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WD] 현대, 2014 제네시스 신형 발표 이슈! 해외반응
등록일 : 13-12-01 13:19  (조회 : 23,414)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현대차는 26일 서울 하얏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신형 제네시스 신차 발표회를 가지며, 판매에 들어갔습니다.
많은 자동차 마니아들과 유저들의 관심이 폭발하면서 실시간 검색어 상위권에 오르며 이슈가 되었습니다.
세계적인 자동차 전문 사이트 모터트랜드에서 관련 소식과 반응을 살펴 봤습니다.
 
 
 
제네1.jpg
 

 
제네2.jpg
 

 
제네3.jpg

 
 
 
 

yuri-ten20
현대는 정말 카피하나는 진짜 잘하는구나. 뉴 제네시스 세단이 완전 독일차랑 똑
같잖아. 그런데도 저렴한 값의 신차라고 소개하고있어.
모방합니다 하고 말하는거랑 뭐가달라.
 
 
 

Jay Thomas
한국은 독일과 일본차를 그대로 따라하는구나
 
 
 

Jay Thomas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다른 나라를 모방하는데 세계최고야.
원조를 어찌나 잘 카피하는지 차이점도 안보일 정도라니깐. 전자산업분야에서도 마찬가지야.
독일과 일본 회사들을 그대로 집어 삼켜버리려고 하고있어.
 
 
 

bdean
전체적으로 디자인이 문제네. 다른건 문제가 안된다고쳐도.....
그닥 흥미롭게 생각되지 않는 신차야.
 
 
 

Kvnceleste
잘했다 현대, 외형은 괜찮은것 그럭저럭이지만 내부가 진짜 짱이다.
사진만 봤는데도 내부가 상당히 럭셔리하다는걸 알 수 있어.
앞으로 중형 럭셔리 세단으로 잘 자리잡을것 같다
 
 
 
 
119GEP
모양새가 다른 자동차들을 이래저래 섞어놓은듯한 느낌이야.
좀 이상하지만 그렇다고 나쁜건 아니고. 하지만 조금만 더 보완했다면 좋았을것 같아.
가장 큰 문제는 front grille이고, 헤드라이트도 좀 이상해보여.
예전게 더 나은것 같아.
 
 
 

PentYent
현대 신차가 이전것보다 별론것 같아. 특히 grille이 많이 이상해보여.
 
 
 
 
555HP
난 제네시스 두 대(2009 V6와 2011 V8)를 소유했었는데 다 좋은 차였어.
첫 출시됬을땐 정말 리더급인 차량이었지만,
네비게이션같은 시스템을 포함해 간단한 여섯가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했지.
 
 
 
 
BMW guy from SMF
스타일리쉬하면서도 넓어보이는 차네.....럭셔리카로 시작은 좋다고봐
 
 
 
 
workhard1
전체적으로 좋아보여. 하지만 badge는 좀 별로야 꼭 크라이슬러 badge같아.
그리고 grill도 별로고. 충분해 보이지 않는 느낌이야.
 
 
 
 
CtK4949
난 내 차에 멍청한 Siri를 원하지 않는다고!!!!
 
 
 

Franklin Johnson
현재 발표된 제네시스로는 값싼 크라이슬러 300과도 경쟁하지 못할꺼야.
그리고 내부 인테리어는 미국인에겐 좀 비좁을것 같고.
독일 세단이랑 비교하는것 자체가 좀 우습지 않나?
여튼 난 현대란 기업을 좋게 평가하고 있고,
앞으로 새로 나올 제네시스는 이것보다 훨씬 나을거라고 믿어.
 
 
 
 
ㄴbdean
아마 그럴꺼야, 초기 모델은 이것보다 훨씬 못했지만 점점 나아지고 있지
그리고 내부는 절대로 비좁지 않아
 
 
 
 
ㄴFranklin Johnson
뭐, 사람마다 의견은 다른거니깐. 뉴 제네시스는 좀 더 업그레이드 되길바래
 
 
 
 
cpterp
지난번 모델보다 훨, 훨, 훨낫다. 지난번껀 밋밋한게 둥글둥글했거든
하지만 난 이 시리즈의 차를 구입하지 않을꺼야,
물론 유럽이나 일본에서 럭셔리카를 수입해오기 힘든 그 나라의 사람들에겐 럭셔리카로 이 차가 괜찮을꺼라곤
생각하지만 말이야.
그 사람들이 이 차를 사더라도 뭐라고 하지 않겠어.
 
 
 

kgmB767
탑승감 만큼은 제네시스보다 에쿠스 쪽이 좋을것 같아.
 
 
 

ㄴbdean
현대가 OEM Dunlops에서 더 나은 타이어로 바꾼 이후부턴 탑승감이 무척 좋아졌어
 
 
 

jmccool6969
내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건 이 차가 알맞은 가격에 잘 디자인도 빠졌다는거야.
그거면 됐지 뭘 더 바라겠어.
내가 선택권을 갖는다면 일단 좀 오랫동안 고려해보긴 하겠지만 말이야.
 
 
 
 
Voices in my head
난 대형차를 좋아하는편은 아니지만, 이 차는 상당히 매력적이라고 생각해.
현대 잘했어! 수고했어!
 
 
 
 

MushaMush
현대는 지난 5년간 대체 누굴 고용해서 쓰고있는거야?
이전에는 완전 혼다 카피같은 차만 있더니 요즘은 엄청 매력적이고 스타일리쉬해졌네.
세월이 바뀌며 달라졌구나. 트렌드를 참 잘 아는것 같다, 현대!!
 
 
 
 
ㄴPentYent
현대가 독일 디자인을 카피하고있거든. 제네시스 grille부분을 봐라.
아우디 grille하고 똑같잖아
 
 
 
 
ㄴbdean
현대가 혼다 카피라고? 하하하
올드 버전 제네시스를 제대로 보고오도록해 진짜 어이없다,
혼다가 무슨 자기네만의 디자인 언어라도 쓴다니?
 
 
 

mcmeetterry
현대랑 기아는 디지인 분야에 Peter Schreyer를 고용했어.
그는 자동차 디자인업계에 스티브 잡스와 같은 인물이야
 
 
 
 
OMEGATALON
현대의 첫 제네시스는 마치 Lexus' LS 세단에서 디자인을 따온것 같았는데
2015년형 제네시스는 유럽에서 디자인을 가져온것같네.
마치 아우디나 BMW같은 느낌이야
 
 
 
 
ㄴbdean
약간 LS  같긴하지 근데 BMW랑 더 닮았어
 
 
 
 
OfMyOwnAccord
이전 버전이랑은 완전 달라졌네, 현대 잘했네!
 
 
 

pedrosoypedro
악플러들은 제대로 알고선 뭐라 달던지 말던지 해라 진짜
 
 
 
 
pedrosoypedro
악플다는 놈들은 현대에서 엄청난 슈퍼카를 세계최초로 만들어낸다고해도 까댈 애들이야
 
 
 
 
jonadam23
나빠보이지 않는데? 하지만 딱히 눈에 띄는점이 없을뿐
그거말곤 인테리어가 정말 잘 나온것 같아.
한번도 현대차 디자인에 감탄해 본적이 없었는데. 난 기아쪽 스타일이 더 좋았거든
 
 
 
 
Harminov
Mazda 6, MB E Class, BMW 섞어놓은것 같이 생겼네. 흠
 
 
 
 
ㄴdiceman1
대체 어딜 봐야 그런느낌이 든다는거니?
 
 
 

ㄴHarminov
세 자동차의 디자인 요소들을 확실히 닮았잖아.
좋은점들을 잘 믹스한 느낌이라고.
 
 
 
 
bmforever
현대는 여전하구나........
다른 회사 디자인을 카피해서 자기네꺼로 만들고......완전 싸구려처럼 보이네
 
 
 
 
ㄴbunnyblue
철좀 드세요. 잘 알지도 못하면 디자인 운운하며 말하지 말고
 
 
 
 
Alex Griffin
첫번째 사진을 보니깐 크라이슬러 100이 딱 떠오르네.
현대의 디자인 도용에 매우 실망스러워
 
 
 
 

Trace Arrington
다 괜찮아보이네. front end treatment도 상당히 독특해.
 
 
 

diceman1
오! 크라이슬러 200!
 
 
 
 
jeffrey.p
신형 제네시스는 확실히 느리지만 점점 나아지고 있어......
다름 신형을 기대해도 되겠어, 멋진 디자인 잘 했네 현대!
 
 
 

SuperSPLOSION!
BMW I6보다 훨씬 더 부드럽게 간다고??? 그거야말로 엄청난 문구구만
 
 
 
 
ㄴsrt_charga
그러게말이야! BMW가 가장 잘 지켜오고 있는것중 하나인데!
 
 
 
 

Black Dynamite Online
2006년형 Infiniti M45가 생각났어!
이게 한국의 Lexus라면 한국한테 참 유감스럽네!
 
 
 
 
ㄴjustbeinghonest
한국산 Lexus를 누가 원하겠어? 끔찍한데
 
 
 
 
srt_charga
좀 터무니없는 비교가 아닌가 싶은데?
 
 
 
 

Jordan Jolley
뭐라고 말하긴 성급할것 같고 일단 디자인은 상당히 멋진것 같아.
 
 
 
 
 
N/A
난 좀 더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볼꺼야. 아직까진 독일과 겨루기엔 힘들어보이고.
하지만 그게 뭐 어때서? 가격 적당하고 잘 굴러가는 편안한 자동차라면 좋지.
난 현대 계속 응원할꺼야
 
 
 

 
ㄴFranklin Johnson
A4나 BMW 3를 제네시스 가격으로 구입할 수도 있는걸.
두 차 모두 제네시스보다 내부 공간도 넓고 좋아. 현대는 신용을 좀 잃었어.
 
 
 
 

yuri-ten20
Mercedes CLS가 훨씬 모양도 잘 빠졌고 전체적으로 디자인도 좋아.
하지만 제네시스는 그저 독일차를 모방한것뿐이야
 
 
 
 
 
cmiller234
조금 merc CLS를 닮은듯하네. 하지만 딱히 눈에 들어오진 않는듯
 



번역기자:그린별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그린별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람이싫다 13-12-01 13:22
   
평범하기 그지 없는 디자인이구만 뭐.
자동차가 다 거기서 거기지
타기 싫으면 타지를 말등가
존문가 행세 쩌네들.
     
파생이 13-12-01 15:41
   
yuri-ten20 이놈은 아이디부터가 쪽발 냄새 진동이고, Jay Thomas도 여러 차례 혐한 쪽발이들이 주장하는 내용의 악플을 달면서 도배하는 걸 보면 뻔함.

쪽발이들이야말로 카피의 대명사였는데, 다른 나라를 비난하면서 은근슬쩍 자기들은 아닌 척하는 수법.
          
사람이싫다 13-12-01 18:00
   
하여간 쪽바리들 ㅉㅉㅉ
이곳저곳 침투해서
한국 까는것에는 도가 튼 니트족들 wwwww
신경 끄고 살고 싶은데
뭔가 짜증나서 상대해주게 됨.
          
천리마 13-12-02 15:37
   
잽들은 워낙 카피를 잘해서 따라하는 원숭이라고 조롱 당했었죠.
배신자 13-12-01 13:22
   
잘 봤습니다.
달콤한로케 13-12-01 13:26
   
10년 무상보증에 파격 할인조건으로 판매하겠군요

그 손해는 물론 내수에서 뽕을 뽑겠죠

아방이 뽑으며 옵션질로 장난하는것까진 그런갑다..다른 브랜드도 그러니까 하며

참았는데 친척형님 라세티 하고 문짝 두께 비교해보고 다시는 현기차 안사기로 했습니다

자국민들은 파리목숨 취급하는건지 정신 차릴려면 한참 멀었음..
     
honeywell 13-12-01 13:38
   
그런식으로 현기차 욕해봤자 .... 일본 애들 좋은 일 시켜주는거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한마디로 국익에 도움되는 언행이 아니라구요. 그리고 라세티라는 차는 없습니다.
쉐보레 쿠르즈겠지요. 대우차는 세상에 없습니다. 쉐보레 gm미국차만이 있습니다.
          
달콤한로케 13-12-01 13:41
   
일본애들만 좋은일요?? 자국민을 생각하지 않는 업체가 얼마나 오래갈거라고 보세요
지금껏 현기차 지탱해주고 키워준 배경이 자국민들에 대한 차별인건 부인할수 없습니다
라세티가 없어요?? 지엠대우 '라세티 프리미어' 이건 뭡니까??

반성없인 발전도 없습니다 앞으로 더 커나갈려면 내수시장에도 공통된 보증과
차대를 적용해야죠

미국차만이요?? 그래서 수입차 as및 보험 적용하나요??아니죠??
제대로 알고 오세요 지금껏 현기차 가게 차 포함해서 5대를 샀습니다

물론 이왕이면 국산이라는거 저도 머릿속에 박혀있습니다만 하는짓거리 보면
그리고 비교하고 당해보셨으면 그말이 안나오실겁니다

자국산 브랜드라고 무조건 적인 옹호와 감쌈은 오히려 국제 경쟁력을 약화시킬 뿐입니다
               
honeywell 13-12-01 13:51
   
저는 미국에서 현기차 구입한 경험도 있고 저희 집 전 가족이 현대차를 몹니다.
한마디 해드리자며 미국애들만 아니깐 미국이야기만 할께요.
얘네들 실용적인 애들이지만  차는 국적보고 고릅니다.  독일은 물론 말할것도 없고
미국은 지네나라고 일본수준의 나라는 되어야지 인정해준다 하는게 얘네들 마인드입니다.

한국차 아무리 좋아도 왠간해서는 죽어도 사는걸 꺼립니다. 자동차 메이커도 엄청많구요.
현대차가 워렌티나 보증등을 잘해줄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구요

같은 선상에서 출발할수 없었기 때문에 어쩔수 없었을 현기차의 사정이 있는 겁니다.
                    
달콤한로케 13-12-01 13:57
   
현기차의 근간인 내수시장의 장악력이 현시점에 점점 낮아지는게 오히려
더큰 문제입니다 허니웰님이 말씀하시는 출발선상의 문제점 충분히
이해합니다 제말은...왜 그좋은차를 만들고 해외에 출시하는데 동일한 조건과
상품을 국내에 내놓지 않느냐란 겁니다 내수용 수출용은 왜 다르며
해외시장에선 바로 리콜조치가 들어가는 문제도 쉬쉬하며 덮으려고만 하죠

내수시장도 한계에 다다랐다고 하고 해외시장에서의 파이를 넓히기도 점점 힘들어지는
이시점에 현기차는 공통된 보증과 정책으로 내수시장의 신뢰도를 다시
다지고 점유율을 끌어올리며 제값을 받는게 장기적으로 해외시장에서 추진력을 얻는데
도움이 될겁니다 지금처럼 하다가는 내수시장도 야금야금 잠식당하고 말거에요

나이좀 있으신 분들이야 그래도 현기차지 하며 사겠죠 저희 부모님만 해도 마찬가지구요
저도 그랬습니다 이제 30줄 들어선 나이지만요, 헌데 한두대 사보며 느끼는건..
'이건 아닌거 같아'였죠 상대적으로 젊은 소비자층은 브랜드 충성도가 기성세대보다
낮을진데 깔건 까고 비판해서 고치는게 현기차에  좋을겁니다
                         
honeywell 13-12-01 14:17
   
전혀 잘못 알고 계신데 현기차의 미래는 중국 인도 미국 시장에 있어요
현대 입장에서는 한국시장보다 미국이나 중국시장에 공을들이는 것이 더 그들의
미래를 위해 현명한 선택이죠.
현기차가 점유율을 잃어가는것은 한국 국민성의 문제입니다.

일본애들은 방사능 문제가 터져도 자신들의 국익에 반하면 개인의 희생이나 불편을 감수하고 쉬쉬합니다. 입을 딱 채우죠.

하지만 한국인들은 동네방네 자기 집안일을 떠들고 다닙니다.

일본의 경우 방사능 문제 한국에서만 시끄럽지 사실상 관광객은 늘고 있고
그 일로인한 국익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제발 우리 한국사람들도 현대에 대해서 좀 입조심 할 필요가 있습니다.

성형한다고 까발려서 반한류 혐한류의 시작을 만든게 바로 우리 한국인 자신들입니다.
                         
달콤한로케 13-12-01 14:20
   
국민성이요??여기서 말을 그만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소비자 선택의 문제가 국민성이라니... 더군다나 불합리한
기업의 행태를 비판하는것도 국민성이라 하신다면 허니웰님은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계신겁니다 뭐 이쯤하고, 날이 춥습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Zord 13-12-01 14:25
   
차가 내수랑 수출용이랑 달라도 서비스가 달라도 애국심으로 차를 사야한다는 말씀인가요? 지금 시대가 어느시댄데 소비자가 호구짓을 합니까?
시장 초기에 그러는 거 충분히 이해하지만 지금 현기차가 미국 진출한지 한참되었는데 아직도 이짓거리 하는 것은 국내 고객을 호구 취급하는 것 뿐이 안됩니다. 적당히 해처먹어야지요
비판할 만한 것을 비판 하는 것이 언제부터 나쁜 짓이 되었나요?
님이나 프레임 덜들어가고 A/S 후진 현기차 열심히 타십시요
                         
yabawi 13-12-01 14:56
   
각 잘 잡아서 차 박으라는 기업한테 무조건적인 충성을 다하라?
충성을 안 하면 국민성이 드러워서 그런거다??
나 뭔 원전 터지면 가서 몸으로 막으라 할 놈일세..
                         
첼파 13-12-01 15:19
   
예전에 비해 상품성은 좋아졌는데 어딘지 모르게 하나둘 삐꾸상태임.
개인적으로 디젤차 선호하는데 지금 보면 국산중엔 살만한 차가 전혀 없어요.
연비가 좋길한지 필요 없는 기능 주렁주렁 달렸고 옵션따라 사양이 마구 바뀌니까
중요 기술 들어간 부품들은 동네 오토큐나 고치지도 못하고 맨날 1급 가야하고
1급정비소에 사람이 미어터지니 고장나도 지금 사람이 밀려서 걍 타고 다니다 전화 줄테니 오라지 제가 간곳은 언제쯤 시간 되시냐도 아니고 전화 준다고 그때 오라고 내가 바뻐서 못가면 어쩔라고 고쳐주는 놈이 왕임 아주. 차라리 할부 때리고 비엠3을 살걸 후회하고 있음.  어차피 현대도 부품 다 수입해서 만드는거니 뭔차를 사건 똑같아요. 재벌 배나 불려주는거지 국산 이제 안사려구요. 현대를 위해 입조심 해줄 필요도 없고 사정 봐줄 필요도 없음.
                         
조바리 13-12-01 17:43
   
as 품질때문에 현대나 기아차 말고 수입차 탄다는분들은... 그거 아세요?..as 받을려면 as 되는 지방까지 가야하고.. as 기간도 얼추하면 한달 가량 잡아먹고... 수리비... 배보다 배꼽이 더커요... 물론  소모품인 차로 생각 않하고 자신의 품위 지위 아님 차에 대한 애착감이 가진 분이라면 머라하긴 그렇지만.. 현기차에 비해 그다지 가격이나 품질에서 피부로 팍팍 와닫는 느낌은 받으시길 힘들거예요/... 구입해보시면 느끼실거예요
                         
달콤한로케 13-12-01 18:16
   
뭔가 오해하시네요 현기차를 안탄다고 외산차를 탄다는 말을 한 분들은
저포함 안보는데요(아 한분 있군요..)
물론 르노삼성이나 쉐보레가 온전한 국내브랜드는 아니겠지만 국내생산을 하는
차량은 있죠 서비스야 말할것도 없구요 적어도 내수용 수출용 차량의 프레임과
강성이 다르지는 않습니다(옵션 장난은 마찬가지 겠지만..) 차는 사고나면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겁니다. 현기차가 쿠킹호일 이라는 불명예스런 별명을 얻은건
괜한것이 아닙니다...

설령 외제차 as가 불편하다 한들 목숨값보다 더하겠습니까? 품질요?
현기차가 차 못만든다고는 안했습니다 잘만들죠 기술력도 좋습니다 엔진도 그만하면
괜찮지요 허나 여기서 문제점은 왜 동일한 옵션과 품질의 차를 구매하는데 같은 브랜드의
같은 차종임에도 국내외가 차별되고 다르냐는 겁니다. 이게 최고 문제인거죠
                         
yabawi 13-12-01 18:40
   
조바리님 말이 맞죠.. 그래서 아직 현기차가 제일 잘 팔리는거기도 하고..
A/S 라도 현기차만 좀 따라오면 안 사고 싶은데.. 그게 문제야..
                         
금소맛 13-12-01 22:14
   
한국소비자들이 애국심만 갖고 사주는 바보들이 아니죠.
적어도 한국시장에선 가성비 따졌을때 현기차 경쟁력이 가장 뛰어나기에 많이들 구입하는 것이겠죠.

현기차 안전성을 지적하는데 국내기관이나 해외에서 안전성평가한 자료들 보면 해외 유수의 기업들 차량보다 현기차 안정성이 더 높게 나옵니다.  라세티와 비교를 하시는데 라세티 안정성은 상당히 잘나왔습니다 연비가 떨어지긴 하지만요 1500cc이하에선 포르테와 함께 탑이죠 안전성만을 보면..

단지 특수한 변수가 들어가는 인터넷 몇몇 사진과 개인적인 경험만을 가지고 평가하기엔 오류가 많습니다. 국내시장에 워낙 현기차가 많으니 그만큼 문제점도 따라 많이 노출되는 것이죠. 독일차량 커뮤니티 가보면 거긴 독일차에대한 불만들이 가득합니다

미국 컨슈머리포트에서 전문가들의 성능평가, 내구품질조사, 전문기관의 안전성평가 등 종합해서 최고의 차량을 뽑는데 아반테의 경우는 5년 연속 최고 차량으로 선정 되었고 제네시스, 소나타 등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현기차 해외와 국내 차량이 다르다는 분들도 있는데 옵션이 다를뿐 기본설계는 동일하고요.

하나더 현기차만 문제삼지 말고 국내 출시하는 현기차 이외의 차량 중에서 미국시장보다 비싸지 않은 차량이 있나요? 전부다 현기차 수준 이상으로 국내시장이 미국시장보다 비쌉니다. 원래 미국시장은 자동차며 전자제품이면 싸요 거기가 워낙 치열한 시장이라서
                         
JPEG 13-12-02 13:53
   
현기차, 흉기차 등등 욕하는 사람의 50%이상은 르삼, 쉐보레 딜러라고 보시면 될듯.
 
제가 아는 사람도 쉐보레에서 차파는데 보배드림같은 곳에서 흉기차관련 글을 올리고 사석에서도 흉기차흉기차  하고 입에 달고 살더군요. 한국 자동차 시장 top2 현대 기아차 기업 이미지를 깎아내려 르삼, 쉐보레로 눈을 돌리게 하려는 속셈이죠.  20%는 그런 딜러에게 속은 사람정도? ㅎㅎ
                         
천리마 13-12-02 15:40
   
미국에서 싸게 파는 전략은 비엠더블유도 마찬가지 에요.
     
50드론러쉬 13-12-01 16:27
   
호주만 하겠습니까
human 13-12-01 13:29
   
뭘 그대로 따라해
현기차 총괄디자이너가 독일사람이쟈너
당연히 독일차랑 비슷해보이지 이놈들아
우주벌레 13-12-01 13:30
   
중저가 세계시장에서도 처음엔 한국차들 욕 많이 먹었죠.
그러면서 성장해 온 것이고...
고급차종도 이렇게 시작을 하는 거죠. ㅎㅎ
s아우토반s 13-12-01 13:43
   
디자인배꼇다 어째다는 이제 지겹다 그시절이 언제쩍인데...?
수석디자이너가 보면 유명회자 디자이너로 두루거치다보니...만들다보면 이회사 저회사 디자인 섞이기도하고 디자이너가 선호하는쪽으로 디자인된다...특히 우리나라도 유럽풍쪽으로 가닥잡고 개발많이하는데....
조금다른예일지는 모르겠지만 이를테면....작곡가가...어릴떄부터 듣고 자라는 음악의 영향을 받아 나중에 결국 작곡을 하게되면 그영향 때문에...자기도 모르게 들었던 엇비슷한 노래를 작곡하기도 한다...그래서 표절시비가 붙을때도 있고...디자인도용은 이제 할거도 없어보이는데...내눈엔 모든차가 거기서 거기라보는데 자동차 모양이 획기적이게 바뀌지 않는이상...디테일한면에서 변화가 있겠죠
니뽕JJocBBaRi 13-12-01 14:08
   
근데 이놈의 기업은 뭘내던 이젠 비슷한 차를
찾아내서라도 까내리는 느낌이듬;; 뭐..
우리 국민 등쳐먹고 호구로 아는 기업한테
꼬시긴 하지만 생각좀 바꿔쳐드시길...
골룸옵퐈 13-12-01 14:14
   
현대차 디자이너가 독일 사람인데....
하이브리드 13-12-01 14:16
   
미적감각이 없어 큰 돈주고 외국인 디자이너 모셔와도 모방했다는 소리만 듣는구나.
하긴 제네시스 엠블럼을 보자. 벤틀리 베낀 거 확 티난다. 난 제네시스 볼때마다 짝퉁이라는 이미지만 생각난다.
     
순둥이 13-12-01 14:44
   
미니와도 닮아보입니다.
나까오리 13-12-01 14:21
   
저 병진들은 비엠이나 아우디나 그밖에 일본차들도 여기저기 짜집기한 디자인이라는건 모르나? 아우디의 싱글프레임그릴도 사실 현대hcd8컨셉트카가 훨씬 먼저 써먹었던거 카피한건데 한국인들이라도 사대주의근성좀 버립시다.
     
천리마 13-12-02 15:42
   
동감 입니다. 네모진 차량에 바퀴달아서 굴리는데 특별한 디자인이 나오기는 어렵죠.
나까오리 13-12-01 14:25
   
그리고 지금의 bmw그릴스타일의 원조가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벤틀리~볼보~랜서~그 후 정도가 bmw인데 자기들도 지지리 카피하면서 꼭 남 잘되는꼴은 못본건지 참 웃기지도 않음. 고로 차의 디자인은 좋은 부분은 서로서로 카피하면서 창조하는거기때문에 뭐 닮았다느니 그런건 의미가 없음.
stabber 13-12-01 14:26
   
mcmeetterry
현대랑 기아는 디지인 분야에 Peter Schreyer를 고용했어.
그는 자동차 디자인업계에 스티브 잡스와 같은 인물이야


얘가 뭘 좀 아는군요 뭐 현기는 국내에서 지금처럼 푸대접하면 망테크지만
     
kuijin 13-12-01 14:54
   
피터슈라이어의 디자인은 정말 최고봉이죠!k5가 k시리즈중에서는 가장 괜찮다고 생각하는데,그 디자인은 피터슈라이어님이 초기에 디자인을 한 차라네요.
지구정복케 13-12-01 14:54
   
안사...
온돌마루 13-12-01 14:57
   
애증의 현기차......
내수차에 신경 좀써야 하는데....
nation 13-12-01 15:05
   
현대차 내수용/미국 가격/조건차이를 이유로 외제차가 답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미국소비자와 똑같은 가격/조건으로 외제차를 사고 있는지? 한국에서 외제차 사도 미국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사는데, 한국녀가 결혼비용 적게 부담한다고 욕하면서 자신이 100퍼센트 비용부담하면서 동남아/중국녀와 결혼하는 것과 같은 오류.
삼성 내수/미국 가격 차이가 현대보다 큰데 왜 "삼성 망해라. 외국제품이 답"이라는 얘기는 안 하는지....
삼성 60인치 LED TV 국내가격 300~400만원. 미국 아마존 169만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8&aid=0002445371
현대 망하라고 욕할 바에 차라리 현대 삼성 국유화해서
내수/수출 가격차이 없애고, 해외이전을 최대한 국내로 돌려 임금/기업고용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라고 정부에 촉구하는 것이 답.

지금 추세대로 가면 현대 삼성이 망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현대 삼성이 세계최고기업으로 성장했는데도 해외이전 먹튀하는 탓에 대다수 한국국민 경제현실이 시궁창이고 외제차는 꿈도 못 꾸는 것이 문제.
1) 2010년판 국세통계연보: 한국근로자 중 31%가 연소득 1천만원 이하, 38%가 1200 이하, 70%가 3천 이하, 91%가 4500 이하, 96.7%가 6천 이하.
2010년 일본국세청: 일본 임금근로자 평균연소득 406만엔 (올해 환율로 4500만원. 2010년 환율로 6천만원)
2012년 통계청: 한국 전체근로자 평균월급 211만원. 평균시급으로 환산하면 일본편의점 시급 수준.
작년 삼성전자 직원 평균연봉은 일본 40대 50대 남성근로자 평균연봉과 비슷.
2) 한국기업이 자국민 적게 고용하고 선진국보다 평균 15세 정도 이른 나이에 해고하는 탓에 한국인이 자영업으로 내몰려 한국 자영업자 비율은 독일 일본의 3배, 미국 북유럽의 4.5배.
3) 생산가능인구 100명 중 임금근로자 비율: 한국 40명, 미국 독일 일본 60명, 스위스 북유럽 70명 정도.
만약 한국기업이 일본기업 수준으로 자국민 고용했으면 한국 임금근로자수는 지금보다 800만명 정도 많고, 한국 자영업자수는 지금의 40% 이하였을 것.
4) 연간근로시간: 한국 2200, 일본 1700, 독일 1300.... 외국인노동자수: 한국 > 일본...
국민이 반세기간 희생하고 이익 몰아줘 산업/기업 키운 결과 선진국 될 물적기반은 다 갖추고도 (삼성전자이익 > 일본전자산업. 현대기아차 이익은 세계자동차기업 중 3위. 제조업체 평균이익률: 한국 > 일본) 대기업들이 먹튀하고, 이에 대한 국민비판 피하려고 노조 탓, 고임금 탓하는 것에 속는 국민이 많으니, 대다수 국민 경제현실과 대기업 실적의 괴리는 날로 확대.
독일은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철저히 지키는 제도(단체협약 등)를 실시해, 대기업/중소기업/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가 거의 없기에 (독일 자동차산업 평균시급은 현대차 정규직 평균시급보다 위.) 독일국민은 한국인이 소나타 사듯이, 벤츠, BMW를 구매.
한국도 독일처럼 최저/평균시급과 기업고용률 높이고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를 실시해야, 비로소 많은 국민이 외제차를 선택할 수 있고 소비자로 대우받을 수 있음.

선진국에선 착한 기업으로 행동하는 외국기업도 한국에만 오면 소비자를 푸대접하는 이유는?
1) 한국 최저/평균시급이 선진국 반도 안 되고, 기업고용률도 OECD 최저수준이라 내수시장이 시망
2) 한국사회시스템이 국민 희생해 기업에게 이익 몰아주는 방향으로 조직/운영되기 때문에 소비자보호제도 열약
ex) 자동차급발진 사고시 한국은 사고원인 규명 책임이 소비자에게 있는 반면, 미국은 무조건 자동차회사가 책임을 져야 함.
     
yabawi 13-12-01 15:11
   
삼성도 당연히 욕 먹지 왜 안먹나? 그리고 삼성TV 보다가 사람 죽는일 있수?
우리나라 상황에서 수출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점은 당연히 인정한다.
하지만 그것도 정도란게 있지 않은가?
자동차는 안전이 최우선인데 그것조차도 못하고 무조건 소비자 과실로 몰면서
훨씬 비싸게 팔아먹으며 횡포를 부리면 누가 그 기업을 신뢰하겠나?
소비자들이 현대에 이정도로 반감을 갖게 된 건 다 자업자득이다.
최소한도로 할것은 하고 애국마케팅을 하길 바랄뿐이다.
     
Zord 13-12-01 15:36
   
선진국에선 착한 기업으로 행동하는 외국 기업이 한국에만 오면 소비자를 호구 취급하는 이유는 소비자 보호에 대한 제도가 열악하기도 하지만 삼전, 현기차등이 이미 소비자를 호구 취급 해놔서 그네들이 굳이 이익을 포기하면서 착한기업 행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지요.
     
천리마 13-12-02 15:46
   
모든 수출품은 싸고 내수는 비싸게 되어있습니다. 국가정책이 수출을 진흥하기 위해서도 그렇지만 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전략도 그렇게 짜여져 있어요. 특히 미국에 수출하는 제품은 다른나라도 모두 그래요.
NASRI 13-12-01 15:18
   
현대 기아 디자인 담당자가 대체 누군지는 알고 지껄이는건가?

표절 따지고 싶으면

피터 슈라이어

크리스토퍼 채프먼

이시대 최고 자동차 디자이너 둘한테 따져 멍청아
굿잡스 13-12-01 15:28
   
잽 자동차고 독일 디자인 카피 젓나 하더만 ㅋ

요즘은 독일이나 잽 미국도 현기차 디자인 제법 모방하더만 뭔.
엽기호랭이 13-12-01 15:45
   
ㅅㅂ ㅋㅋ 요샌 혼다가 소나타 표절하드만 ㅋ 그래서 빵터졌다.  요새 쪽바리 차는 이상하게 디자인이 퇴보하는 중;;;; 쪽바리들아 차 디자인 좀 신경써라 ㅡㅡ 뭐 현기가 디자이너 영입하고 투자많이 하는 건 맞다만 현기차한테 디자인으로 개발리냐... 과거엔 이리 니뽕제가 디자인이 쓰레기가 될 줄이야...

그리고 위 본문에 저 멍청한 놈들은 뭐만 하면 표절이라니 눈알이 썩어문드러진듯 ㅉㅉ
     
천리마 13-12-02 15:47
   
잽들에게 그런것좀 알려주지 마세요. 지들 그렇게 살다 죽어라고..
버짜 13-12-01 16:08
   
ㄴFranklin Johnson
A4나 BMW 3를 제네시스 가격으로 구입할 수도 있는걸.
두 차 모두 제네시스보다 내부 공간도 넓고 좋아. 현대는 신용을 좀 잃었어.
 
 --------

아니 이게 뭔소리임 ? 제네시스가 한국에서 최소한 가격으론 5시리즈 e클에

실내 크기로만 보면 7 시리즈랑 맞먹는데,

이게 뭔솔 ?? 독일 3사 엔트리 세단
 a4, 3시리즈, c클래스가 제네시스 보다 실내가 더 넓다고 ?

제네시스는 휠베이스가 3000mm 넘게 나오는데 ?
     
앵두 13-12-01 19:45
   
일단 미국에선 제네시스가  C클 보다  약간 싸요.
거기다 이번에는 제네시스 사면 엑센트도 하나 공짜로 줍니다.
크기 부분은 좋다나 고급스럽다의 번역 차이 아닐까 싶네요.
          
버짜 13-12-01 20:08
   
엑센트 공짜로 준다는건 미국이 딜러제니까 그러지요.
엑센트 100대 들여왔는데 3,4대 항만에, 개리지에 계속 남아있으면 그게 더 손해죠.

그거 믿는건 갤럭시 노트3 36개월 95 요금제로 사시면 무료 !
하고 똑같은거죠.

그런 프로모션하는거에 조건 맞는 사람이 얼마나 적은데, 이거저거 하면
값 얼추 같아집니다.

그리고 이번에 화자된 제네시스 엑센트 1+1은 캐나다 껍니다
캐나다는 제네시스 5만달러 넘어요.
굿잡스 13-12-01 16:32
   
잽 마쓰다, 혼다등  현대차를 대놓고 카피 (사진)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success&logNo=40177341703
굿잡스 13-12-01 16:49
   
똥요따의 현기차 베끼기와 흑역사 ㅋ



http://cafe.daum.net/lapplcommon/QCy/884?q=%C5%E4%BF%E4%C5%B8%20%BD%D1%C5%B8%C6%E4%20%B8%F0%B9%E6&re=1


When Toyota launched its Lexus luxury car brand a decade ago it made no secret that it had Mercedes in it sights.


토요타가 Lexus를 런칭했을때 벤츠를 베낀것은 비밀도 아니었다.


Ten years later, the Japanese are sending in the clones with increasing frequency.


It's not just the expensive models which European makers accuse Japan of copying. Consider, for example, the headlights on the latest Toyota Tarago. Now picture those of the Peugeot 206. Look familiar? Looks as if they should share the same part number.


토요타 Tarago, 푸조 206 어때? 비슷하지?

마치 같은 part number를 공유하듯이.




When Audi's TT coupe and convertible were unveiled, diminutive Japanese maker Daihatsu had a car with an amazing likeness displayed at the very next Tokyo Motor Show called the Kopen. The latest Lexus coupe, due here before the end of the year, looks like a larger interpretation of Audi's Bauhaus design.


아우디가 TT를 공개한후 일본의 다이하쯔가

다음해 놀랍도록 비슷한 Kopen을

토쿄 모터쇼에서 공개했다.



Daihatsu has also built a miniature Hummer and, bizzarely, called it the Naked. And in 1999 at the same show, Mitsubishi took the wraps off a car that, if you squinted, you would swear blind was a new Mini.

다이하쯔는 또한 Hummer의 미니어쳐 모델을 만들고 엽기적이게도

Naked라는 이름을

붙였다.


What about the "teardrops" on the headlights on latest batch of Hondas, such as the HR-V, Odyssey and the new Integra? A hint of BMW 3 Series perhaps? The tailights on the HR-V have a remarkable resemblance to the Volvo 850 wagon's.


From a distance, Toyota's square-shaped MR2 looks like a Porsche Boxster.

The original Toyota Celica was so inspired by the Ford Mustang of the era that today's enthusiasts call it the "Mustang Celica".

멀리서 보면 토요타의 MR-2는 포르쉐 Boxter를 닮았다.

셀리카는 Mustang에서 영감을 받았다.



Now, even after 10 years, Lexus still hasn't broken its clone-like mould. The latest Lexus LS430 has the sillouette of the superseded Mercedes S Class and a headlight theme borrowed from the new S Class.

10년이 흘렀지만 Lexus는 여전히 베끼기지 멈추지 않는다.


When the covers came off the fourth generation Lexus at the Detroit Motor Show two years ago, Mercedes-Benz broke its corporate silence over what it called "Japanese copycat cars" but stopped short of calling it plagiarism.


"People explain to us it is really an honour to have someone copy our cars, but I don't think we see it that way any more," said Harald Leschke, the head of design at Mercedes-Benz. "I think it is quite obvious that they admire the design, then try to do it their way. I'm sure in some industries this sort of thing is not legal.

"What surprises us most is that [Lexus] are prepared to do it, in public, and that customers are prepared to buy their copycat cars."

"사람들은 우리차를 베끼는것은 영광스런 일이라고 하지만

난 더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벤츠의 디자인 실장


"더욱 놀라운것은 Lexus는 불법적인 copy가 준비되어있고

고객들은 그 베낀차량을 살 준비가 되었다는 것"



"I think it's fair to say all their cars have been influenced by someone else's models," he said. "They don't have a history so they have to copy someone else's."


" 내 생각에는 Lexus는 모든 종류의 차량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는게 옳겠지. 그들은

역사가 없으니 남의 것을 베끼는 수 밖에 없다"




Industry experts argue that a flagship Lexus made sense when it was considerably cheaper than the German benchmarks. But now that it is priced the same, there's less incentive to drive an imitation. Nevertheless, Europe's car maker have now become so concerned about Japan's sincere forms of flattery that they are wary of showing concept cars of future models.






Porsche, for example, has deliberately not shown "design studies" of its Cayenne off-roader because it fears a Japanese maker will be able to release its interpretation just as Porsche unveils the real thing.


포르쉐는 카이엔의 디자인 스타디(스케치)를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왜냐하면 포르쉐의 차량 공개와 동시에 일본이 (같은것을)공개하는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With computers and so much new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 times of new models has greatly reduced," says Porsche Cars Australia marketing manager, Michael Bartsch. "If we show a car three years before it is due to come out, someone else can have a copycat car out about the same time.

"While it's very flattering that certain companies see you as a benchmark it is a form of flattery we quite frankly could do without."


"컴퓨터로 인해 새로운 모델을 디자인하는 시간은 매우 짧아졌다."Porsche 호주 마케팅 매니져, Michael Bartsch씨가 말했다.


"만약 우리가 자동차 시판 3년전에 디자인을 공개 한다면 누군가는 베낀 디자인의 자동차를 우리와 같은 시기에 공개 할 수 있다"




So why does Japan do it? According to Drive's Japanese correspondent, Peter Lyon, an ex-pat Aussie who has lived there for the past 12 years, there are several reasons. At the core of the problem, he says, is Japan's conservative culture and the fact that Japanese car makers have less history from which to draw inspiration than their European counterparts.


그렇다면 왜 일본은 카피를 하는가?


일본 Drive지 기고자 Peter Lyon씨는 그것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고 설명한다.

일본의 보수적인 문화와 일본 자동차 메이커의 짧은 역사를 이유로 들고있다.



"The Japanese have a proverb which says, 'The nail that sticks out gets banged down'," Lyon says. "With 120 million-plus people crammed into an area roughly the size of NSW, the Japanese maintain the peace by choosing not to rock the boat.


일본 속담에 "튀어나온 못은 맞는다"라는게 있다.

1억2천명이 넘는 사람들이 New South Wales州 만한 크기의 땅에서 살고 있다.

일본인들은 평온한 상태를 유지 하길 원한다.




"In high school, they do not have debates and students are not encouraged to ask teachers questions. No-one challenges the political system or sends up the Imperial family.

"They do not like to point the finger, nor does their psyche promote constructive criticism. In this environment, world-beating design is all but non-existent."


"고등학교에서 그들은 토론이 없고 학생들은 선생에게 질문을 하지도 않는다.

누구도 정치적인 시스템과 일왕가족에게 도전을 하지 않는다"



For example in Europe, Lyon says, designers style dresses to highlight a woman's curves; in Japan, the kimono suppresses curves and creates a single, monotone shape. Therefore European car stylists draw inspiration from art, philosophy, sculpture, architecture and the human form; Japanese designers package their cars in shapes that appeal to the lowest common denominator.


예를 들면 유럽에서 의상은 여인의 몸매를 두드러 지게 하지만 일본 키모노는 몸매를 숨기고

단순하고 한가지 형태만을 가진다.그러므로 유럽 자동차 스타일은 그들의 예술,철학,조각,건축물과 인간에서 기인하지만 일본의 디자이너는 대다수 사람에게 어필하는 디자인을 한다.



"Japanese women still are taught that a man's appearance is not as critical as his performance at work, as a kind of corporate warrior," says Lyon. "The stylists who pen today's cars are typical salarymen - monotone men with black hair, dark blue suits and white shirts."


"일본의 디자인너들은 전형적인 셀러리맨이고 검은 머리에 진한 청색 양복과 하얀 셔츠의 단조로운 남자들이다"



The lack of history is also an Achilles heel. "Japan had no horse-and-carriage era. True, the nobility were transported in carriages for a time, but these were imported or the designs were copied.


역사의 부족 또한 아킬레스건이다. "일본은 馬과 마차의 시대가 없었다. 일본귀족들이 마차를 이용한

시기가 있었지만 모두 수입되고 카피된것들 뿐이었다."




"So the country skipped a critical phase in its maturation process as a car stylist. Too often, designers took the easy option and borrowed looks from around the world."



"그래서 일본은 자동차 스타일리스트의 성숙기를 그냥 지나쳐 버린것이다. 그래서 너무 자주 디자이너들은 세계에서 디자인을 빌려오게 되었다."

http://www.drive.com.au/editorial/ArticleDetail.aspx?ArticleID=58
     
retinadisplay 13-12-01 18:30
   
별로 영양가가 없어 보이는군요. 현대차이야기에 일본차 들먹일 이유가 있는건가요?
          
천리마 13-12-02 15:50
   
왜차를 카피했다고 하니 당연히 부인하는 차원에서 증명을 할 필요가 있죠.
          
답없다 13-12-02 16:12
   
영양가 최곤데요? 럄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본차 들먹거리니 괜히 속상합니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모라고라 13-12-01 17:05
   
잘 보고 갑니다.
말티즈 13-12-01 17:50
   
이놈들 말하는거 보면 절반은 고급차 수십대 가진 자칭 사우디 재벌2세들이네
땅롱밋따박 13-12-01 18:15
   
현기차는 자국민한테 좀 잘 대해줬으면 좋겠다
     
달콤한로케 13-12-01 18:23
   
저도 내수용 수출용 구분안하고 동일한 조건에만 판매해준다면 평생 현기차 탈겁니다
제발좀 정신차리고 국내시장에 신경 써줫으면 좋겠습니다
          
천리마 13-12-02 15:51
   
내수와 수출용은 어느나라나 가격 차이가 있어요. 특히 미국에 대한 수출은 더그렇죠. 그건 독일 벤츠도 피해가지 못합니다. 하물며 현대는 더하겠죠.
retinadisplay 13-12-01 18:28
   
외국분들의 반응을 보기 전에 이미지를 먼저 보고선 "어디선가 본 것 같은 모양새다." 라고 생각 했습니다.
하지만 예전보다는 멋있어 진것같아 기쁨니다. 자세히 보면 카피한건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일단은 외국 수출용과 국내판매용이 품질과 가격차가 나는 현대자동차이니 국내에 나와야 그때 알겠지요.
노호홍 13-12-01 19:00
   
맨날 독일차 닮았다고 하는데 도대체 그 대단하신 독일차 디자인이 뭐임?
교과서적인 모양이 있다는건가?
guitar 13-12-01 19:02
   
현재 국내가격정책은 이미 발표되었고..가격면이나 성능면에서 BMW5시리즈와 벤츠 E300시리즈와 비교했을 시 메리트가 별로 없어보이네요..그나저나 이번 이녀석도 리콜을 얼마나 숨길지 벌써 걱정입니다..
     
앵두 13-12-01 19:41
   
그리곤 미국에서는 지금처럼 c클 가격에 팔겠죠.
국내에선 5, e클 가격으로 팔고..
먼스 13-12-01 20:04
   
승용차를 현기로 살 필요 있나 싶네요. ^^ 자국민은 호구인데요 뭘.
삼족오m 13-12-01 20:54
   
제발 우리나라 기업을 지지할 수 있게 현기차는 자국민을 등쳐먹지 말았으면 좋으련만...
현 상태대로라면 현기차 구입은 적극적으로 만류하고 싶군요
질질이 13-12-01 20:56
   
그닥 좋아보이지는 않네
가출한술래 13-12-01 21:27
   
잘 보고 갑니다
아기건달둘 13-12-01 23:32
   
제너시스 정도면 수출품 부품과 같은걸로 쓸려나...
     
천리마 13-12-02 15:53
   
내용이야 알수없지만 차이는 별로나지 않을겁니다.
우리랑 13-12-02 01:09
   
어찌나 잘 카피하는지 차이점도 안보일 정도라니깐

으응?
자기자신 13-12-02 01:31
   
잘 보고감
ckseoul777 13-12-02 01:50
   
Jay Thomas
한국은 독일과 일본차를 그대로 따라하는구나
Jay Thomas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다른 나라를 모방하는데 세계최고야.
원조를 어찌나 잘 카피하는지 차이점도 안보일 정도라니깐. 전자산업분야에서도 마찬가지야.
독일과 일본 회사들을 그대로 집어 삼켜버리려고 하고있어.
 ....................................................................
이놈은 항상 서식하고있네~ 댓글 알바인가~!!ㅋㅋ
번역수고하셨습니다~잘보고갑니다
촉수괴물 13-12-02 03:12
   
디자인은 피터슈라이어같은 간판 디자이너 영입에 해외 디자인 연구소까지 운영하면서
어느정도 궤도에 오르긴 했는데...정작 중요한 차가 썩었음. 껍데기만 멀쩡하면 뭐하는지.
투애니원 13-12-02 07:00
   
잘보고갑니다
오캐럿 13-12-02 08:32
   
전면부.. grill 부에서 독일차를 많이 연상 하는 듯 하네요.. 갠적으론 못 느끼겠던데..

//그린별/님.. 수고하여 주신 번역 잘 봤습니다~
o초롱별o 13-12-02 09:36
   
ㄴFranklin Johnson
A4나 BMW 3를 제네시스 가격으로 구입할 수도 있는걸.
두 차 모두 제네시스보다 내부 공간도 넓고 좋아. 현대는 신용을 좀 잃었어
----------------------------------------------------------------------------------------------------

정말 까고 있으시네. 제네시스를 좋아하는건 아니지만 A4하고 bmw3가 내부공간이 더 넓다고?

저놈은 아우디하고 비머를 탄적이 없는듯. 그 두차가 얼마나 실내가 좁은데 아반떼 수준인데
새봄 13-12-02 09:58
   
내가 보기엔 독일차나 일본차나 모두 비슷비슷하던데.. 우리 현대차도 그렇구.
♡레이나♡ 13-12-02 15:47
   
잘보고갑니당~
천리마 13-12-02 15:54
   
자동차 디자인의 카피는 어느정도는 피할수 없는것 같은데 우선 까고보는구만.
레플 13-12-02 17:49
   
쪽발이들이 보이네 ;
호태천황 13-12-02 22:10
   
국내 대기업 빨아주는 센스 넘치는 분들이 많이 보이시네요...국민들 혈세 보조하고 비정규직들 저빠지게 일해줘도...대기업들 사회에 대한 환원이나 이익 재분배에 대해서 일제 신경도 안씀..그렇다고 그들이 세금은 제대로 내는지 그도 아님...경제 살려야 된다며 죽어라 대기업 밑구녕에 국민들 피땀을 쏟아 부어도 국민들은 죽지않을만큼만 돌아옵니다..언제까지 대기업 짝사랑에 환상을 버리실찌들....ㅉㅉㅉㅉ..우리는 사실 대만을 룰모델로 경제 구조의 틀을 바꿔야합니다...삼성이 사상 최대의 영업이익을 벌면 뭐 합니까...현대 기아가 작년 대비 200%가 넘는 성장을 했으면 뭐 합니까..그들이 한국 경제에 8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한다면 국민 삶의 질도 그들이 80%를 책임져야 마땅함에 불구하고도..전혀...Never!! 그럴일 없습니다...오늘도 불철주야 대기업 빠는데 정신없는 분들과 뵹진같은 정부는 수고 많으십니다...
엘더스승욱 13-12-03 23:04
   
정말 언뜻봐도 이차저차 짜맞춘거 같아서 ㅡ,ㅡ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