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WD] 해외에 소개되는 한국음식
등록일 : 14-01-16 19:38  (조회 : 28,954)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아시아요리에 대한 디스커버리 채널의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한국 음식을 주제로 만든 영상이구요, 한글 자막지원도 되네요 :)
 
 
 
 
 
 
 
 
 
Asian Restaurant North Perth
이거 보니깐 완전 침이 줄줄 흐르네!
아시아 요리들은 다들 독특한 맛이 있고 차이점도 있어!
게다가 무척 맛도 좋지!
 
 
 
DanielZen0
아직까지 한국음식이
일본이나 중국음식에 비하면 인기는 덜한것 같아
 
 
 

poiuytrewq
배고파진다.....
한국 전통 음식들은 보기에도 좋고 맛도 있고 건강에 좋을것 같아
 
 
 
なち あそうたろう
한국음식은 맵고 맛있지! 난 너무 좋아해!
 
 
 

Shin KWorld
김치는 정말 건강식이야. 사스도 막아줬고 비만 억제도 되고!
 
 
 

Gary Luparello
김치! 김치! 오오 좋아!
 
 
 

Jakathera
익힌 김치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긴한데
난 뒷맛이 깨끗해지고 말끔해서 좋아해
 
 
 
Kris BG
좋은 다큐네요, 감사합니다
 
 
 
jsk5400
BBC에서 말하길 이제 한국 경제가 아시아 3위래요
 
 
 

dajkula
북한 사람들이 이 영상 보면 당장 38선 넘어올듯 ㅋㅋㅋ
 
 
 
aikkuma1
일본애들은 자기네 음식이 원조라고 하지만
사실은 중국과 아시아에서 전해져 온것들 뿐이야
 
 
 
 
Sassie WSI TYMN
7분쯤에 나오는 노래는 중국노래잖아....
 
 
 

xBabyPandu
여기서도 인삼좀 쉽게 구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
나도 인삼 삼계탕 먹고싶어 ㅜ ㅜ
 
 
 
green house
된장 만드는 아줌마 너무 좋다. 열정이 대단하신것 같아
 
 
 
BeyondChange
한국에 관한 이 영상이 무척 좋네요,
제가 한국인이란 것도 자랑스럽구요!
 
 
 

itensi
한국 바다고! 독도는 한국꺼!
 
 
 

rizky gunawan
이런게 한국이구나
 
 
 
Annie Ann
흥미로운 나라네요
 
 
 
uruglytoo
이 다큐 보니깐 너무 배고파...
 
 
 

sungwoo bob
여기서 한국인인척 하는 놈들 꺼져
 
 
 
 
KawaiiKiwi08
맞아, 김치!!! 좋지 그리고 대장금도 진짜 재밌었어!
맨날 학교갔다오면 가족들이랑 같이 보고 그랬는데
 
 
 

azrrtuoo
난 모로코 사람이지만 한국이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
이 영상도 너무 재미있게 봤어요
 
 
 

Daniel Lim
내 친구가 한국인이란게 자랑스럽군
 
 
 
sexoja23
인삼 삼계탕 진짜 맛있어 보인다!
 
 
 
expatseek
좋은 영상이네요!
 
 
 
ben08820
한국음식은 몸에 좋아
 
 
 
ismat shabnam
나도 먹고싶다.....내가 사는데선 한국음식을 먹을 수가 없어...
 
 
 
1307
근데 아시아 음식 다큐인데 왜 중국껀 없어?
중국음식편도 재밌을것 같은데
 
 
 
bmin
암튼 좋은 영상이네요! 이런 다큐 많이 보고 싶네요
 
 
 
Rangga Sakti
방금 점심 먹었지만.........다시 배고파...
 
 
 

Minzzy KIM
하하하 김치송이네 ㅋㅋ
 
 
 

Nancy Meas
대장금 진짜 짱이었지!! 한국 요리에 대한 드라마라 더 재밌었어
우리 엄마랑 나랑 진짜 처음부터 끝까지 너무너무 재미있게 본 드라마였어
그때 쌈장에 불고기 먹는거 생각나네, 진짜 독특하고 문화적인 음식들이었어!
 
 
 
 
Daniel706202
어째 디스커버리 채널 매니저는 바보일지도....
실수가 너무 많네
 
 
 
Kim J
진짜 재밌네요!! 꼭 한국 음식 먹어보고 싶어요
 
 
 
Peter C
저도 한국음식 진짜 좋아해요
근데 한국인들이 한국음식이 다 건강에 좋다고 말하는건 좀 짜증나요
우리 엄마도 항상 김치 먹으면 암에 안걸린다고 말하곤 했죠.....
 
 
 

PanzerBlitz43
한국인들은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해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받습니다
 
 
 

Jedidiahfaith Arriola
잘 봤습니다!!!
 
 
 

YummYakitori
나도 김치는 바로 만든것 보단 익은게 좋던데
 
 
 

NoNoSpice
일본이나 중국편에 비해선 한국편은 매우 초라하구나?
(※NoNoSpice는 쓸데없는 소리를 잘 하기로 유명합니다-역자주)
 
 
 

domcha131
혹시 이거 아시아편 다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아는사람?
 
 
 

mmYakitori
근데 한자로 써있는게 많아보인다
 
 
 
 
LSHProject
한의사는 중의사(Chinese doctor)랑은 꽤 달라....
그리고 바다도 Sea of Japan이 아닌데 저렇게 나오네....
 
 

번역기자:그린별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그린별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korean누룽지 14-01-16 19:39
   
선플 후 읽겠습니다.
aosldkr 14-01-16 19:44
   
한식은 나트륨이 많아서 건강에 좋지 않은 면도 있죠. 알릴 건 알리는 편이 좋다고 봅니다. 너무 그런 면만 홍보한다고 세계화가 되는 것도 아닐 테고 말이죠.
     
korean누룽지 14-01-16 19:50
   
그래서 현재 짠 음식이 아닌 조금 변화를 줘서 음식을 만들며 알리고있죠.
     
벽공 14-01-16 22:46
   
왜 나트륨이 많은지도 생각해 보는 게 좋지 않겠어요? 훈제보다는 염장이 보다 오래 보존된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지 않을까요? 짜면 조절하면 됩니다. 님같이 조상님들의 유산을 폄훼하는 건 보기 좋지 않네요.
          
aosldkr 14-01-17 04:37
   
세상에, 이걸 폄훼로 본다는 소린가요? 제가 쓴 부분 어디에 폄훼하는 뉘앙스의 소리가 있죠? 나트륨이 많아서 건강에 좋지 않은 면도 있다고 했다고 폄훼라뇨. 폄훼라는 건 근거없이 깎아내릴 때에나 쓰는 소리입니다. 짜면 조절하면 된다고 하지만, 한식이 전체적으로 아직 나트륨이 많은 건 사실이잖습니까? 그래서 건강에 반드시 좋다, 100퍼센트 좋다라고만 할 수 없다는 의미로 말한 것인데 폄훼라니 기분이 상하네요. 조금 생각하시고 쓰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랑 14-01-16 22:58
   
원래 칼륨이 많은 채소와 나트륨을 같이  먹으면 짜게 먹어도  몸속에서 적당한 비율을 맞춰 배출하기 때문에  몸에 영향을 많이 못끼치지만  한쪽만 치우치면 벨런스가 무너져 몸에 안좋은 현상이 올수있습니다.  물론 김치도 적당히 짜야겠죠.  채식만 하면 병이생기는 이유도 육류부족과 나트륨부족으로 올수있습니다. 한국에선 그런일이 없겠지만요
          
aosldkr 14-01-17 04:38
   
채소에 그런 효과도 있군요.
     
리들리 14-01-16 23:55
   
어디서 또 나트륨 많이 먹어서 안좋다 이런건 들은건 있으신듯.

한국인이 가장많이 걸리는 질병이 뭔지 아세요?
상위에 있는 질병들 다 살펴봐도 단순히 나트륨이 원인이 되는 질병은 없습니다.

그리고 한식은 일반적으로 짜고 시고 맵고 달고 쓰고 5가지의 식감을 잘 살려서 상을 차리기 때문에 한쪽에 치우치지 않습니다.
나트륨이 많은건 서양화된 식단이 문제인거죠.
피자나 치킨이나 라면 또는 기타 인스턴트 음식에는 상당부분 나트륨이 들어가 있고요, 한식중에서도 특히나 배달음식을 주로 먹는 경우 맛을 내기 위해 다른 조미료보다 소금을 쓰는 경우가 더 많은겁니다.

4개절마다 제철에 맞는 음식을 차려 먹는게 한식이라 할 수 있죠.
          
retinadisplay 14-01-17 00:53
   
지역차이 아닐까요? 남쪽지방일 수록 음식이 짜고 맵고 북쪽지방일 수록 담백하고 고소한맛? 이라던데
          
aosldkr 14-01-17 04:57
   
공격적으로 말하시네요. 저는 한식이 나트륨이 적은 편이 아니니 건강에 좋은 영향만 끼칠 수는 없다고 말한 겁니다. 그것 때문에 한국인이 여러여러 질병에 잘 걸린다라는 말은 꺼낸적도 없고요. 이걸 무슨 제가 한국인의 질병의 근원은 한식으로 쓴 것처럼 말하시네요. 국어를 못 배우신 분도 아닐테고 말이죠. 그리고 제철의 맞는 음식을 차려먹는 것 이전에 어찌되었든 보편적으로 알려진 한식에는 나트륨이 적다고 말하기는 힘든 게 사실이잖습니까?
그래서 나트륨이 많은 것도 있으니 주의해서 알려야 한다고 한 겁니다. 이걸 무슨 제가 한식 반대하는 사람처럼 말하고 있으니...
               
눈팅중 14-01-17 09:17
   
치즈에 염분이 많다고 외국인들이 홍보에 곁들여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요.
베이컨은요?
채소의 염분배출 능력으로 인해 많은 염분을 사용해도 100% 흡수를 막아주기 때문에
알고 계시는 정보의 흡수량 보다는 적다는 것도 알았으면 합니다.
한식에는 기본적으로 채소의 양이 많은 편입니다.
식사에서 각각의 가미되는 재료들을 스스로 조절하며 섭취할수 있기 때문에
염분이 많다하여 걱정스럽게 이거 먹으면 건강에 않좋을수도 있어 라고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
짜고 기름지고 육류 투성이의 식단이라면 충분히 권고할 만한 정보이기는 합니다.
                    
aosldkr 14-01-17 15:10
   
주의해서 알린다를 홍보한다로 알아들으시는 비범함 ㅎㅎ 네 잘 봤구요.
제가 말한 건 알릴 때 한식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뜻이랍니다^^
즉 한식이 무조건 건강하기만 하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라는 소리였는데요. ㅎㅎ 이걸 가지고 한식에 나트륨이 있으니 그걸 홍보할 때 정보를 제공하라는 식으로 알아들으신 것 같네요.^^
그리고 한국인 평균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4000mg 후반대입니다. 세계보건기구가 설정한 권장량은 약 2000mg이고,  미국은 3000mg 중반대 정도네요. 이정도로 차이가 나면 채소의 염분배출 능력이라도 어느정도 무리가 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채소가 100퍼센트 염분흡수를 막는 다는 건 정보출처가 어디인가요? 궁금하네요.
                         
눈팅중 14-01-18 00:54
   
채소의 능력을 검색만 해도 염분배출을 쉽게 읽어낼수 있습니다.
체내로 흡수되는 염분이 체내로 들어간 양 그대로를 흡수하게 하지않는 기능을 채소가 한다는 것이지 100% 차단한다로 이해하셨군요 =)
외국인들의 입맛은 짠것을 모르나 봅니다.
일일이 주의를 해줘야 알아 듣는건지요.
한식이라고 다 건강식이라는 편견은 출처를 저도 모르겠습니다.
한식이라고 기름지고 육류가 포함되지 않는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대체적으로 라는 표현이 더 적절한것 같군요.
그리고 평균 섭취량의 기준에 한식만 포함되어 있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서구화된 음식들의 소비가 더 커진 요즘에 한식의 염도를 기준으로 삼으신 듯한 뉘앙스를 가지는 일일 섭취량은 오해의 소지가 크지요.
외국인들의 입맛도 강한 염도는 혀를 내두르고 먹지 않게 되겠지요.
그걸 일부러 주의시켜 가면서 먹으라는것은 의도를 모르겠습니다.
누구든 자기 입맛에 맞게 조절해 가면서 식사하는 일은 기본일테니 너무 걱정 않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햄버거 몸에 않좋으니 먹지 말란다고 않먹을건 아니듯 말입니다.
                         
aosldkr 14-01-18 08:19
   
염분배출 능력으로 100퍼센트 흡수를 막아주기 때문에<< 이런 문장을 쓸 때는 염분흡수를 일부 막아준다고 쓰는 게 어폐가 없는 표현입니다. 뭐 그건 님의 문장 구사력의 문제고요.

그리고 평균 섭취량의 기준에는 한식만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우리나라가 한식을 주로 먹고, 그중에서도 식사에는 거의 따라다니는 수준으로 있는 김치 등에서 영향을 받있다고 추측할 수 있죠. 그리고 보셨다시피 서구화 식단의 절정체인 미국보다도 나트륨 섭취량이 훨씬 높게 나오는 것에서부터 한식의 나트륨 섭취량을 알 수 있고요.
그리고 설명을 할 때 주의해서, 한식이라고 무조건 건강하다는 식의 논지는 피해서 설명해야 한다는 겁니다. 주의를 해줘서 설명하게 한다는 게 아니라요.^^
또 찌개류같은 경우엔 전체적으로 염도는 높지만 국물때문에 혀가 질릴만한 염도는 느끼지 못합니다. 라면같은 경우 겨우 한개로 하루 권장량 나트륨에 가까이 되는데 국물 드실 때 짜서 못 드시는 건 아니죠?=)
제 말을 정리하면 한식을 알릴 때 한식은 피해가 없는 무결점인 식단으로만 알리는 건 좋지 않으니 주의하자는 뜻이랍니다. 주의시켜 가면서 먹으라는 뜻이 아니라요^^ 이번엔 잘 이해하셨길 바랍니다^^
                         
눈팅중 14-01-21 22:21
   
그냥 피식 웃음나서 웃고 갑니다.
이런 글 보라고 쪽지까지 주시다니 =)
더는 댓글 달 생각 없으니 쪽지 않주셔도 됩니다. 그럼 =)
               
지해 14-01-17 12:38
   
건강에 좋은 영향만 끼칠수 없다는게
다시 말하면  건강하지 않다는거 아닌가요?
건강하지 않다면 병에 걸리는 거구요
병에 걸리는거 글에 적지 않았다고 변명을 하시네요..
그저 웃습니다....ㅎㅎㅎㅎㅎ
                    
aosldkr 14-01-17 15:13
   
건강에 좋은 영향만 끼칠 수는 없다 = 건강하지 않다? ㅋㅋㅋㅋㅋ
이건 어느나라식 문장 구사법인가요?
그러면 한미 fta는 한국 경제에 좋은 영향만 끼칠 수는 없다 = 한미 fta는 좋지 않다 입니까?
다음부터는 한번 더 생각 좀 하고 글 쓰시기 바랍니다. 제가 말한 건 장단점이 있다는 뜻이랍니다^^
          
희로우에ㅐ 14-01-17 15:47
   
리들리님/ 한국인과 일본인이 많이 걸리는 대표적인 질병인 위암같은경우는 짜게 먹는 식습관에서 오는 질병입니다.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양으로 이민하여 식습관이 변한 동양인과 비교시  위암 발생률에 있어 의미있을정도의 현격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물론 인스턴트와 고기위주의 식습관은 대장암의 발생 빈도를 높이기 때문에 그또한 치명적인 단점은 있지만요. 딴지는 아니고 그냥 부가 설명이라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korean누룽지 14-01-16 19:50
   
PanzerBlitz43
한국인들은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해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받습니다
------------------------
역시나 쪽바리들이 보이는군요.
     
retinadisplay 14-01-17 00:54
   
판저블리츠...세계 2차대전 용어같네요
     
♡레이나♡ 14-01-17 06:02
   
아우 바퀴벌레 같은 ㅉㅉ
얼음누늬 14-01-16 19:56
   
난 한식이 짜기 때문에 건강에 안좋다는 말은 헛소리 같음...

사실 고혈압 심장병, 동맥경화, 신장병등 각종 성인병은 한식을 많이 먹어서라기 보다는

식생활이 서구화 되면서 늘어난 것으로 보이고 한식의 짠 맛 때문이 아닌 것으로 보임........

농촌의 나이드신 분들은 뭐 탄산음료, 치킨, 쥬스, 고기 많이 안먹고, 거의 순수 한식만 드시는데 이분들이, 육식 많이하고 각종 과자나 탄산음료나 육류 많이 먹는 도시인들보다 성인병이 더 심한 것도 아님.


그리고 건강식이라는 1960년대 1970년대 한식은 지금 음식보다 훨씬 짜면 짰지 싱겁지는 않을 것이고,
오히려 식생활 서구화때문에 각종 성인병이나 암이 늘어난 것이지 한국의 짠음식때문이 아님..

그리고 탄수화물 소비가 많은 한국식단에서는 소화시키는데 나트륨이 필요하니 탄수화물 소비가 우리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서구식 기준으로 염분섭취량을 정하는 것도 우리의 음식현실과도 안맞는다고 봄

오히려 한식으로만 밥상 차려서 먹으면 더 건강해질 듯..
     
다섯글자만 14-01-16 20:11
   
맞습니다. 문제는 가공된 정제염과 백설탕이죠^^ 전통방식으로 만든 절임류에는 나트륨을 배출시키는 성분이 생성됩니다. 그리고 가공되고 정제된 탄수화물이 비만과 질병을 불러 옵니다.
          
UCLA 14-01-17 23:12
   
비모?
     
아무꺼나 14-01-16 22:22
   
음식을 짜게 먹으면 건강에 해가 된다는건 틀렸다고 봅니다.
우리 신체 부위에서 유일하게 암에 걸리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심장이죠.
심장은 소금덩어리 거든요. 심장까지 암이 전이되는 경우는 있어도 심장에서 시작하는 암은 없습니다.

제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소금의 질적인 차이가 가장 중요하다고 봐요. 분명히 현대 한국인들은 음식을 짜게 먹지만 암 발병률은 성인기준으로 거의 절반에 육박할 만큼 엄청난 숫자로 폭등중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이 안되는게 소금덩어리인 심장은 암에 걸리지 않는데 음식을 짜게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니 암에 걸리는 사람이 많아졌고 결과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죠.

때문에 소금을 만드는 과정을 다시 살펴보니 이런게 있더군요.
흔히 말하는 천일염은 그냥 자연건조시켜서 얻습니다. 죽염도 마찬가지구요. 자연적으로 얻죠.
하지만 우리가 흔히 사먹는 소금은 바닷물을 인위적으로 전기분해시켜서 얻더군요. 정제염이라고 하던가... 아무튼... 여기서 생기는 어떤 문제가 소금의 DNA를 조작하여 인체에 문제를 일으키는것은 아닌가 의심됩니다.

DNA를 조작한 옥수수를 먹지 말라고 하는 사람들이 비슷한 발언을 했던것을 기억합니다. 자연적이지 않은 인위적으로 DNA를 건들면 아직 우리 과학기술이 발견하지 못한 어떤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뭐 이런 내용인데... 우리는 그동안 꾸준히 DNA를 건드린 소금을 섭취하여 왔던 거죠. (물론 바닷물을 전기분해 한다고 하여 DNA문제를 일으킬지의 여부에 관해서는 저는 잘 모릅니다. 그냥 제 생각엔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거죠.)
          
식쿤 14-01-16 23:59
   
약간의 태클을 걸자면 소금은 무기물이기 때문에 DNA가 없죠.
요즘 많이 쓰는 소금은 천일염이 아닌 암염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천일염과는 질적으로 비교가 안되는 값싼 소금입니다.

그리고 최근 성인병이 증가하는 이유는 짜게먹어서라기보단 너무 기름지게 먹어서
생기는 현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무꺼나 14-01-17 00:31
   
아... 그렇군요. 소금에는 DNA가 없군요.
                    
retinadisplay 14-01-17 00:55
   
소금에 DNA가 있으면 생물학계 뒤집힙니다ㅎㅎ
                    
UCLA 14-01-17 02:41
   
생물의 세포체에는 핵이있습니다 핵은 DNA (디옥시리보핵산)과RNA을 보유하고있습니다 즉 이 핵산  즉 염기서열을 나타낸 일종의 유전 설계도죠 하지만 소금의 경우에는 무기염류 즉 지권의 구성요소중 하나이기 때문에 생물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음으로 비생물권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NGO 식품 즉 유전자 변형식품도 아직 그 자체의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것이지 아주 위험하거나 유독물질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님도 일상생활에서 NGO 식품을 많이 접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방울토마토,팜유,옥수수캔 등등 거의 대부분이 NGO 식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소금과  NGO 식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은 존재하지 않고 역시 전기분해를 통해서도 우리몸에 위해한 그러한 요인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g나비 14-01-17 04:04
   
아~뭔가 이분 귀여우심 ㅋㅋ
                    
UCLA 14-01-17 23:01
   
심장에도 암이 존재합니다 전이로 인한 발병이 아닌 양성종양에 의한 암인 것이죠 발병율이 매우 낮긴 하지만 좌심방에 생기는 종양등이 주 원인이 되죠
          
bonobono 14-01-17 06:22
   
염기서열이 아니고 화학분자 결합이 변행돼 부작용을 야기 하는거라 생각 합니다.
               
UCLA 14-01-17 22:53
   
분자결합을 하는 이유는 크게 이온결합, 공유결합, 반데르발스결합정도로 나눌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NGO 식품의 경우 직접적으로 변형을 유발시킬가능성도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UCLA 14-01-17 23:04
   
심장은 생물의 구성요소중 한 기관임으로 소금덩어리가 아닙니다
          
술담배여자 14-01-18 18:31
   
으잌;;;;;;;  ㅋㅋㅋㅋ  소금의 DNA  빵터짐 ㅋㅋㅋㅋㅋㅋ
물론 정제염따위가 천일염  그것도 오래묵혀 간수뺀천일염따위에 상대가될수없는건맞는데
DNA라니!! 으잌~ ㅋㅋㅋ
雲雀高飛 14-01-16 20:10
   
된장찌개 한 뚝배기만 있으면 겨울철에는 밥 한 공기 뚝딱이죠....
온돌마루 14-01-16 20:19
   
PanzerBlitz43
한국인들은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해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받습니다
...
누굴까~~~~~요?...ㅋㅋㅋ
개나리같은 14-01-16 20:24
   
PanzerBlitz43
한국인들은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해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받습니다

나 원숭이요.. 라고 광고하는거네 ㅋㅋㅋㅋㅋ
     
ckseoul777 14-01-17 02:4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방숭이놈들은 꼭~~꼭  어디에든 끼어있네요
     
♡레이나♡ 14-01-17 06:02
   
ㅋㅋㅋㅋ 왜이럴까요?
짜리콩 14-01-16 20:28
   
동해가 일본해(동해)라니.... 동해만 적어주시오
mymiky 14-01-16 20:32
   
한국음식이 맵고 짜다는 것도 좀 이상한 말입니다.
그리고, 이런 식으로 홍보하는 것도 전 그닥이더라구요..;;
김치도 맨날 빨간 배추김치 말고, 백김치 종류를 좀 더 알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한국인 위암 발생률이 세계 1위다. 뭐 그러는데..;;
전, 요새 식당들 소금량 줄이기 잘한다고 생각해요.
근데 솔직히 말해서, 그건 한식을 먹어서가 아니라,

야근, 술자리, 회식, 담배, 서구식 식생활, 운동부족, 환경오염 등이 아우러져 그런것이 아닐까? 싶거든요..

우리 조상님들 한식을 수천년간 잡수시고 사셨는데
요새 청소년들보다 5,60년대 청소년들이 더 건강했다고 하죠? 우리 아버지대 체력장 점수랑 비교해서
현대 청소년들 체력이 더 약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김치는 그 자체가 주요리는 아니죠--;; 오히려 닭볶음, 양념치킨, 족발, 보쌈 같은 고기류와
잡채, 국수같이 무난한 면류, 등등 단품요리를 좀 더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치를 소개하려면, 달랑 김치뿐만 아니라, 김치찌개, 김치만두, 김치볶음밥,김치전 등 그것으로
응용된 요리를 소개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리베웹 14-01-17 16:58
   
짠 나트륨 음식때문에 그런거 맞습니다.

소금은 자극제입니다.
가출한술래 14-01-16 20:54
   
잘 보고 갑니다
김삿갓삿갓 14-01-16 21:05
   
대장금2부였나 한다는 말을 들은 것 같은데 과연....
상진 14-01-16 21:15
   
원래 전통한식은 짜거나 맵지 않습니다. 근대에 와서 사람들이 입 맛에 맞추느라 더 짜고 매워진 것이죠.
밥이 보약이라는 개념을 가진 나라였는데 지나치게 짜거나 자극적인 음식이 주를 이루게했을까요.
나물이나 해산물들도 자연색 그대로 요리해서 먹는 게 일반적이었죠.
중국처럼 기름을 과하게 쓰지도 않았고요. 지금 우리가 먹는 것은 근현대인에 맞게 변형된 한식입니다. 특히 왜구의 MSG가 한식에 아주 안 좋은 영향을 끼쳤죠. 전통 한식을 잘 보존해서 지켜가야합니다.
     
UCLA 14-01-17 02:44
   
우리조상님들은 음식물의 보존을 위해 염장을 많이 행했기 때문에 염도가 높은 음식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stabber 14-01-16 21:24
   
김치 궁중요리 대장금 인삼 메주 전복이군요
17분 45초....지도에서 일본해(동해)라고 해놓으니까 기분이 영...
아무튼 김치만 10분 정도 나오던데 한국음식 소개가 다양하지 못하네요
아드 14-01-16 21:24
   
근데 한식을 소개하는 다큐라기엔 굉장히 부실해 보이네요;;
김치, 궁중요리, 인삼, 된장, 해녀.... 이걸로 끝?
의미를 담는 것도 좋지만 의미만 실컷 담다가 끝나는 것 같아 아쉽군요
아드 14-01-16 21:28
   
PanzerBlitz43
한국인들은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해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받습니다
-----------------------------------------------------------------------------------------
정말로 한국인들이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하고,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을 받는다면
니가 굳이 이런 한심한 글을 쓸 필요가 없었겠지.... 쯧쯧ㅋ
전쟁망치 14-01-16 21:33
   
작은 소망이 생겼다 매일까지는 아니더라도

1주일에 한번씩 궁중음식을 먹어보는 거.
로봇태껸V 14-01-16 21:57
   
배고프다 이런 침이??? 츄릅~
크하하하하 14-01-16 22:23
   
PanzerBlitz43
한국인들은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해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받습니다
------------------------------------------------------------------------------------------------

전 세계인이라 쓰고 일본이라 읽는다.

섬나라에 갇혀 살아서 그런가 자기들이 전세계 대표인줄 아는 히키코모리 민족.
연아는전설 14-01-16 22:30
   
컥 중간 한복려씨 ㅡ.ㅡ
경복궁이 이성계가 지었다니....평생을 바쳤다면서 어찌 저런 엉터리 소리를 할수가 있지
     
응답하세요 14-01-16 22:55
   
???
이성계때 경복궁 지은거 맞는데요..
물론 정도전이 진두지휘했지만...

임진왜란때 불타 없어진 부분은 흥선대원군이 재건축한게 맞구요...
          
크하하하하 14-01-16 23:02
   
저도 그리 알고있었는데.. 제가 모르는 다른게 있는건가 싶었네요..
위 영상을 안봐서 경복궁 명칭을 말씀하시는 건가 했어요.. 명칭은 정도전이 지은게 맞으니까..
          
연아는전설 14-01-17 00:54
   
흥선대원군이 건축한게 맞고요 태조이성계의 수도는 지금 서울이 아니죠 ㅡㅡ;
               
mymiky 14-01-17 01:04
   
경복궁은 이성계의 어명으로, 환관으로써 원에 유학갔다온 천재 김사행이 설계하고,
정도전이 각 전각의 이름을 지었습니다.
왜란때 소실되었으며, 흥선대원군이 재건했구요.

태조 이성계 조선의 수도가 지금 서울이 아니다라?
연아의 전설님의 주장은 대륙의 어디라는거 같은데 ㅋㅋㅋ

엄밀히 말하여,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했던건 개경이지요. 2년후 한양으로 천도했구요.
               
응답하세요 14-01-17 09:03
   
1395년 태조 이성계가 창건하였고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졌으며
광해군 부터 철종까지 11 명의 왕이 바뀌는 동안 엄두도 못내던 재건축을
1867년 고종때 증건된게 지금의 경복궁입니다.

일제 강점기때 거의 대부분의 건물을 철거해서 근정전 등의 일부 건물만 남게 되었지만
오랜 복원 사업끝에 지금의 모습을 찾은게 되지요...

이성계때 경복궁을 지은게 맞습니다...
벽공 14-01-16 22:50
   
왜 진생이라고 발음돼야 하는 지도 설명됐으면 좋겠네요. 나라가 힘없을 때 쪽빨이 발음대로 불려졌던건가요? 이런방송이 나올 때 인삼이라고 강하게 주장하는 분들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aosldkr 14-01-17 05:21
   
진생은 중국 민남어에서 나온 말입니다. 일본어는 아니구요.
          
리베웹 14-01-17 17:01
   
니혼진 간코쿠진
진생.... 일본어 같은데요?
               
aosldkr 14-01-17 18:29
   
인삼은 일본어로 닌진이라고 부릅니다. 일본어는 한자에 발음이 몇개씩 있거든요. ㅎㅎ
만류귀종 14-01-16 23:54
   
김치가 염분이 많아서 몸에 안좋다는데  누가 들으면 한끼식사로 김치만 먹는줄 알겠네요.

밥 먹으면서 반찬으로 몇조각 먹는건데..

그리고 배추 절일때 들어간 소금은 대부분 씻어내는데 말이죠.

그저 깎아내리지 못해서 안달들이죠.
     
retinadisplay 14-01-17 00:58
   
김치는 서양의 빵이나 치즈같은 거죠 항상 한첩을 차지하는.맞아요. 일부일뿐이죠
감자칩 14-01-17 00:52
   
다 좋은데 제발 위생장갑이라도 끼고했으면 좋겠음
손맛 손맛하는데 외국인 입장에서 맨손으로 요리하는 게 좋아보일 리가 없다고 생각함
     
mymiky 14-01-17 01:06
   
서양인들도 빵 반죽할땐 맨손으로 합니다.
와인만들때 보셨나요? 맨발로 팍팍 밟아요.
     
촉수괴물 14-01-17 02:04
   
요리사들도 맨손으로하지 장갑끼고 안합니다.
     
리베웹 14-01-17 17:03
   
일부분 이해됨.
어디든
손톱밑까지 깨끗하게 손 씻고 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생각하면은...
아기건달둘 14-01-17 00:59
   
잘보고가요
나와나 14-01-17 01:04
   
깨끗이 씻고 소독한 뒤라면 굳이 맨손으로 하는 것도 나쁘진 않을 거 같은데요?
서양도 빵이나 과자같은 거는 손으로 먹는 데요 뭐..
쉰대가리 14-01-17 01:09
   
생각도 안해보고 tv에서 그러니까 한식을 먹으면 무조건 나트륨을 많이 섭취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있는데 외국 음식 먹어 보기는 했나? 먹어봤으면 한식보다 더 짜다는것 스스로 판단도 못하나?
절인 음식이 많아서 뭐 어쩌구 하지만 어느 나라던 오래 보관해서 먹는 음식은 다 짜다.
그리고 짠 반찬만 주구장창 먹는것도 아니고 한끼에 김치 두세조각 먹으면 많이 먹는거다.
위암 발병율이 유독 높은 원인을 찾다가 한넘이 짠 반찬 때문이라는 주장을 했고 tv에 나와
떠들어서 유명해 졌을 뿐이지 검증된것은 아니다. 된장때문이라는 설도 있고...
그렇다 하더라도 문제는 한식 자체에 있는게 아니라 국, 찌게 를 많이 먹는 식습관 때문이지.
누구던 처음 국물 간을 맞추어 보면 들어가는 소금양에 놀라게 된다.
자기자신 14-01-17 02:40
   
PanzerBlitz43
한국인들은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해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받습니다=쪽바리네 ㅉㅉㅉㅉ
ckseoul777 14-01-17 02:44
   
반응들이 재미있네요~ 항상 꼭~~~꼭 방숭이다운 댓글들은 꼭 보이고 잘보고갑니다~
g나비 14-01-17 04:44
   
채식주의에 활잘쏘고 자연친화주의에 깊은산자락에 사는게 전.. 판타지속 그 종족이 생각남... ㅋㅋ
♡레이나♡ 14-01-17 06:03
   
댓글보고 흐뭇해 하고 있다 열도바퀴벌레들 땜에 기분 좀 그러네 ㅋㅋ

무튼 잘 보고 갑니당~!
돈가스꺼억 14-01-17 06:18
   
한식이 많이 발전해서 좋습니다
그런데 미국가서 들은 얘기지만 고추장을 읽는 소리대로 발음표기를 하지 않고
굳이 'hot pepper sauce' 라고 붙이니까 한식을 즐기는 사람들도 잘 모르겠다고 합니다.
이런 부분에선 '고추장'을 'gochu-jang' 그냥 한글 발음식으로 영어로 표기 했으면 좋겠습니다.
한식의 발전에 대해선 칭찬을 하지만
홍보하는 윗 사람 때문에 약간 부작용을 맛 보고 있는 실정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입지사지 14-01-17 09:53
   
진생이란 발음은 일본식 발음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참고들 하시라구요..ㅎ
바꾸기 위해서 학회에서 노력은 한다지만 너무 대중화가 되어버려 힘들지 싶네요..ㅠㅜ;
화울 14-01-17 09:56
   
우리 나라 음식이 짜다는건.. 사실 김치 문제가 아닙니다.
국 문제입니다. 국만들어 보신 분은 알겠지만 국물에서 짠 맛이 나게 하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소금이 들어갑니다. 그런데 과거에는 이렇게 짜게 먹어도 됐습니다.
왜냐하면 활동량이 많고 많은 나트륨이 땀으로 빠져나갔지요.
여하튼 현재 우리가 먹는 음식에 든 나트륨은 과거 비율이라는겁니다. 지금은 옛날처럼 소금이 귀하지도 않고
반찬이나 국 외에도 섭취량이 많습니다. 줄여야하는게 맞습니다.
또한 저도 한국인치고는 좀 덜 짜게 먹는편인데 밖에 나가면 많이 짜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 음식이 문제가 있는게 아니고, 시대가 변한 만큼 나트륨 함량을 줄여야하는건 맞다고 생각됩니다.
입지사지 14-01-17 10:00
   
한식이 맵고 짜다는 분들이 많으신데.. 타국에 직접가서 그나라 음식 드셔보시고 비교하시는지 모르겠네요..  향신료에 찌든 음식들이 얼마나 자극적인지 맛들 못보신듯 한데 요번 설휴가비 받으시면 해외가셔서 맛한번 보시고 한식이 얼마나 단백한 축에 드는지 직접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참고로 중국음식 그다지 기름진 음식아닙니다...^^;; 몇몇 요리의 특성상 기름을 때려붙는 요리가 있다뿐이지(예로 '수자육편'은 고추기름을 때려부어나옵니다.그치만 맛나요..ㅠㅜ) 전체적으로 봤을땐 느끼한 요리는 생각보다 많이 없어요.
     
화울 14-01-17 10:06
   
그러니깐.. 외국 요리도 문제점들이 많습니다. 한국 요리에도 그런 문제점이 있다는거지요. 그런면을 개선하면 좋겠다는거지요. 예를 들면, 장독에다가 묻어둬서 1년을 먹을려는 용도로 만든 김치를 먹어보면 정말 많이 짭니다. 지금은 그 정도는 안되지요. 김치 냉장고도 있고, 그렇게 김치에만 매달릴 이유도 없고, 1년에 몇번씩 김장을 작게 할 수 있으니깐요. 이런 식으로 시대에 맞춰서 음식의 특성을 변화시켜야하는건 맞다고 생각됩니다.
          
덤벨스윙 14-01-17 13:38
   
무슨 김치를 1년 내내먹어요? 된장이나 간장과는 다르게 김치는 채소저장이라서 여름이되면 오래보관하기 힘듭니다. 채소가 아에없는 겨울 한철을 나려고 담그는게 본래 김장이에요.
봄만되면 나물무치고 여름엔 채소겉절이하여 먹었어요.
어차피 김장은 장입니다. 된장,간장,고추장처럼 장이라는 말이에요.그 자체가 일품요리가 아닙니다. 된장,간장은 나트륨과다라고 안하고 치즈를 보고도 나트륨과다라고 안하면서 유독 김장만 보면 나트륨과다라고 하는 이유를 모르겠군요.
쥐로군 14-01-17 12:35
   
한식짜다는분들은 코스트코서 해외 베이컨이나 로컬라이징 안한 피자드셔봐야할듯.....

한식은 그리짠게아니에요. 양식들이 한국인의 입맛에 맞춰 덜짜서그렇지 외국에서 먹는대로면못드십니다.

문제는 기름진식단과 운동부족이죠

국을 문제삼는분들이있는데, 국도 사실은 완벽하게 다 비우는경우아니면 넣은 소금이 100퍼 다 먹게되는것도아니고, 그마져도 채소와 소화되 몸에 축적되는건 그리 많지않습니다.
지해 14-01-17 12:41
   
짜게 먹어도 상관 없습니다.
짜게 먹으면 물을 많이 먹거든요
소변 시원하게 누우면 됩니다.
토끼패는스… 14-01-17 13:41
   
PanzerBlitz43
한국인들은 잔인한 짓을 하기로 유명해 전세계인들로부터 미움받습니다
 NoNoSpice
일본이나 중국편에 비해선 한국편은 매우 초라하구나?
----------------------------------------------------------------------------------------------------
이 두놈은 우리나라 관련 자료에 자주 보이는 놈들이네 ㅋㅋ
하여간 왜구들은 ㅋㅋㅋㅋㅋㅋㅋ
NoNoSpice  <<이넘은 100% 일본놈이고 뎃글 보니 알겠네 일본이나 중국 하는거 보니
일본이 앞에 들어가는게 일본놈이네 보통 자국을 앞에 두니까 ㅋㅋ
투애니원 14-01-17 14:31
   
잘 보고갑니다
희로우에ㅐ 14-01-17 16:07
   
식습관에 대해 많이들 오해 하시는분들이 많아 한자 적습니다.
위암의 발생률은 한국과 일본이 타국에 비해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을만큼 차이가 납니다.

유전적, 인종적 차이를 배재 하기 위해 이민 3세를 현지 조사한 결과 위암의 발생률이 현격히 낮아 졌음을 고려 해볼때  음식문화에서 비롯됨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원인은 나트륨이구요. 이것은 제 개인적인 의견이 아니라 의대  소화기 내과때 배우는 상식중의 상식입니다.  많은 분들이  치즈 베이컨 피자등을 예를 드시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트륨의 섭취는 한국인이 최고이며 이것은 위암발생율의 비율과 일치합니다. 인스턴트, 고기 등은 대장암의 빈도를 높이므로 서양에서는 대장암의 빈도가 높고 , 현재 한국인의 식습관이 서양화가 되어 대장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나트륨만을 살짝 줄이면  영양학적으로  정말 완벽한 식단이 한식입니다.
 아  그리고  외국나가서  외국 음식 먹어봤냐라는 원색적인 비난은 가급적 서로 삼가합시다.  오늘날  세계 여행을 떠나는 한국인의 비율이 얼마나 많은지, 유럽으로 여행하는 한국인들이 얼마나 많은지 외국 나가면 알지 않나요 ?  요즘 유럽 여행 가서 현지 음식 안먹어 본 사람이 누가 있다고 " 외국 나간걸 자랑 삼아 이야기 하는지 개인적으로 이해가 전혀 가지 않네요.  참고로 저는 음식에 관심이있어  파스타 배울려고 이탈리아에서만 6개월 머물렀고, 위험한 지역 빼고는 다 가보고 현지 음식 다 먹어봤으니 딴지 안걸었으면 합니다.
첨언, 한식만을 먹던 우리 조상들이 훨씬더  건강했다라고 이야기 하시는분은 조선시대때 근대화때  평균 수명은  알고 이야기 하는거죠 ?
     
aosldkr 14-01-17 16:46
   
한식은 건강에도 좋고 흠잡을 데 없는 음식이란 강박관념에만 사로잡혀 있으면 좋을 게 없는데 말이죠...건강식으로 알려져서 세계화 된 경우도 별로 없고요.
오캐럿 14-01-17 17:04
   
믿고 보는 디스커버리 영상 잼나게 봤네요.. 다만, 역사학자의 보충설명들 부분에서..
"..생각됩니다~ ..생각합니다~" 확신감 없는 듯한 설명이 아쉽군요..

NoNoSpice <-- 자주 보는 넘이군요~ㅋ

//그린별/님.. 수고하여 주신 번역 잘 봤습니다~^^!
상대주의 14-01-17 17:07
   
--위에분들아--
나트륨 과다섭취가 몸에 안좋다는 게 어디서 들은 헛소리냐는 분들..이거 밑에 네이버에 치고 나온겁니다.

---
세포 밖의 체액에 녹아 있으면서 삼투압과 pH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신경 자극의 전달 등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 적정량을 섭취하도록 유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나트륨은 식품에 많이 들어 있으며, 조리시 첨가되는 소금을 통해 항상 필요량 이상으로 섭취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간장, 된장, 젓갈, 김치 등 짠 음식을 자주 먹어 나트륨 과다 섭취로 인한 건강 문제가 일어나기 쉽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면 그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체내에 수분이 많이 머물게 되어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심장병, 신장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소금을 제한하는 처방을 많이 한다. 음식 맛은 습관적이므로 어릴 때부터 음식을 싱겁게 먹는 습관을 들이도록 해야 한다.
---
연구원이나 학자들하고 영양학 혹은 의학 전공 배틀이라도 붙으셔야겠네요.
무슨 자기 생각을 진짜 연구된 사실처럼 포장하며 말씀하는게 웃겨서 찾아봤습니다.
그래도 아니라면 더 찾아올릴 수도 있습니다.

미국 FDA에서 소금은 일일 섭취 권장량이 정해져있지만, MSG는 안 정해져있는 것은 아는지?
건강에 해롭다는 MSG가 소금보다 나트륨 섭취를 줄일수 있어 더 낫다는 일부 연구결과도 있어요. 실제로 MSG는 건강에 해롭다고 검증된 것이 없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소금이나 설탕하고 비슷한 정도의 유해성을 가진다고 분류합니다.
도대체 어느쪽이 미신을 맹신하는 걸까요?

맨 위쪽분이 말한 우리나라 음식 좋은데 나트륨이 많은건 문제다. 이건 정말 대충 찾아봐도 확인할 수있는 사실인데.. 일단 아니라고 우리나라 것은 무조건 좋은 거라고 어떻게든 몰아가려는 거 같아답답합니다.  '우리나라 전통적인 것이니까 무조건 좋은 것 이어야만 해' 로 보인다는 겁니다.
반대의 상황이 일본에서 벌어졌고, 우리가 이러한 반응의 게시물을 봤다면 멍청한 애들이
자위질한다고 욕했겠죠..
뮤진 14-01-17 17:45
   
ㅎㅎ고칠건 고쳐야죠.모든 국가가 안그렇겠습니다만 한국역시 항시 서민들은 없이 살았습니다.

항시 부족한 음식.재료로인해 오래보관할수있는 절임음식이 발달했고

절임이란게 뭔가요.세균이 번식 못하게 그리고 오래보관 하기위해 하는겁니다.

음식이 풍족하면

이리 할이유도 없구요.

주식이 쌀인관계로 밥과 짠찬으로 끼니를 해결하는게 당연한거구요.

시대가 변했음 바뀔건 바껴야죠.뭐 북미음식이 짜니 어쩌니.전 미국.캐나다에 오래있었고.

캐나다에선 초반 유학생활 홈스테이로 3년여 있었습니다.가정음식들 전혀 안짭니다.

물론 짠게 있지만은 극히 소수입니다.

개인적으론 상업화와 발전이 시작단계라 할수있는 5~60년대부터 라면이 한국인 입맛을

바꿔논 존재중에 라면이 큰 한 몫 했다고 생각합니다.
굿잡스 14-01-17 17:48
   
맥도날드의 햄버거고 인스턴트 식품이 난무하고

어느 정도 경제성장을 한 나라면 비만 문제로 고민할때

우리나라사람들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비만율이 낮은 부분에는

전통음식을 지켜온 부분이 커지않나 싶네요.
     
뮤진 14-01-17 17:55
   
동아시아던 동남아던 모든 아시와 국가는 비만 별로없습니다.한국만 비만이 없는게 아니에요.

솔찍히 말해 요새 동남아 여행가면 비만을 떠나 말라죽지않나 할정도로

삐쩍 마른애들밖에 안보입니다.제볼땐 한국보다 동남아 애들의 비만률이

더 적으면 적었지 많다곤 생각안합니다.

서양애들과 비교해서 주식과 체질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Misu 14-01-18 00:10
   
한국음식중에 건강식인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는거지... 전통음식이 싹 다 건강식은 아님
당비일비 14-01-18 08:21
   
아 갈비찜 먹고잡다
IceMan 14-01-18 11:46
   
역시 디스커버리에서 찍은거라 그런지 멋있게 찍었네여;
흔녀 14-01-22 21:20
   
찍은지 좀 되보이네요 한식에 대한 다큐가 많이 나와줬으면합니다~
잘보고가욤 ~ㅎㅎ
통일은대박 14-05-06 03:00
   
한국에 관련된 것이라면 뭐든지 달려 들어서 뜯어먹으려는 왜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