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료실
HOME > 영상자료 > 한류영상
 
작성일 : 15-07-15 12:48
[기타] 미국인들이 본 한국나이
 글쓴이 : 투애니원
조회 : 8,423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비좀와라 15-07-15 13:03
   
한국 나이 계산법은 한국의 전통사상에 기반 한 것입니다. 한국은 임신 기간 중에도 인간이다 라는 사상이 있습니다. 황우석 사건에서 언제부터 인간인지를 놓고 논쟁이 있었잖아요. 결론은 한국의 계산법이 맞다임을 합의 했죠. 수정 때 부터 인간 이라 본 것입니다. 한국은 인격이 수정 후 부터 형성되어 마지막 죽음으로 완성이 된다고 봤고 그래서 죽음을 되어지다로 표현합니다.  인격의 완성이 죽음으로 되었다는 겁니다. 우린 지금 그걸 뒈지다로 쓰죠? 좋은말이 속된 말로 바꾼 좋은 예지요.
     
짜파겥이 15-07-15 15:29
   
뒈지다의 의미를 알게됐네여... 고맙습니다.
     
성가심 15-07-15 19:33
   
태아 때부터 세기 때문에 한 살이 많다는 거 낭설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아는 것을 말씀드리자면,
영어의 경우는 나이를 세는 단위가 따로 있는 게 아니고 '몇 년 됐다'잖아요.
23 years old 라고 하면 그냥 '23년 살았다' 혹은 '23년 됐다'인 건데
우리는 '세' 또는 '살'이라는, 나이를 세는 명확한 단위가 있는 겁니다. 미터나 그램 처럼요
이 단위는 그 사람이 몇 년을 살았냐를 표시하는 게 아니고
몇 번째 해(年)를 살고 있느냐를 표시하는 겁니다.
인간이 아니고 우주, 자연을 중심에 두는 동양적 사상에 기반을 두는 거죠
방금 태어난 아이는 태어나 첫 번째 해를 살고 있어서 한살인 겁니다.
그리고 명확하게 나이를 세는 단위가 있는 상황에서
방금 태어난 아이를 0세, 0살이라 하는 것은
0 = 無, 즉, 그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게 됩니다.
영어의 경우는 3 months old 처럼 '이 아이는 세달 된 아이야'라고 할 수 있지만 말이죠.
그게 흔히 말하는 한국식 나이, 전통적인 동양식 나이 세는 법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말이죠.

그래서 '나는 한국 나이로 25살이야'를 영어로 말하려면
"I'm 25 years old." 가 아니고
"I'm living my 25th year." 가 더 적절할 겁니다.
          
쪽들쪽들 15-07-19 00:12
   
캬 좋은 글에 감탄하고 갑니다. 역시 서양과 한국의 관점차이가 보이는 군요. 근데 일본 중국은 다른 이유가 뭘까요? 저도 임신해있을 때부터 나이를 센다는 말은 잘못된 지식으로 알고 있긴 했었습니다.
뿡뿡이 15-07-15 14:17
   
왜 그런 나이 계산을 하는 건지는 언급이 없네요.
룰루정수기 15-07-15 14:23
   
부산에서 사시나 사투리가 ㅋㅋㅋ
룰루정수기 15-07-15 14:25
   
빠른 이제 사라지는거로 아는뎀...아닌가요??
     
빨간사과 15-07-15 15:16
   
법적으로는 이제 막혔을거에요
통밀케익 15-07-15 15:32
   
예전엔 동양에서 널리 쓰였던 나이 계산 방식이나, 현재는 중국에 일부 남아있고 한국은 여전히 고수하고 있는 옛날 중국식 나이 계산법일 뿐...
     
중용이형 15-07-16 13:39
   
글만봐선 악의가 있는지 없는지 확실히 모르겠지만 만 나이도 옛날 방식이긴 마찬가지죠.
kuuun 15-07-17 19:54
   
재밌네요
 
 
Total 1,18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79 [기타] 휘트니 젤리빈 먹방 고스란히 07-25 2797
1078 [기타] 러시아 중심에서 맛과 멋으로 하나 되다 (1) 블루하와이 07-23 5006
1077 [기타] ▶◀케이팝을 사랑한 인스피릿팀의 Anya (27) 오캐럿 07-22 6966
1076 [기타] 머리에 LED 쪼여 행동·감정 조절 (4) 블루하와이 07-20 2168
1075 [기타] 뉴욕에 한국인이 한 명도 없는 케이팝 그룹이 데뷔했… (25) 오캐럿 07-19 11918
1074 [기타] 한복의 멋, 태국 치앙마이를 물들이다 (8) 오캐럿 07-18 4652
1073 [기타] 영국 노래 1위,다시 만난 세계 外 @2015 케이팝 월드 페… (10) 오캐럿 07-17 7794
1072 [기타] 2015 K-POP WORLD FESTIVAL IN BERLIN 최종 11팀 하이라이트외 (2) 투애니원 07-15 3664
1071 [기타] 미국인들이 본 한국나이 (11) 투애니원 07-15 8424
1070 [기타] 한국인을 구분하는 법 (19) Bluewind 07-13 6857
1069 [기타] 외국 장관들 "한국 홍삼이 최고예요" (10) 블루하와이 07-12 8217
1068 [기타] '한국 음악'에 취한 음악의 도시 블루하와이 07-12 7169
1067 [기타] 파병으로 맺은 우정 U대회로 이어져 (1) 블루하와이 07-11 3786
1066 [기타] 해녀삼춘과 아마짱 (1) 해바라기U 07-09 3019
1065 [기타] "나도 유재석이 되고 싶어요"(한국 거주 외국인들) (5) happygob 07-08 6784
1064 [기타] 박상미 문화평론가 KBS 한류특집 (4) 늙은생강 07-08 3430
1063 [기타] 스마트폰, 충전 걱정 없이 자유롭게 사용한다! (11) 블루하와이 07-08 3263
1062 [기타] [한국무역협회] 외국인들이 본 한국, 한국인, 그리고 … (5) 웃는얼굴 07-07 4555
1061 [기타] 북한을 바꾸는 힘! 한류 (7) happygob 07-07 6755
1060 [기타] 러시아(구 소련)의 축구 영웅,고려인 미하일 안 (1) happygob 07-07 2803
1059 [기타] Hi~ (25) shadowcdancer 07-06 4056
1058 [기타] 희망의 K팝, 베트남을 춤추게 하다 (3) 오캐럿 07-04 713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