엘지 의지한 플렉스블 소재에 삼성 14나노칩이

고작.  그에 비해 이미 갤6는 폰 모바일 결제시스템에서 이미 넘사벽 생태계 차근 차근

구축에 더 진화된 무선 및 급속 충전방식에 밧테리 연장까지.

아폰 7 나올때는 좀 있다 갤7는 더 좋은 게 나올게 뻔하고.

향후 모바일 폰의 진화는 죽은 잡스가 돌아온다고 해도 사과가 아니라 삼성의 소재와 기

술 발전 속도에 세계 모바일 진화가 좌지, 결정.
     
후추루추 15-05-17 02:57
   
스마트시계
굿잡스 15-05-17 00:54
   
또한 소프트에서도 아폰의 IOS 라는게 이미 한계가 뚜렷해진 상황이죠.

갤럭시 폰처럼 다중 멀티 앱 구동도 제대로 못하고 넷상에서 바로 다운 받으려면 상당히 불편.

이걸 무슨 아폰만의 보안 안정성 어쩌고 ㅋ. 아폰 보안은 이미 몇번 심각히 뚫린 사례에서

도 보이듯 운용의 불편함에 비해 보안의 장점 어쩌고도 갤폰의 보안성과 별로 차별화도

못되는 상황.
부장님의한 15-05-17 03:02
   
전 아이폰썼다가 갤노트2 때부터 갈아탔는데요.

애플은 점점 떨어져가는 혁신보다 지들을 갑으로보고 고객을 봉으로보는 그 마인드때문에 망할겁니다.

폐쇄정책을 떠나 내가 돈주고산 음원, 영상도 자기맘대로 못해요.

똑같은 돈주고 애플거 빌려쓰는식입니다.

본인만 사용가능이라 아이튠즈에 올린 내가 구매한 영상 사진 음악도 가족을에게 못주고, 주면 불법이라네요.

고객을 호구로 아는 ㅁㅊ 사용약관땜시 열받아서 그냥 갈아탔습니다.

그이후로 쭉 갤노트시리즈만 쓰고있네요.

그리고 기술면에선 애플은 삼성은 커녕 엘지나 화웨이도 못이깁니다.

걔들이 물로보는 표준기술이라는게 시장자체를 선도하는 기술이기에 지정된 기술인데 둥근 모서리특허같은 쓰레기로는 비교 자체가 어이없죠.
     
웃기는축구 15-05-17 03:29
   
다른 말씀 대부분 동의할 수 있겠는데,, 마지막에 둥근 모서리는 왜 쓰레기인지 모르겠네요. 우리나라는 그만큼 디자인권에 대한 인식이나 활용이 적으니 문제인거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기술력만으로 기술특허만 고집하다가는 후발주자들한테 다따라잡히고,, 가격경쟁력에서 발리는 수가 있음. 기술력이 좋은것은 좋지만,, 기술력으로 승부하는 건 후발주자들에게 유리하지 삼성이 애플과 같이 추격을 받는 선도기업의 위치있는 순간 기술력보다는 고객충성도나 이미지, 디자인과 같은게 훨씬 중요하죠. 누가 동의하든 동의하지 않든 애플=혁신 이라는 이미지는 존재하는거죠. 그런면에서 삼성도 자기브랜드이미지 구축이 기술력보다 훨씬 중요하고 선택과 집중을 할 타이밍이고, 기술이란 결국 투자하고 배끼는데 능한 후발주자들에게 언젠가는 다 따라잡힐수 밖에 없는 부분.
          
굿잡스 15-05-17 12:36
   
디자인 중요성에 대해 님 말도 일리가 있는(그런데 둥근 모서리 어쩌고는 이미 삼성 엘지가

기존 폰에서 다 다루었든 디자인. 누구 말맞다나 자동차 바퀴 둥근 걸로 특허질 할래?로

이건 욕먹는 이유가 있는 거죠. 그만큼 사과의 밑천이 별로 없다는 거고 한편으로는

삼성.엘지가 기존 이런 디자인 특허권을 유지 이걸로 사과처럼 미국에서 소송질 했다가는

미 여론 및 자국 배심원에게 미췬 놈으로 정신없이 까였겠죠)

이번 갤6는 소재, 성능도 성능이지만 이젠 디자인도 아6 찌그러 논 상태죠.


갤럭시S6 블루 토파즈, 엣지 그린 에메랄드 출시.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7&wr_id=568076&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EA%B0%A4%EB%9F%AD%EC%8B%9C&sop=and

삼성 갤럭시 새옷 입고 '롱런'

스마트폰에 적합한 그린 색상을 내기 위해 새로운 공법을 적용했고 보석 느낌을 더해 조명에 따라 색상이 오묘하게 달라지도록 했다.

'갤럭시S6' 디자인을 직접 설계한 이민혁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디자인팀장도 제품 공개 당시 가장 애착이 많이 가는 색상으로 '그린 에메랄드'를 꼽았다. 그는 "'그린'은 일반적 도장 기술로 고급스럽게 표현하기 어
렵다"며 "다양한 연구와 시도 끝에 만족할만한 색상이 나와 기대가 많이 된다
 
지난 3월 초 '갤럭시S6'가 공개된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 삼성전자는 현장에서도 거래처와 업계 관계자들은 '그린 에메랄드', '블루 토파즈' 등 전에 없던 색상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6' 시리즈의 판매량을 공식 발표하지 않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출시 한 달도 안 돼 글로벌 1000만대 판매를 돌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S6 판매가 전작 대비 순항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인기가 많은 엣지 모델 생산이 안정화되고 새로운 색상이 추가되면서 판매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51414230494386&outlink=1
웃기는축구 15-05-17 03:19
   
난 아이폰 써보고 사용자친화적이라고 생각해본적 없는데,, 친화적이라면 기존 아이폰 사용자일 듯. 익숙해지는데 어떤 폰보다도 오래걸렸고 공부해야 할 것도 많고.. 그냥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라면 삼성이나 엘지폰이 한국인한테는 쉽게 느껴짐. 뭐 매니아층을 형성하는데 아이폰이 더 좋을지는 모르겠지만 대중적이고 친화적이라는 이미지는 못갖겠는데,.. 고급이미지, 얼리어답터, 트랜드,, 이런식의 이미지가 먹혀든거지, 과연 이미지다 까놓고 어떤게 사용자친화적인지 모르겠음. 디자인엔 한표. 하지만 디자인을 위해 많은 부분에서 포기한 부분도 있기때문에 그것 역시도 선택과 집중에 있어서 아이폰이 위라고 말할수도. 어째든 선도기업이 애플인것은 맞음. 그리고 특허전쟁으로 이득을 본건 삼성쪽이고. 삼성이 선도하는쪽보다는 애플을 뒤따라가는편이 훨씬 개이득.
알럽뮤직 15-05-24 21:43
   
솔직히 아이폰은 명품화 전략이 먹힌거지..

스마트폰은 소프트웨어랑 디자인이 전부라고 말 할 수 도 있겠지만..
그거빼면 뭐가 있어? 라고 물어볼수도 있지..
 
 
Total 1,18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91 [기타] 한국, 중국 수입 화장품 2위...미·일 제쳤다 (3) 블루하와이 05-19 4518
990 [기타] 대한민국, 요트 세계일주 신기록 달성 (3) 스스로 05-19 1410
989 [기타] 한류스타 JYJ 김재중을 신(神)으로 모시는 태국 사원 (4) happygob 05-18 5840
988 [기타] High 4 하이포 / High Hi [UNBOXING] gaevew 05-18 839
987 [기타] 삼성vs애플 브랜드 인식 Samsung Vs Apple: Brand Perception (22) 오캐럿 05-16 4513
986 [기타] 마이크볼튼,문명진:전설의 만남! 함께한 신곡 메이킹… (5) doysglmetp 05-16 3196
985 [기타] 미녀 알리와 여동생의 한글시험 (7) 오캐럿 05-16 4708
984 [기타] Jung Joon Young 정준영 / Teenager UNBOXING (1) gaevew 05-15 860
983 [기타] WINNER UNBOXING gaevew 05-14 995
982 [기타] [Unboxing] Berry Good's Signed Slogan (2) + 요즘 너 때문에 … gaevew 05-14 806
981 [기타] 유승준 당시 mbc뉴스분 10:28초부터 (15) 야놉스 05-14 4300
980 [기타] 한국 자율주행자동차의 질주 (8) 스스로 05-13 3828
979 [기타] 독일할머니:한식드셔보기 (7) doysglmetp 05-13 6623
978 [기타] Error / VIXX [UNBOXING] 외.. gaevew 05-12 1246
977 [기타] VIXX [UNBOXING] gaevew 05-11 1099
976 [기타] 미래의 한류스타를 꿈꾸는 캐나다인들이 모였다! 블루하와이 05-11 3929
975 [기타] 1인 방송스타, 신한류 개척 '도전장' (6) 블루하와이 05-10 5447
974 [기타] 임흥순, 베니스비엔날레 '은사자상' 수상 블루하와이 05-10 1352
973 [기타] 호주여자 이태원 모험! 빵집 찾자! (1) 오캐럿 05-09 4958
972 [기타] 한인 '기타 앙상블' 70명이 동시 연주 블루하와이 05-09 1606
971 [기타] 내전에 상처받은 르완다…'희망'을 굽는 빵집 (2) 블루하와이 05-09 1929
970 [기타] '쁘띠 꼬레'의 한식 실험 블루하와이 05-09 2356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