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료실
HOME > 영상자료 > 한류영상
 
작성일 : 16-10-22 19:55
[문화] 한류에 밀린 홍콩 영화계, 그리고 배우 이영애가 밝힌 한류의 성공비결
 글쓴이 : 처용
조회 : 10,260  

*그날 스포츠 이슈 영상은 분야에 맞게 축게,야게,기타스포츠 게시판에 함께 올려주세요.
*동영상 폭 사이즈는 반드시 700 이하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모든 게시판 공통)
*해외반응 유튜브 영상 등록은 불가합니다.





- 홍콩의 '명보(明報)'한 배우 이영애의 특별인터뷰
- 여기서 이영애는 한류의 부흥이 가능했던 이유를 이야기 했다.
- 민감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용기있게 말한 그녀.
- 과연 그녀는 한류의 부흥과 쇠퇴하고 있는 홍콩영화계에 어떤 시각을 갖고 있을까?


https://www.youtube.com/watch?v=TdtYVnADB4Q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처용 16-10-22 20:02
   
     
wpzp 16-10-22 22:21
   
홍콩 명보기사도 지멋대로 쓰는 버릇이 있어서ㅉ
언제부터 이영애가  홍콩연예인들이 나의 우상이었다고 인터뷰를 했냐ㅋ
걔네도 웃낀게 홍콩에 좋은 배우들이 많다고 하면 이상하게 번역 걸핏하면 우상타령하대
홍콩영화가 쇠락한건 자기복제도 소재고갈 탓도 있음
대꼬 16-10-22 20:18
   
제제가 많아도 걱정 너무 풀어 산으로 갈까 걱정^^
도편수 16-10-22 20:20
   
알겠지?!! seo병수야~ 영화계는 신경꺼라 .
이토 16-10-22 20:20
   
명보 하면 김용 생각밖에..
비좀와라 16-10-22 20:21
   
정치와 문화는 서로 상반된 분야죠.

정말로 웃기는 것이 광복초기 혼란한 상황에서 좌익과 우익이 싸웠을 당시 이념을 주제로 한 문학사류와 이념과 문화는 다르다는 문화사류가 있었는데 전자가 좌익이고 후자가 우익이죠. 그런데 지금은 꺼꾸로 되었단 말이죠.

문화에 이념을 넣어서는 안된다던 사람들이 문화에 이념을 넣어야 한다고 하면서 검열을 하기 시작 한거죠. 여기서 누가 옳고 그르다 라는 것을 논하기는 그렇다 제 생각에는 문화와 이념은 관련이 있지만 너무 이념에만 경도되면 결국은 문화는 죽는다는 것이죠.

한국영화가 지금 유명해 졌다고 잘 못 생각 하는데 한국영화의 전성기는 1960년대 에서 1970년대 입니다. 이 시기의 한국영화는 홍콩영화에 많은 영향을 끼쳐 결국 홍콩영화의 전성기를 이끈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러했던 한국영화가 몰락하게 된것이 검열제도의 확장과 강화에 이어진 한국영화 정책 때문이죠. 거기에다 전두환시기의 3s정책은 한국영화의 장례식이라 할 수 있었죠.

김대중 대통령 시기 부터 시작한 민주화가 한국영화에도 영향을 주어서 지금의 한국영화가 있는 것 입니다. 다시 한국이 과거로 돌아가면 다시금 한국영화는 죽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죠.

이 것은 한류라 명칭대는 모든 문화상품도 관련이 있습니다.
     
서울뺀질이 16-10-22 21:43
   
박통 시기에는 영화인들이  자유로왔나요?  소위 깡패들 정리하면서 임화수 사형 시키고  그 밑에 똘만이들 죄다  형무소 쳐 넣엇는데  그런 분위기가 영화 만드는데 좋은 영향을 미쳤나요? 70년대는 유신 시대로  말 한번  잘못하면 남산으로 끌려가 물고문 당하다가 의문사 당하던 시절 이었습니다. 

그리도 전두환 시절에는 최소한  고문치사든 성고문이든 언론을 타고서 밖으로 소식이 퍼져서 데모 라도 했죠.  박통 시절에는 언론의 자유는 전무하고  신문이 사전 검열 되어서  한면이 시커멓게 되어서  나온 적도 많아요.  죽어도  왜 죽엇는지  알 수가  없어서 의문사 사건이 많았던 시절이었습니다.  금서 목록도  엄청 많았구요.  영화인들이  책을 읽어야  제대로 영화를 만들죠?

 문민정부 김영삼은 영화 탄압 햇나요?  민주화가  한국 영화를 살려야 햇으면  87년 6월 항쟁이후  9차개헌 후에  직선제로  바뀌 시점부터  한국영화가 나아져야 하지 않았나요?

영화  수준은 국민들  수준이고  국민들 수준은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교육은 돈이 잇어야  제대로  할 수 있죠.  결국  소득 수준이 향상 되어야  문화수준도  그에 맞추어서  올라가는 겁니다.  당장 먹고 살기 바쁘면  문화에 신경이나 씁니까?

그리고, 김대중 찬양은 먹어도 먹어도 영원히  질리지 않는 새우깡 입니까?  지금 머리에 핵폭탄 지고서  살게 된게  누구 때문인데  아직도  그 양반 찬양을 합니까?  정은이가 쏜  핵폭탄 맞으면 정신 차릴려냐?
          
나이트 16-10-23 00:54
   
잘 나가다가 이야기가 산으로 가는구만...
          
바람노래방 16-10-23 01:30
   
노태우 때 시작되었습니다.
김영삼때 폭발적으로 발전했고
이승만때 처럼 모조리 학살을 당해봐야 정신 차릴려나...
          
발해로가자 16-10-23 02:14
   
김대중 대통령 이후부터 대한민국 영화에 르네상스가 온 건 다른 나라도 인정하는 사실인데 뭔 소리입니까? 한국영화는 쉬리 이전과 이후로 나뉘고 역대 대통령 처음으로 국정원까지 조력하게해서 쉬리 찍게 허락한게 김대중 정부입니다. 이건 그 전엔 꿈도 못 꾸는 일이었다고 감독 인터뷰까지 있습니다.

그리고 예술하는 사람치고 진보적, 개혁적 사고를 갖지 않은 사람이 몇이나 됩니까?
진보정권으로 바뀌고 한국영화가 발전한건 당연한 겁니다.
영화계 90%가 진보적 인사라고 새누리에서 한탄하는거 보면 모릅니까?
이창동, 박찬욱, 봉준호, 김기덕, 최동훈, 김지운 등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감독들이 바로
이명박근혜정부 블랙리스트에 오른 대표적 반친일독재 감독들입니다.
          
밀레니엄 16-10-23 22:26
   
한국영화 전성기가 60 70년대 에서 웃으면 되는군 ㅋㅋㅋ 90년대 서편제 100만 돌파 하면서 한국영화 전성기를 열었으면 열었지 정치 이야기 좀 쓰면 있어 보여요
     
빠떼루김 16-10-23 01:24
   
김대중 슨상님 상황폐하 만쉐!!!
          
발해로가자 16-10-23 02:19
   
"내 일생 일본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덴노 헤이까 반자이!!!"
               
빠떼루김 16-10-23 15:32
   

텐노 헤이까 반자이!!!
티아라떼 16-10-22 22:38
   
성룡영화 최근에 봤는데 러시아 몽골 조금나오고  대부분 중국 유명 관광지 홍보만 하던데 ㅋ재미 더럽게 없음 .변호인 중국반응 보면 많이 부러워 하죠 우린 언제 저런 영화 만드냐구 ㅋㅋ음향 카메라 워크기술도 중요한건 인정해 줘야죠 영화관 시설도 물론이구요
user386 16-10-23 00:42
   
동서고금을 통틀어 종교가 정치에 개입해서 잘 된 예가 없으며... 정치가 문화에 개입해서 망하지 않은 나라가
없습니다. 이영애 얘기는 어찌보면 지극히 당연하고 보편적인 얘기 입니다.

그런데 대한민국은 이명박, 박근혜 정권 들어서 여러 민주주의 지표가 점점 뒤로 가더니 소위 친박으로
알려진 부산시장 이라는놈은 본연의 임무인 민생은 돌보지 않고 난데없이 잘 나가던 부산 국제 영화제에
영화를 걸어라 말아라 지랄을해서 영화제를 초토화 시키냐고?... 과거 군부 독재에나 있을 법 한 일들이
21세기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일어나는 개탄스러운 상황...
모니터회원 16-10-23 03:41
   
시대적으로 말이 안되는게...
홍콩영화가 한류영화에 밀린게 아니라 자멸한겁니다.
미국까지 진출한게 홍콩영화였는데 한류영화가 밀어낸다고 밀립니까?
주연급들의 무분별한 겹치기 출연(한명이 동시에 10여편에 출연한 영화들도 있다함)과 자기복제에 빠져 식상해져 관객들이 외면해 버린겁니다.
거기에 홍콩반환이 겹쳐 감독과 배우들이 홍콩을 떠난것이 결정타가 됐죠.

그사이 헐리우드 SF영화가 들어왔다가 점차 한류영화가 잠식해 나간겁니다.

장르도 홍콩영화는 르와르가 주요 장르죠.
한국영화는 액션(조폭)과 코믹, 멜로물, 사극등 다양하구요.

자멸한 홍콩영화에 한류영화를 끼워맞춰 한류때문에 밀려났다고 변명하는겁니다.

홍콩영화가 식상해진 시기와 한류영화가 붐이 일어난 시기는 꽤 긴 시간상의 간격이 존재합니다.
시리타이야 16-10-23 12:22
   
사회가 경직되고 정치간섭이 시작돼면 끝이죠. 잘 나가던 부산국제영화제도 순식간에 폭망하는 거 보고있지 않나요.
kpopgogo 16-10-23 14:52
   
한국 영화 빌전 이유
 1. 경제발전에 따른 영화에 대한 자본의 투자 급증
 2. 민주화에 따른 표현의 자유의 신장
 3. 해외여행의 자유화와 해외유학의 급증으로 국민들의 영화에 대한 안목 향상 및 재능있는 인재들의 영화계 진출
 4. 수천년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한국인 특유의 DNA
 4.
검은마음 16-10-23 20:58
   
결론은 우리도 이제 몇년 안남았다는거 한류가 끝장나는것도...
이명박근혜같은거 뽑아놓는 인간들이 있는한...
Iniesta 16-10-23 21:27
   
홍콩영화가 사그라든건 계속되는 재탕으로 자멸한것도 있지만

홍콩이 중국의 편입되면서 사형선고 받았다고 보면됩니다.
 
 
Total 72,40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유튜브 보이스영상 원천 차단 가생이 06-29 113460
공지 [공지] 품번 공유자 강력조치 가생이 03-13 145166
공지 [공지] 한류영상 등록시 주의사항 및 한류영상 판단기준(2012… (34) 가생이 02-29 358596
31061 [리액션] DΞΔN x Eric Bellinger [I`m sorry] 리액션 스코티쉬 10-21 2116
31060 [기타] Talk! Talk! KOREA 2016 [2016.10.18] (2) 암코양이 10-21 2437
31059 [기타] 北 TV서 ‘뽀로로’ 포착..김정은 딸 사로잡은 뽀통령 (8) happygob 10-21 5162
31058 [기타] 닭발 곱창 번데기 닭똥집 먹방 외국인반응[한글자막] (5) 암코양이 10-21 3380
31057 [기타] SNS로 새로운 한류 이끄는 '방탄소년단'의 질… (2) happygob 10-21 4462
31056 [리액션] BTS 슬로바키아팬 리액션 (4) 쿨하니넌 10-22 3544
31055 [기타] 경복궁 ~ (2) 블루하와이 10-22 975
31054 [리액션] 방탄소년단&케이팝에 대한 외국인들의 반응 (1) 블루하와이 10-22 3002
31053 [기타] '24절기' 다양한 한식을 만나다...K푸드 축제 … (1) 블루하와이 10-22 1081
31052 [문화] 한국의 가옥 ~ (2) 블루하와이 10-22 1540
31051 [문화] 다시, 한복 ~ (4) 블루하와이 10-22 1768
31050 [커버] 일본 처자들의 "4Minute - 싫어 & 아이오아이 - 뱅뱅" (Gla… (1) 블루하와이 10-22 1179
31049 [커버] 캐나다 처자들의 "EXID - 엘라이" (EAST2WEST) (1) 블루하와이 10-22 655
31048 [커버] 미국 처자들의 "트와이스 - CHEER UP" (MKDC - Minnesota Kpop D… (1) 블루하와이 10-22 1404
31047 [커버] 일본 아이돌 그룹 'UFZS'의 "4Minute - Hot Issue" (GF… (1) 블루하와이 10-22 2198
31046 [기타] 한국인에 대한 외국인의 솔직한생각[한글자막] (11) 암코양이 10-22 5709
31045 [기타] 외국인이 즐겨먹는 한국음식은? (1) 암코양이 10-22 3362
31044 [리액션] 스웨덴 미녀: 샤이니 '원 오브 원' 청실홍실 10-22 1764
31043 [리액션] 노르웨이 미녀: 마마무 '뉴욕' 청실홍실 10-22 2848
31042 [기타] 욕쟁이 캐나다녀 트리샤의 불닭볶음면 도전 먹방 (6) 암코양이 10-22 5475
31041 [기타] 세계은행, 사상 처음 한국서 직원 공채 (2) 암코양이 10-22 3719
31040 [문화] 한류에 밀린 홍콩 영화계, 그리고 배우 이영애가 밝… (21) 처용 10-22 10261
 <  1871  1872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18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