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유머게시판
 
작성일 : 15-08-27 10:51
[기타] 선행학습의 부작용
 글쓴이 : RedOranG
조회 : 2,160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공학남자 15-08-27 12:41
   
와....이건 짐심 소름이다.
만약 내가 자녀가 있다면 아니 앞으로 생긴다면 저렇게 교육을 시켜야겠다.
진진 15-08-27 13:25
   
오.. 그렇구나
Nice 15-08-27 13:29
   
수학쪽만 저러고 나머진 선행학습이 좋은점이 더 많음
fanner 15-08-27 14:32
   
공부를 잘하거나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보면 자기만의 식으로 추론해서 답을 얻는
퀘감이 무엇보다 크다고 합니다.
그런식으로 보면 공부를 좋아할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게 된다고도 볼수 있네요.
미스트 15-08-27 15:38
   
그랬군요. 어릴 때 수학을 좋아하고 잘했는데, 그 계기가 된 게 문제 하나를 풀려고 3일동안을 끙끙대다가 푼 이후였거든요. 저는 그 이유가 막연히 성취감 때문이라 생각했었는데, 지금 보니 저런 추론과정에서 재미를 느꼈기 때문이었던 거군요.
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일경 15-08-27 17:02
   
맞으면서도 틀린게 됨

선행학습이 꼭 추론능력을 죽인다고 볼 수 없기때문임.

물론 선행 학습이 좋다고 생각하진 않음.

하지만, 선행학습과 추론능력의 관계를 너무 단편적으로 설명해 왜곡의 여지가 너무 큼

기본적으로 연립 방정식도 문제를 읽고 미지수를 스스로 할당하고 스스로 방정식을 찾는거 자체가 스스로 생각하는것임.

연립 방정식을 주고 풀라고 하는것과

어떠한 문제를 상황으로 설명한 글 읽고 스스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리학적 수식을 만드는건 커다란 능력의 차이임.

초등학생이 그걸 스스로 해결 할 정도면 이미 저기서 말한 하나씩 사람과 소의 숫자를 비교해가는 과정 자체가 필요 없는 아이임.

그러니 그 아인 대학을 좋은 점수로 들어갈 것입니다.

대부분 수학을 못하는 아이들은 문제를 못 푸는게 아니라 문제를 읽고 그것을 수리학적 수식으로 바꿀 줄을 모릅니다.

그리고 그런 능력은 수많은 연습과 자신 스스로의 생각과 고찰을 통해 수식을 만드는 겁니다.

단순히 숫자로된 문제를 푸는게 아니라 지문을 읽고 그걸 해결 할 정도의 능력이면 이미 선행학습이 필요한 아이죠. 남들보다 이해하는 속도가 빠르니..


간단히 말해

누군가는 본문 글을 읽으면서 저 강사가 말하기전에

그걸 연립방정식 수식을 먼저 머리속에 생각했을것이고

누군가는 보면서 그걸 연립방정식으로 풀 생각을 아에 못 했을것임

똑같이 초중고 나왔지만, 결국 수리학적 해석 능력에서 차이가 남.

이건 선행학습과 관련이 있는것인가?
솔직히 15-08-27 20:38
   
체력훈련할 나이에 기술가르치는 한국축구 이야기인 줄 알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