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료실
HOME > 영상자료 > 한류영상
 
작성일 : 14-12-03 14:58
[문화] 한국, 기적의 산림녹화~
 글쓴이 : Orphan
조회 : 5,095  










지금의 푸른숲과 푸른산은 여러 선배님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에...

이분들이야 말로 진정한 애국자 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Orphan 14-12-03 15:03
   
심심김 14-12-03 15:27
   
박정희 대통령의 산림녹화와 그란밸트 정책이 주요했죠

그건 인정해야 됩니다,
gigi 14-12-03 15:42
   
지금 북한 생각해보면됩니다...북한이 지금 저레요~~~

붉은산.....
꽃피는봄 14-12-03 15:52
   
난 이걸보면서 뒤에숨은 정치적꼼수가 더 보이네...

이승만..박정희
Orphan 14-12-03 16:04
   
아직도 이런것 보면서 계몽된다고 보시나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굳이 보기 싫으면 안보면 됩니다.

박정희는 516만 얘기해야 하고 김대중은 노벨상만 얘기할까요? ㅋㅋㅋㅋ

녹화한다고 결국엔 자손들은 한평도 없이 살았고
고 현신규박사나 고건 전총리 그외 많은 산림 녹화에 힘쓰던 공무원들은 안보이나봐요 ㅋㅋㅋㅋ
도편수 14-12-03 17:05
   
전에 일반동영상 게시판에서도 보고
지난달 바로 이 게시판에서도 또 봄.
지금 보면 세번째...
일경 14-12-03 18:21
   
안타까운건 단시간에 녹화를 하느라 품종을 모두 개량종을 써버렸다는거 ㅠㅠ..

나무가 자라는대 오래 걸리는 원래 토종은 녹화에 적합하지 않다고 빨리 자라는 개량종을 써버린 덕에..

산에 있는 나무가 쓸때가 없음 -_-;;

나무마다 원래 재질과 특성에 따라 사용 용도를 나누는데.. 개량종은 이 재질과 특성이 안좋음.

예로 일반적으로 단단한 물건을 만들거나 힘을 많이 받는 곳에 쓰는 나무는 일반적으로 침엽수를 많이 씀. (침엽수는 나무가 더디게 자라는 대신에 나무의 구조가 단단하게 자라서 다른 활엽수에 비해 튼튼함.)
헌데 개량종 침엽수는 빠르게 자라는 덕에 이런 특징이 약해짐 ;;

그리고 원래 생태계에 안맞게 나무를 많이 심음 ^^;;

우리나라에 소나무가 많았다는건 이북을 말함. 남쪽은 높은 산 아님 지금 처럼 많이 없었음.

허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소나무를 좋아 하는덕에 많이 심어 지금은 어딜가도 소나무가 많음.

하지만 기후에 잘 안맞으니 많이 죽고 있음 ㅠㅠ

이런 변수들이 존재하죠 ^^;
ISter 14-12-03 18:50
   
이제 배불렀다 이건가 별소리를 다하는군요... 나무품종이 어쩌구
천천히 자라면서 품종 좋은 나무는 지금부터 천천히 심어서 대체해 나가면 되는거 아닌가요
저 당시에 값비싸고 좋은 식목재 구입에 사용할 예산이 편성되는게 가능할거라고 보시는지??  그거보다 더 급한 일들이 널리고 널렸을텐데

저예산으로 이정도 결과 일궈낸거만해도 당사자들의 노력이 바로 느껴지는구만  애먼데 딴지거는건 뭔 심보인지
시간의흔적 14-12-03 20:45
   
제일 ㅈㄹ 같은 게 결과론 ㅎㅎ;; 

그 시대를 살아보지 않았음 쉽게 말을 하면 안됨.. 아무리 떠들고 세뇌를 해봤자 훗날 역사가 평가하게 되어있음..

김대중도 박정희를 인정했는데 그래서 둘다 대한민국에서 큰 업적을 남긴 대통령들임.. 왜 서로 헐뜯지 못 해서 안달임??
날백 14-12-03 23:04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우리나라야 당연히 예전부터 산이 많고 숲이 울창하다고 생각했었는데 그 이면에 많은 노력들이 있었네요.
삼족오m 14-12-03 23:34
   
독재의 어떠한 행위도 결과로서 정당화될 수 없음
결코 두 번 다시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은 일어나지 말아야지요
슴새 14-12-04 06:29
   
그래서 이게 한류랑 무슨 상관이지?..
무지개빛 14-12-06 18:21
   
노숙자도 서울역앞에서 반찬투정하는 요즘 시대의 배부른 사람들이, 굶주림과 영양실조를 늘 안고살았던 과거의 사람들을 어떻게 함부로 평가하겠습니까. 요즘은 내가 행복하지 못하다고 투쟁하죠? 뭐가 이렇게 불공평하냐면서요... 옛날에는 불공평이고 뭐고 당장 오늘 하루의 내 생명, 오늘 하루의 내 밥을 위해 허덕였습니다. 그런 세대를 함부로 평가하지 마세요. 당신도 몇 일만 굶어보시면 머리속에 돈이고 정치고 여자고 나발이고 일단 밥부터 생각날 것입니다. 한 끼도 못먹고 정말로 몇 일간 굶어보시면 말이지요.
sunnylee 14-12-10 11:50
   
진짜 대단한것임.. 한반도 수천년동안..
 사람들이 벌채한 민둥산을 돌린다는건..
심으면 베어내는 악순환을 해결한것...
 
 
Total 7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6 [문화] 남인도 첫 한국 전통 문화 공연 암코양이 12-07 801
385 [문화] 전통 시장 속 '한국 식품' (1) 블루하와이 12-07 1702
384 [문화] 케이프타운 한국 영화·음식 축제 ~ 블루하와이 12-07 1709
383 [문화] 이스라엘 전통 시장 속 '한국 식품' (3) 암코양이 12-06 4151
382 [문화] 예솔이를 기억하시나요? 판소리꾼 이자람 (3) 雲雀高飛 12-06 1453
381 [문화] 세종학당 블루하와이 12-05 1742
380 [문화] 태권도, 아리랑, 한글 블루하와이 12-05 1550
379 [문화] 혼이 담긴 조선의 칼 (10) 雲雀高飛 12-04 4135
378 [문화] 한국에있는 관광객 정보 암코양이 12-04 1631
377 [문화] 인도네시아 여성의 한국의 겨울 (2) 암코양이 12-03 7135
376 [문화] 2014 대한민국 서울을 여행하다 (1) 암코양이 12-03 4372
375 [문화] 한국, 기적의 산림녹화~ (14) Orphan 12-03 5096
374 [문화] 대장장이 외길 40년 기능 보유자 (4) 雲雀高飛 12-03 1535
373 [문화] 내가 한국을 사랑하는 이유(온두라스 여성) (3) 암코양이 12-02 4529
372 [문화] 대금제작 비밀의 문을 열어라 (2) 雲雀高飛 12-02 1402
371 [문화] 한·미가족 한국전통문화체험 ~ 블루하와이 12-01 1444
370 [문화] 대금연주곡 팔도아리랑 (1) 雲雀高飛 11-30 1472
369 [문화]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 보유자 (4) 雲雀高飛 11-30 1287
368 [문화] 이승철, 독도 공연: "그날에" "홀로 아리랑" (3) 청실홍실 11-30 1539
367 [문화] 세계를 무대로!…테너 이용훈 씨 블루하와이 11-29 1150
366 [문화] 우리의 문자, 한글 [한국문화100] (3) 오캐럿 11-29 2648
365 [문화] 한국이 좋아요!, 한국문화 클럽 한사모 (2) 오캐럿 11-29 3987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