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료실
HOME > 영상자료 > 한류영상
 
작성일 : 17-09-09 18:51
[영화] 부산행, 일본 더빙판 예고편
 글쓴이 : 카루
조회 : 6,674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흙탕물 17-09-09 19:10
   
아무리 일본 성우들이 연기를 잘한다고 해도 저런 개봉작까지 더빙을 하는건가
꽃보다소 17-09-09 19:31
   
아무리 더빙이라지만 이건 완전 영상이랑 음향이랑 분리 시킨 것 같은 느낌이 너무 강하군요.
그정도 음향 기술도 없다니 ㅡ.ㅡ
목소리만 지우고 더빙한 느낌이 아니라 전체 음향을 빼고서 더빙한 느낌. ㅋㅋ
ficialmist 17-09-09 19:32
   
더빙 많은 나라들이 보면 더빙이 익숙해서도 있지만
대체로 활자가 어려워 읽기 힘들거나 문맹이 많을 경우... 자막을 싫어하더군요

우리와는 정반대의 상황이죠..
우리는 더빙 싫어하고 자막이 더 좋다는 의견이 최근 아주 많이 늘어났죠.
     
인히스플 17-09-09 20:17
   
반대죠. 예전엔 더빙 싫어하고. 요즘은 더빙 특유의 맛이있어서 더빙판 재개봉이나 더빙판 DVD발매등이 이루어지기도합니다. 요즘 우리나라 성우의 질이 워낙오르고 성우시장이 커지다보니...

선택권의 문제인듯합니다. 다양성하게 선택할수있다면 매우 좋죠. 제일 바람직하고...
          
팬더롤링어… 17-09-09 20:27
   
90년대 이전까진 더빙을 좋아했었다기보단 선택 자체가 불가능 .. 80년대 까진 비디오 있는 집도 잘 없었고 영화관 가서 영화 보는거 아닌 이상 전부 더빙 이었으니 어쩔수 없었죠. 그 이후 여러 매체의 대중화에따라 더빙이 많이 하락세였고 최근엔 님 말대로 둘다~
          
꽃보다소 17-09-09 21:11
   
더빙을 좋아한다니요? 어린아이들 보기 편하라고 더빙하는 것이지 영화나 드라마 더빙하면 그 작품의 진가를 알수가 없습니다.
일단 배우들의 연기에 목소리는 엄청난 작용을 합니다. 목소리 톤,말투를 통해서 감정 전달을 하는데 이게 더빙을 하면 완전히 망하죠.
외국작품 망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더빙입니다. 감정 전달이 않되죠.
               
인히스플 17-09-09 21:17
   
그걸 싫어하면 원본판을 보면되죠. 그러니까 말했잖습니까. 선택권의 문제라고. 그걸 더빙판까는 근거는 못됩니다. 성우도 하나의 문화로써 인정되고, 성우 개개인이 배우로써 엔터테이너화 되어서 나타는 현상입니다. 원곡이 있는데 리메이크나 커버곡을 내는 가수들이 원곡가수과 똑같은 감정전달을 하는것도 아닌데 불구하고 소비자들에게 선택받는것 그것도 선택권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거 아니면 무조건안된다는 자세는 좀 바꾸심이 어떨까요? 우리나라는 왜이리 자신이 마음에 안들면 정답이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까요? 틀리게가 아닌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들의 생각을 알기위해 대화할 생각은 없으십니까? 더군다나 다른이유도 아니고 예술문화에서 다양성이란 축복과 마찬가지인데, 그게 깔거리입니까? 더빙판밖에 볼수없는 선택권이 제한된 상황에서나 더빙판에 대한 비판이 작용하지 무작정 더빙판을 깔이유가 안됩니다.
                    
꽃보다소 17-09-09 22:41
   
배우들의 연기에서 목소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전혀 모르시는 군요.
목소리 톤 하나 때문에 욕을 먹는 배우들도 많습니다.
배우들이 사극을 극히 싫어 하는 이유는 목소리 톤을 바꿔야 하기 때문이죠. 말투도 바꿔야 하구요. 목소리는 그 사람을 나타내는 정말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것을 성우가 대신하면 그게  누구인가요?
더빙은 축복이 아니라 어쩔 수 없어서 선택한 하나의 방편일 뿐입니다.
중국,일본이 더빙이 많습니다. 드라마,영화 일본의 경우는 심지어 뉴스에서 외국인들 말 전부 더빙하죠. 그건 축복이 아니라 그 나라의 언어,문자에 관한 문제를 더빙으로 해결하는 것입니다.
                         
인히스플 17-09-10 03:50
   
끝까지 자신이 할말만 하는군요.
                    
알샤 17-09-10 17:01
   
암만봐도 본인이 억지부리는 것 같은데 ㅋㅋㅋㅋㅋㅋ
 한자 문화권에서는 실제로 한자 표기해도 못읽는 경우도 많고 헷갈리는 경우도 많고 해서
자막보다 더빙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한국에서는 자막판을 더빙판보다 선호하고 있죠, 영화 예매율이나 상영 비율부터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의 경우 자막 언어를 읽기가 어렵지 않아서 자막으로 봐도 대사의 톤과 연기력을 그대로 느끼면서 언어적 이해도 할 수 있기 때문이죠.
 더빙판 재개봉이나 DVD발매야 당연히, 어린이들이나 자막을 보기 힘든경우 그리고 소수의 더빙판 마니아(대체로 특정 성우 팬분들이 많습니다.)를 위해서 하는거구요 ㅋㅋㅋ

 선택의 차이라고 하면서 자꾸 물흐리시는데, 실제로 더빙보다 자막이 영화 자체를 이해하고 감정선을 느끼는데 좋습니다.  선택의 차이가 아니라 이건 엄연한 팩트입니다.
 애당초 대사 자체가 그나라 말로 쓰여서 그걸로 연기를 했는데 한국어로 그 호흡에 맞춰서 같은 감정 전달을 할 수 있겠습니까 ㅋㅋㅋ
 
  연극영화과 친구들이 연습할 때 원본을 참고하는 이유 그리고 오페라에서 리메이크작이
 아니라 순회공연일 경우 왜 굳이 남의 나라에서도 원작의 언어를 쓰는지 이해를 하시고 댓글을 다시기 바랍니다.
 
 자꾸 더빙을 찾는 사람이 많고 성우 시장이 커졌다는데, 스크린 점유율 부터 자막>>>더빙인데요. 세계 동시상영하는 영화야 더빙 시간이 없어서 그렇다쳐도 재개봉 작이나 나중에 개봉하는 작품의 경우도 자막>>>더빙입니다.

 더빙이 점유율이 높거나 비슷한 소수의 작품들 대부분이 유아용 애니메이션들이구요. 나는 꺠시민인데 다른 사람이 자꾸 모르면서 아는척해 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

 억지 부리지 마시구요, 스크린 점유율이랑 연영과 애들 수업시간 때 교수들이 원작으로 그나라 언어로 연습하라 하는 이유에 대해서 곰곰히 생각해 보시고 댓글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베로나 17-09-12 22:41
   
서로 그냥 자기 주장 내세우고 있는데 뭘 선택권 운운하면서 포장하고 있나요 ㅋㅋ
님이 말한 3줄중 2줄은 반대의견을 쓰셨고 나머지 1줄은 취향차이라면서요
님이 보기엔 님글이 중립으로 보이세요? 당연히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과 다르면
 반대의견 나올 수 있죠 그래서 님도 반대라고 쓰신거자나요
꽃보다소님이 급하게 선택권의 문제라고 막줄에 적어놓으시면 가만히 계셨을거 같진 않은데 말이죠.
정답이 없다 생각하신다면 끝까지 중립지키시던가
갈때까지 가보자 싶음 앙케트조사라도 벌여서 펙트제시 하시면 됩니다.
헛개차 17-09-09 19:39
   
폰 만지작거릴때나 자막보는게 불편할 뿐...
소음문제로 불편해서 한국 영상들도 자막으로 보는걸 좋아합니다.
사용하는게 한글이라 다행이라고 생각하네요.
후롱 17-09-09 20:38
   
애니 보는 느낌 나네요 ㅎㅎ
odroid 17-09-09 23:04
   
외국말을 번역 목소리만 더빙했다고 보면 잘한거 같은데 왜 일본 드라마나 영화에서 연기력이 개 발개인건지....
대당 17-09-10 04:03
   
근데 생동감은 확 떨어지긴 하네요
mlyj 17-09-10 07:25
   
한번 봐보고 싶네요.
 
 
Total 72,41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유튜브 보이스영상 원천 차단 가생이 06-29 114357
공지 [공지] 품번 공유자 강력조치 가생이 03-13 146009
공지 [공지] 한류영상 등록시 주의사항 및 한류영상 판단기준(2012… (34) 가생이 02-29 359438
7928 [일본방송] 110616 ZIP INFINITE(인피니트) (7) 푸른하늘 06-16 6670
7927 [기타해외] 2013.5.21 지금 프랑스 깐느 영화제에서 싸이를 사칭하… (18) 통일의꿈 05-22 6670
7926 [일본방송] 170301 Twice일본방송 메자마시 코코시라 [한글자막] (3) 미영짱 03-01 6670
7925 [기타] 외국인 아줌마들 응답하라 1988 반응 (10) 아가다 12-11 6670
7924 [기타] 혁신해 나가는 나라 한국, 혁신이 없는 나라 일본 (3) 블랙커피 04-24 6670
7923 [일본방송] 카라 드라마 -규리의비밀- (6) 니코니코 12-15 6671
7922 [문화] 웃음 터지는 보이스피싱 실제통화 내용 (2) 스스로 04-16 6671
7921 [기타] SM YG JYP 아이돌 삼국지(三國志) (30) kpop4ever 01-03 6672
7920 [기타] SBS뉴스 - 일본 잡지 선정 최고의 한류스타 1위 (14) kpop4ever 06-14 6672
7919 [일본방송] 김태희 출연 日 드라마 "나와 스타의 99일"【자막有】 (13) kpop4ever 12-08 6673
7918 [K-POP] [무자막]k-pop에 대한 미쿡 아이들의 생각(반응) (34) 하양거북이 01-11 6673
7917 [일본방송] 121121.모기다테, 121124.메자마시 (자막본) (10) 암코양이 11-25 6673
7916 [대만방송] 대만연예뉴스에 나온 송승헌광고속 한국가요등(201309… (5) 부리부리 09-13 6673
7915 [리액션] 히스패닉 아버지의 런닝맨 리액션! (3) 레오파드 03-01 6673
7914 [K-POP] SM가수들 태국입국 태국방송 인파가 (14) 대빵이 11-26 6674
7913 [한류뉴스] 다시 찾고 싶은 한국을… (8) 암코양이 04-01 6674
7912 [영화] 프랑스 최신영화에 K-pop등장 - 브아걸 아브라카다브… (16) 뭘꼬나봐 03-22 6675
7911 [커버] 일본 전 아이돌 SKE48 미카미 유아의 트와이스 TT 에이… (7) 인천쌍둥이 04-12 6675
7910 [영화] 부산행, 일본 더빙판 예고편 (16) 카루 09-09 6675
7909 [기타해외] 인도 델리대 한국어과 학생들 <춘향전> 공연 (9) 신동 05-20 6676
7908 [일본방송] 110718 AFTERSCHOOL(애프터스쿨) 프리미엄 라이브 뉴스 영… (7) 푸른하늘 07-19 6676
7907 [K-POP] 헝가리방송 K-POP 취재 (9) 뾰루퉁 06-06 6676
 <  2931  2932  2933  2934  2935  2936  2937  2938  2939  29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