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구)사회/문화 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UK] 英 이코노미스트 "한국 웹툰에 가려지고 있는 일본 망가" 해외반응
등록일 : 22-12-13 14:22  (조회 : 22,204)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해외언론 보도내용>
일본 망가가 한국 웹툰때문에 빛을 잃어가고 있다.

이현석씨는 한국에서 '드래곤볼'이나 '슬램덩크'같은 일본 만화를 즐겨보면서 자랐다.
그는 만화가와 편집자로 성공하기 위해서 도쿄로 이주했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에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웹툰이 한국에서 탄생했다.

웹툰은 처음에 이씨에게 그리 인상적이지 않았다.
처음 웹툰은 일본 망가와 비교해서 너무 조잡해서 누구나 만들 수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지금 일본 망가는 한국 웹툰때문에 빛을 잃어가고 있다.
작년 일본 망가 시장은 2.3% 감소해서 19억달러정도지만, 세계 웹툰 시장은 37억달러, 2030년까지 56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망가는 인쇄용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적합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천천히 디지털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하지만 망가의 글자가 너무 작아서 스마트폰에서 줌인 아웃으로 보기에도 불편하다.
이런 시장의 흐름을 본 이씨는 2014년에 망가에서 웹툰 시장으로 이동했다.

최근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 보이밴드 'BTS', '웹툰'은 스마트한 마케팅으로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성공을 본받으려고 하는 일본의 '쿨재팬 정책'은 큰손실을 보면서 실패했다.

일본 망가는 아직까지 자신들이 가장 잘하는 것을 고수하면서 자신들만의 강점을 유지하고 있다.
극적인 반전이 있는 복잡한 스토리는 대화수가 제한 될 수 밖에 없는 웹툰이 따라잡기 힘들 수 있다고 일본 망가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 망가팬들의 고령화로 일본 망가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도 나타나고 있다.
1959년에 창간한 '주간 shonen 매거진'의 지금 평균 독자층은 30세가 넘었다.
망가는 결국 노인들의 문화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요즘 아이들은 스마트폰으로 웹툰을 본다.


000.jpg

002.jpg







<댓글>

JRPubEbola
둘 다 서로를 위해서 경쟁이 필요해.


ㄴkohwaya
근데, 경쟁하고 있는거야?
난 둘 다 좋아하지 않아서.
완전 다른 것 같은데.
마치 유니버셜 스튜디오 영화와 디즈니 영화를 비교하는 것 같아.


ㄴPro_Banana
kohwaya/유니버셜 스튜디오와 디즈니는 실제로 큰 경쟁상대잖아.
현재 일본에서는 망가를 스마트폰으로 읽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한국에서는 웹툰이 종이책으로도 나오고 있어.
그 둘은 직접적으로 경쟁하고 있어.


ㄴhyenapatch
난 완전 다르다고 생각해.
애니메는 흥미롭고 환상적인이지만 웹툰, k드라마는 진부한 내용이니까.


redditvirginboy
한국 웹툰이 일본 망가를 이기려면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함.
내생각에 일본의 망가-애니메-게임 산업체제는 여전히 굳건하거든.


ㄴEssen_star
웹툰->k드라마 파이프라인도 점점 강력해지고 있어.


ㄴmelekege
난 나이와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어.
어렸을때는 나도 망가, 애니메 좋아했는데 성인이 되고서는 웹툰과 k드라마를 소비하고 있거든.


ㄴlivelivinglived
melekege/나도 너랑 비슷해.
나이들수록 점점 성숙하고 멋진 캐릭터 스타일이 좋아지더라고.
일본 소년만화스타일은 나한테는 너무 귀여운 쪽이야.
내 아내는 일본인인데 k드라마, 일본 망가를 좋아해.


asiawide
아직 망가-애니매-게임은 훌륭해.
지난 10년동안 더 멋진 게임은 다른데서 못 찾았거든.


mosenco
웹툰은 망가와 비교해서 작가들이 시장에 진입하기가 더 쉬운 것 같아.
반면 일본 망가는 더 열심히 해야 성공하고.
웹툰은 그러지 않아서 더 신선한 공기를 느낄 수 있고.


tpkpopts
요즘은 일본의 모든 것들이 한국에 의해서 빛을 잃어가고 있는 것 같더라고.
한국 제품이 더 훌륭해서 그런건데 누굴 비난하겠어.


Medewu2
독자들에게 다른 장점이 있기때문에 난 양쪽 다 좋아.


juicius
난 양쪽다 보고 있는데 망가 인프라 체제가 더 잘 구축되어 있어.
라이트/웹 노벨, 애니메 지원도 튼튼하고.
웹툰도 그쪽으로 가고 있고, 그중에 '나혼자만 레벨업'이 엄청난 성공을 거둔거야.
하지만 웹툰에서 '나혼자만 레벨업'같은 성공은 아직 소수지만, 망가에서는 셀 수 없어.


lucidvision25
기사도 제대로 읽지 않은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아무리 망가를 좋아한다고 해도 망가 산업은 작년에 2.3% 줄어들어서 19억달라였어.
반면 웹툰 시장 전세계 시장은 작년 37억달러, 2030년은 560억 달러야.


HarambesLaw
일본은 오래전부터 자동차, 음악, 게임, 소프트파워의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어.


ㄴprospect97
ㅎㅎㅎ 아니야.
여전히 일본의 비디오 게임 영향력과 애니메는 가장 강력한 소프트파워중에 하나라고.


ㄴkmrbels
prospect97/예전 같은 지적 재사권 영향력은 없지.


ㄴprospect97
kmrbels/하지만 닌텐도는 여전히 인기있고 소니의 비디오 게임 산업도 강력해.


ㄴkmrbels
prospect97/그건 콘솔 시장이고.
PC와 모바일 시장은 완전 상황이 달라.


ㄴprospect97
kmrbels/모바일게임은 콘솔 게임과 비교해서 질적으로 많이 떨어지잖아.
적절한 비교가 아니지.


ㄴkmrbels
prospect97/품질이 항상 인기를 의미하는 건 아니야.
콘솔 시장은 진입장벽이 높아서 PC나 모바일 시장에서 더 많은 사업자들이 몰리고 있으니까.


Dantheking94
초등학생처럼 말하고 싶지는 않지만 일본 망가는 흑백, 한국 웹툰은 다양한 칼러.


kmrbels
웹툰 작가들이 망가 작가보다 더 많은 돈을 번다는게 중요한 점 같아.


Assholebrotherignore
망가에서 웹툰으로의 전환은 막을 수 있는게 아니지.


makarebi
웹툰은 질적으로 많이 떨어지던데.


ㄴAoifeblack
요즘 나오는 망가도 대부분 그래.


ㄴMomokyuu
원래 인기 있는 것들은 마블 영화처럼 사람들이 쉽게 소화하기 쉽고 스테로타입의 내용이니까.


ㄴmakarebi
Momokyuu/웹툰은 대부분 내용이 비슷하고 지루하다고.


ㄴflareyeppers
makarebi/망가랑 애니메도 마찬가지야.


ㄴplstouchme1
makarebi/웹툰을 옹호하는 건 아니지만 웹툰 시장은 아직 초기라는 건 알고 있어?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분명 니 기대이상으로 성장할거야.


ㄴmakarebi
대충보면 망가가 웹툰보다 훨씬 다양해.
그림체도 더 좋고.


ㄴPro_Banana
makarebi/망가 시장도 큰 만큼 쓰레기도 많아.
니가 일본에 살아보지 않고, 물리적인 매체라서 니 눈에 잘 안보이니까 모르는거지.
하지만 웹툰은 스마트폰으로 쉽게 볼 수 있으니까 쉽게 평가되는거고.


eshian
내가 14살때 유일하게 봤던 일본 쓰레기 망가는 소드아트온라인인데.


Atlast_2091
웹툰 영상화도 많아지고 있더라고.


funkinthetrunk
그래서 웹툰과 망가가 서로 무슨 관계가 있다는거야?


jkpatches
기사를 보지 못했지만 한국과 일본을 비교해보고 싶어.
일본 문화가 미국에 정착하기까지 수십년이 걸렸어.
반면 현재의 기술때문에 한국문화는 큰 도움을 받은거고.
모든 사람들이 유튜브, 넷플릭스, SNS를 보니까.

일본은 아날로그 방식이었기때문에 늦게 확산된거고.
일본도 기술의 도움을 받았다면 오늘날 한국보다 더 많은 인기를 얻었을거야.

한국문화가 열등하다는게 아니라 요즘 기술발달로 더 쉽게 다른문화에 접근이 가능하다걸 말하고 싶어.
다음에는 베트남, 잠비아가 될 수도 있어.


Fearless_Carrot_7351
난 웹툰, 망가 다 좋은데.
어느 하나를 고를 필요없이.


Mindless-Macaron-178
한국의 서브컬처문화가 성장해서 너무 기뻐.
드라마나 영화뿐만아니라 애니도 시작했으면 좋겠어.


Spiritual_Signal_488
내 생각에 망가가 아직 더 큰 것 같긴한데, 웹툰도 성장하고 있다니 기뻐.


thots89
지금 '스파이 패밀리' 일본 애니를 보고 있긴하지만 한국 웹툰도 점점 질적으로 좋아지더라고.
K드라마로 만들어지는 웹툰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Heraxi
한국 웹툰은 일본 망가/애니메 시장과 비교되는 정도는 아닌 것 같은데
웹툰을 좋아하지만 아직 그정도 규모는 아니라고.
내가 틀릴 수도 있어.


ㄴDreadsupreme
나도 비슷하게 생각해.
여기 미국에서도 k웨이브가 강하지만, 일본 애니메도 인기 있거든.
근데 웹툰은 인터넷으로 볼 수 있어서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해.


ㄴLeCordonB1eu
Dreadsupreme/웹툰과 비교는 일본 애니메가 아니지.
웹툰도 애니메로 만들어지고 있잖아.
웹툰은 망가랑 비교하는게 더 맞아.


wyeess
일본은 메이지 유신때부터 자신들을 아시아의 백인이라고 생각하고 서양을 모방하고 서양의 평가를 중요하게 생각했어.
그래서 전자제품, 게임, 애니, 망가, 장난감등을 세계에 수출해왔고.
한국은 일본이 수출에 성공하지 못한 드라마, 음악의 틈새시장을 찾은거고.


dawnydon
내가 볼때는 웹툰->k드라마로 이어지는 시스템이 여성들에게 더 인기가 있을 것 같아.

내 남동생은 웹툰은 좋아하지만 k드라마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거든.


ㄴmayssi
내 생각도 그래.
일본 문화는 더 남성이 좋아하고 한국 문화는 여성팬이 더 많아.


limnea
웹툰은 콘텐츠양에 비해서 너무 많이 스크롤 해야하는게 싫던데.


ㄴLeCordonB1eu
그래도 망가의 흑백보다는 나한테 더 잘 맞더라고.
망가의 스타일이 잘 못 되었다는게 아니라 내 취향이 그래서.


ㄴHelpItsAgain
LeCordonB1eu/나도 그래.
특히 '진격의 거인' 망가는 그림스타일이나 흑백때문에 익숙해지기 쉽지 않았어.


ㄴUdonov
limnea/그래도 웹툰은 망가보다는 스마트폰으로 보기가 더 편함.


ㄴlimnea
Udonov/물론 폰으로 보는건 더 편하지.
근데 스크롤 하는게 힘들더라고. 
더 빈 공간을 줄여줬으면 좋겠어.


ㄴrudalsxv
limnea/마치 5분 분량의 콘텐츠인데 20분의 애니메 양으로 늘린 것 같은거지?
나도 동의해.


ㄴlimnea
rudalsxv/맞아.
그래서 난 망가는 좋아하지만 애니메는 보지 않아.
특히 원피스 애니메 같은 경우가.


LA95kr
망가는 디지털 세계에 적응하지 않으면 쇠퇴하게 될거야.
근데 한국 웹툰은 애니메가 아니라 보통 드라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본 애니메는 계속 살아남을 거고.
일본 게임은 잘 모르겠어.
일본은 게임 분야에서도 갈라파고스 경향이 있어서.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알라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김두부 22-12-13 14:28
   
다른건 몰라도 지브리스튜디오 퀄리티의 애니는 중국의 탁구처럼 따라잡기가 어려움. 따라잡고 나발이고 이기지 않아도 좋으니까 그런 퀄리티의 애니가 많이 나왔으면 좋겠음.
     
ficialmist 22-12-13 18:21
   
다른데서 안나오는건 미야자키 하야오 한명 때문이죠
그 한명이 다 이끌고 있어서 그 한명만 사라지면 지브리도 끝납니다
          
또돌이표 22-12-13 18:41
   
왜국을 너무 모르시네...
작가 죽어도 우려 먹습니다. 아따맘마던가? 짱구? 암튼 작가 죽었어도 나오잖아요.
아 물론 하야오의 스토리는 더 안나오겠죠.
               
나유키 22-12-13 20:58
   
짱구야 원작자가 죽은거라 애니야 충분히 더 나올수있죠
미야자키영감은 원작 애니메 모두 직접 만드시는분이라
하야오 영감 죽으면 더이상 그런작품 만들사람이 없긴 합니다
               
허까까 22-12-14 00:27
   
짱구는 윗분 말씀대로 우스이가 원작자인 것 뿐, 그 분 생전에 만들어진 tv 시리즈나 극장판 다 다른 감독들이 했습니다. 이는 도라에몽, 마루코 등 다 마찬가지고요. 심지어 그 드래곤볼슈퍼도 토리야마는 조언만 했을 뿐 제작에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체사레 22-12-13 14:31
   
잘봤습니다
뻥축구FC 22-12-13 14:31
   
일본 만화 따라 갈려면 멀었지 ㅋㅋ  질적으로 퀄리티나  일본만화는 넘사벽
     
Joker 22-12-13 15:28
   
몇 년 전만 해도 그렇게 생각했었는데 요즘은 격차 많이 줄었다고 보여집니다.
넘사벽은 절대 아님.
     
ficialmist 22-12-13 18:22
   
오히려 만화방 안간지가 더 오래됨
     
원형 22-12-14 03:14
   
나이들어서 성인이 되면 보통은 일본 망가에서 벗어서나 현실-드라마의 세계로 감.

여자들이 일뽕이었다가 한드에 미치게 되는 이유. 혐한을 유지하는 것도 드물지 않음.

그리고, 일본 문화 특유의 음습함이나 기타 등등이 만화에 그대로 들어있어서 한계가 옴. 일뽕은 예외
patron 22-12-13 14:37
   
요즘 뿌리나 미르같이 국새 애니메이션업계들도 발전 많이 했죠
게임업계에서 외주줘서 뽑아내는 홍보애니들만봐도 퀄리티가 장난아님
차츰차츰 웹툰을 드라마화 뿐만아니라 애니메이션화까지 하면
좀 더 매니아층들도 만들 수 있고 서브컬쳐쪽으로도 영향력 높일 수 있을듯
merong 22-12-13 14:41
   
'주간 shonen 매거진' 이면 '주간 少年 매거진' 일건데.
소년 잡지를 보는 연령이 30대이면 좀 암담하긴 하네.

소년중앙을 애들은 안보고 30대가 사본다는 뜻인건데...
10년지나면 40대만 본다는 뜻.
JaneDoe 22-12-13 14:55
   
저기도 일뽕들이 이를 악물고 쉴드치는건 똑같구나.
웹툰에서도 신선한 주제나 대작도 나오고, 망가에서도 진부한 양산형 쓰레기도 나오는거지.
저기 와패니즈들은 수준미달 이세계 전생물이 얼마나 많은지 모르는건가 모르는척 하는건가 ㅋ
파란새 22-12-13 14:55
   
접근하기 좋아서 웹툰이 결국 이길듯?
블랙커피 22-12-13 15:13
   
망가가 더 좋다고 이악물고 반박하는 애들은 다 일본인 혹은 서양 와패니즈 일텐데, 그래봐야 시대의 변화를 막을 수는 없지
레떼느님 22-12-13 15:16
   
애초에 한국 웹툰 작가들도 일본 망가 보면서 자랐던 사람들이라
일뽕이고 뭐고 웹툰 까보면 아직 일본소재 쓰는게 많은건 사실임.
망가나 웹툰 둘다 많이 본 사람들은 웹툰보면서 이건 일본애니 어디서 나왔던거랑 비슷하긴하네 하면서 볼때가 꽤 있음
gun맨 22-12-13 15:21
   
근데 일본대작 망가는 그 스토리라인이 엄청 대단한것은 사실이죠
     
블랙커피 22-12-13 16:06
   
그것도 다 옛말입니다. 대작이라 불리는 것들은 세월이 좀 흐른 작품들이고, 최근 작품중에선 거의 찾아보기 힘듦. 일본망가는 세대교체에 실패했다고 봐야함. 게다가 웹툰은 막 시작하는 단계임에도 이미 수익에서 망가를 앞질렀고, 돈이 되는 곳엔 인재도 몰리기 마련이라.. 10년안에 웹툰이 스토리나 작품성 측면에서도 망가 완전히 압도할거라 예상합니다
골드에그 22-12-13 15:29
   
잘봤습니다.
굿잡스 22-12-13 15:32
   
늘 초심을 잃지않고

즐기면서

한걸음 한걸음 부단히 정진하며 도전할 뿐.
토막 22-12-13 15:42
   
점점 웹튠으로 넘어갈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음.
그건 바로 작가의 수익.

종이 만화의 작가 수익은 인세 10%
우리나라 웹튠의 작가 수익은 매출의 70%

웹튠이 주간이 많고 분량도 많고 올칼라도 많아서 힘들겠지만.
70%를 준다는데 누가 불만이 있겠음.

실제로 월 1억원 이상 버는 작가가. 일본 만화작가보다 우리나라 웹튠 작가가 더 많음.
     
ficialmist 22-12-13 18:28
   
이게 한국 일본만 비교하면 그런데
미국같은곳은 또 시스템이 달라요

그동안 서양은 저작권 모두를 마블 같은데가 소유하고
 그림 작가에게 하청만 주고 그림 그리는 값만 주는게 미국 시스템이었는데 일방적으로 기업이 다 가져갔죠.

하지만 미국이나 서양의 작가가 대단한 스토리를 저작권을 가진 뭔가로 변환하려면 그동안 활자책 말고는 없었는데
이제는 그림으로 그려서(사실 이것도 개인이 하청 느낌으로 줄수있음) 본인이 저작권을 가질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준셈이라
한국뿐 아니라 서양 대작들이 쏟아질거임
     
ficialmist 22-12-13 18:31
   
일본과 같은 코믹스 시스템은 순전히 출판사의 픽을 받지 못하면 영원히 출판이 될수가 없어서
새작가의 등용도 쉽지가 않았었음

하지만 웹툰?

그냥 올려보고 사람들이 좋아하면 정식 연재임
나냠냠이 22-12-13 15:45
   
아시아의 백인..
오글거리는 인종론은 어딜가든 꺼내지는군..
인종을 떠나 똑똑하고 치밀한 넘이 세상을 지배하는 세상에서 아직도 인종으로 위로받나..
바두기 22-12-13 16:03
   
잘봤습니다.
akfnakfn77 22-12-13 16:11
   
산업 전체적인 금액에서는 차이 많이 납니다.
다만, 웹툰이 성장하고 있다는 방향에서 긍정적으로 봐야지 망가를 이겼네 마네 하는 단계는 아직 아닙니다.
와패니즈라는 게 아직도 굳건하고 오랜 기간 뿌리내린 문화기때문에 지금처럼 장기적인 로드맵 가지고 선도할 수 있게끔 해야겠죠.
일본이 뭐라도 앞서고 있다면 이 악물고 일빠 타령하는 사람들이 많겠지만 우리가 꾸준히 잘 발전하고 있지 않습니까? 앞으로 선도하는 것은 우리가 되가고 있는 시점이기때문에 성급할 필요 없다고 봅니다. 여러 분야에서 김구 선생님 말처럼 되고 있어서 뿌듯합니다.
     
lionking 22-12-13 20:05
   
산업전체로 비교하면 웹툰이 망가보다 압도적으로 큰 시장입니다
이미 매출규모가 두배에 달하는데 10년후에는 스무배를 보고 있습니다
비교 자체가 민망할 정도로 웹툰이 압살하는 시장입니다

아마도 애니화나 게임화등의 연계산업을 말씀하시려 한거 아닌가 싶은데
2d애니는 일본이 아니면 만드는 나라가 거의 없고 소비시장도 생각하시는 것만큼 크지 않습니다
물론 일본안에서는 매우 큰 시장입니다. 일본을 제외한 나라를 다 더해도 일본보다 작은 시장이거든요
일본을 떼고 생각하면 애니화를 해도 돈도 안되고 보려는 사람도 없다보니 안만드는 거죠

게임화는 물론 돈이 되고 매출을 극단적으로 뻥튀기시켜 줍니다
우리가 많이 따라잡아야할 부분인데 이게 IP의 힘이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가는 생각해 볼 부분입니다
우리도 우리의 만화를 가지고 만든 게임 리니지가 있는데
리니지 게임의 매출이 만화랑 크게 상관이 있을까요?
햄릿1 22-12-13 16:18
   
주제가 세계시장의 가능성 접근성 등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오히려 가생이 댓글에서 안된다 힘들다 멀었다 이런말을 하고 있다는게 머때문에 화가나신건지들
RaSin 22-12-13 16:19
   
웹툰 분량 늘이기는 나도 별로 안 좋아하긴 하지만
옛날 드래곤볼 애니메이션도 경험해본 입장에선...약과임.

오오오오오~하고 기 모으느라 5분 서로 눈빛 교환하느라 5분 한번 부딪히고 여러컷으로 5분 이런 식으로
만화책에선 몇페이지 짜리에 불과한 전투씬을 애니메이션에선 20분짜리 몇화동안 보고 있노라면 인내심의 한계가 뭔지 깨닫게 됨.
     
빈빈 22-12-13 21:47
   
ㅎㅎㅎㅎㅎ
리얼하게 설명하셨네
     
merong 22-12-14 08:22
   
만화책도...
슬램덩크, 이쪽 코트에서 저쪽 코트까지 뛰어가서 슛한번 쏘는데 한권이었던거 같은데요.
     
냐옹냐옹 22-12-15 21:26
   
진짜 동감요.
애니 끊은지 몇년됬는데, 끊은 이유가 애니들이 노잼된것도 있고,
원피스를 예를들면 뭔놈의 과거회상 장면이 그리많은지,  과거회상 없는 편이 드물정도로 스토리 몇분 진행하다가 과거회상, 또 다음편에 지난편 또 회상.
회상 회상. 그외 다른 애니들도 여러 다양한 이유로 인내심 테스트하길래
현타와서 끊었죠.
인천쌍둥이 22-12-13 17:02
   
망가는 결국 노인들의 문화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요즘 아이들은 스마트폰으로 웹툰을 본다.
정답
오순이 22-12-13 17:13
   
변화를 무시하고 지금을 지키려고만 하는 모습들..
저러다 쪼바리들이 훅 가죠..
매번 같은 일을 반복하는 쪽본..
지금 누가 시장이 큰가 누가 잘 그리는가 이런건 문제가 아님..
세상은 변하고 그것에 대처를 못하면 그냥 갈라파코스 밖에 없다는  거죠.
발자취 22-12-13 17:40
   
잘 봤습니다~
끠이이이 22-12-13 18:26
   
근데 웹툰 1세대가 고생하면서 아우토반급으로 길 닦아놨더니 지금은 무지성 트짹 페미들이 판 먹어가고 있죠.
무좀함대 22-12-13 18:36
   
여기 몇몇분들이 아직 일본만화를 이기긴 힘들다고 하시네 ㅎㅎ 전체 시장규모를 보세요. 질적차이를 시장규모가 깨버린지가 언제인데 그런 이야기를 하시는지? 본문에서도 나옵니다. 웹툰시장규모는 이미 망가시장보다 2배 커요. 거기서 질적차이는 점점 좁혀집니다.
밥주세요 22-12-13 18:46
   
일본 만화책 안 본지도 오래됐네요. 최근에 드래곤볼  요약된 거 보니 캐릭터도 ㅄ 다됐고 내용도 개판이더라고요
딱 셀까지가 좋았던 거 같음. 시간이 문제지 웹툰이 이기게 되어있음
ㅇㄹㄴ 22-12-13 18:49
   
잘봤습니다
EIOEI 22-12-13 19:18
   
웹소설 ↔ 웹툰 ↔ 드라마&영화&애니(ott포함)으로 만들고 있고 드라마 본 사람이 웹툰 보고 소설까지 읽는 구조
재벌집 막내아들 같은 케이스가 많아지고 있음. 따라서 웹툰이나 드라마로 충족되지 않는 복잡한 이야기 구조 같은 건 소설을 보면 됨.
Pelorus 22-12-13 19:33
   
웹툰과 망가의 차이점은, 웹툰의 드라마화는 대박을 치지만 망가의 드라마화는 쪽박을 찬다는것
     
원형 22-12-14 03:17
   
그건 일본 영상제작이 폭망수준이라서 그러는 것
스베타 22-12-13 19:53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 붙잡고 자위 하는게 꼭 니뽕 망해 가는거 보는거 같네.
5년안에 아니 5년도 길다 3년 안에 웹툰이 완전 석권 할듯.
둥굴레차 22-12-13 19:59
   
아날로그 망가(흑백) vs 디지탈 웹툰(칼라)
시대의 흐름으로 점차 망가는 쇠퇴할것이고 웹툰이 뜰것이다.
이번에도 일본은 시대의 흐름을 못타네.
가출한술래 22-12-13 20:01
   
잘봤습니다.
피곤한디 22-12-13 21:22
   
일본은 작가 복지가 너무 좋아서 1화에 한달씩 걸려서 점점 안보게 됨.
이제 완결전에 작가가 죽던지 독자가 죽던지 하는 경우가 엄청 많아질듯.
한국은 작가들 쥐어짜서 복지가 너무 열악함;; 한국 웹툰작가 bbc 인터뷰 한거 봤는데 너무 안쓰럽;;;
     
허까까 22-12-14 00:39
   
일본 작가들 복지가 좋다고요? 토가시는 유유백서 때문에 호텔에 감금되다시피 했고 브론손은 편집자-출판사의 압력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연재 늘리다가 스스로 작품을 말아먹었습니다. 그 밑에있는 문하생이나 인턴들은 완전 초열정페이이고요. 그리고 이는 현재진행형입니다.
     
팬텀m 22-12-14 01:28
   
일본에서 연재해본 작가가 한국웹툰 시스템 일본작가에게 말해도 그렇게 형편좋을리가 없잖냐면서 다들 안믿었다고...
허까까 22-12-14 00:35
   
jkpatches

기사를 보지 못했지만 한국과 일본을 비교해보고 싶어.

일본 문화가 미국에 정착하기까지 수십년이 걸렸어.

반면 현재의 기술때문에 한국문화는 큰 도움을 받은거고.

모든 사람들이 유튜브, 넷플릭스, SNS를 보니까.

일본은 아날로그 방식이었기때문에 늦게 확산된거고.

일본도 기술의 도움을 받았다면 오늘날 한국보다 더 많은 인기를 얻었을거야.

ㅡㅡㅡㅡㅡ

저는 이런애들만 보면 너무 답답하네요. 일본은 아날로그 시절이라 확산하지 못 했다? 한국은 인터넷 등 기술 발달의 덕을 봤다? 그 기술 덕을 우리만 보나? 이게 뭐 저작권이 있는 것도 아니고 sns, 유튜브 다 세상 공평한데.

'왜 유독 한국만이 이 기회를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었나'를 생각해야지 원인은 개나 줘버리고 결과만 보고 떠들어대는 꼴이라니..
팬텀m 22-12-14 01:27
   
웹툰은 인싸들의 문화
망가는 아싸들의 문화

한국은 웹소설 -> 웹툰 -> 영화(드라마)체제
일본은 망가 -> 애니 -> 캐릭터상품 체제
Tobi 22-12-14 01:42
   
잘 봤습니다..
자기자신 22-12-14 03:16
   
잘 봤어요
호밀빵 22-12-14 03:57
   
정치적 개입이 없다면 언제나 돈이 이긴다.
이미 일본의 젊은 만화가들이 빠르게 웹툰으로 이동 중이다.
carlitos36 22-12-14 09:22
   
잘봤습니다...
에페 22-12-14 16:27
   
잘 봤어요
에페 22-12-14 16:27
   
이젠 웹툰 퀄리티를 올려야함
로버 22-12-14 16:57
   
솔직히 아직 만화 업계가 일본과 비교하면 갈길이 먼 것도 맞음. 물론 지금까지 웹툰이 선전한거고 히트작이 미디어화가 잘 된다는 점은 좋은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