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유머게시판
 
작성일 : 18-04-29 21:43
[기타] 이거 계산하면 얼마에요???
 글쓴이 : 마할할
조회 : 7,860  

6÷2(1+2) = ?


이거 답이 뭔가요???

=================(수정)=========================
(추가 질문 드립니다.)

답이 1이라는 분과 9라는분이 계신데

그러면 

y÷2x =  의 답은

y/2x 아닌가요?

그러면 답은 1이 되는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나이퍼J 18-04-29 21:47
   
9 아닌가여? 괄호안을 하나의 숫자로 보면요...  2랑 괄호 ( 사이에  x 부호는 생략되었구요..

6÷2x3=9
     
즈믄다솜 18-04-29 21:53
   
흠.. 정답이 9일수도 있구요. 1일수도 있구요. 0은 어떻게 나오는거죠?
          
스나이퍼J 18-04-29 21:58
   
0은 절대 안나오죠...  아랫분께서 순간 착각하신것 같네요.
전쟁망치 18-04-29 21:47
   
0 같은데요?
     
마할할 18-04-29 21:49
   
1이면 1이지 0은 아닌거 같은데요???
          
전쟁망치 18-04-29 21:52
   
1 맞습니다... 나머지를 몫으로 착각 했네요
     
전쟁망치 18-04-29 21:52
   
정정 합니다 9 로 하겠습니다
겨우리 18-04-29 21:47
   
괄호 앞에 숫자와 곱셈의 우선순위 문제인데...
계산기에 따라서 다른 결과도 나오고...
나라에 따라서 다르게 가르친다고도 하죠...
6 / 6 = 1
이라고 대답하는 나라도 있을겁니다.
알브 18-04-29 21:49
   
개인적으론 1 이라고 생각하는데 사람마다 답이 다 다르더군요.
전 괄호안 우선-괄호 밖 생략된 곱셈은 괄호안 숫자와 뭉터기로 계산-나눗셈 계산 순으로 봤어요.
냠냠이 18-04-29 21:53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의 주장에 의거하여
답은 9입니다
예상했었다 18-04-29 21:54
   
나눗셈을 역수의 곱셈으로 바꾸면 6/2(1+2)=1 아닌가요.
     
사이공 18-04-29 22:42
   
1.갈호 먼저
2. 곱셈및 나누셈 순서대로
3. 덧셈및 뺄셈 순서대로
그래서 9 인것 같아여
     
Misue 18-04-29 23:31
   
그리고 그  6/2(1+2)=1

이렇게 되려면 2 와 (1+2) 사이의 곱셈이 우선순위가 더 높아야지만 가능한겁니다.
실론88 18-04-29 21:59
   
잘못된 문제라고 본거 같네요...
간다고 18-04-29 22:00
   
6/2*(1+2)=9
간다고 18-04-29 22:01
   
1이되려면 6/(2*(1+2))가 되여아죠
겨우리 18-04-29 22:03
   
6 / 2 * (1+2)  로 본다면 9이고
6 / (2 * (1+2) ) 로 본다면 1이죠
생략된 곱셈에 대한 정의가 나라마다 다릅니다.
     
Misue 18-04-29 23:15
   
응? 누구 맘대로 없던 괄호를 집어넣으신거임 ???
간다고 18-04-29 22:04
   
계산 순서의 의거하면 다른 값이 나올 이유가 없는 문제인듯
50드론러쉬 18-04-29 22:05
   
통상적으로는 9가 맞죠
거의 모든 수학관련 소프트웨어나 계산기가
9를 산출할겁니다

대수의 상수배는 그러니까 '2*x'는 '(2*x)' 취급합니다.
사실 대수식이라는게 곱해진 상수까지를 하나의 수로 봅니다
공학분야에서 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일종의 관습이자 규칙이고
엄밀한 수학은 몰라도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로서는 오류까지는 아닙니다
제가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학회 같은데 가면 가끔 Ti계산기 이미지 따와서
PT하는 경우가 있는데 다들 9가 산출되는 메커니즘으로 이해하고 잘 넘어갑니다

동북아시아란 말도 엄밀하게는 틀린(?) 말이지만
통상적으로 소통에 문제없이 잘 쓰잖아요
곰굴이 18-04-29 22:06
   
숫자와 숫자 사이의 곱셈, 나눗셈의 생략은 수학적으로 오류입니다.

오류인 문제로 왈가왈부 하는건 안구와 뇌 낭비 입니다 ㅋㅋ
분당가수 18-04-29 22:14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사라짐?
2x3이 먼저라는건 이해가 안되네
메밀차 18-04-29 22:16
   
우리나라 교육과정 상으로는 곱셈, 나눗셈 계산에서는 앞에 것을 먼저 계산한다고 배우는 걸로 압니다.
배신자 18-04-29 22:25
   
유명한 수학교수가 저 문제는 오류가 있다고 얘기했음.

정말 몇년전부터 떠돌던 오류문제를...
솔직히 18-04-29 22:28
   
6÷2×3 인데
이걸 분수로 바꾸더라도

6/2  ×3이지
6/(2×3)은 아닙니다.
무얼원해 18-04-29 22:41
   
괄호먼저
1
     
은페엄페 18-04-30 10:07
   
ㅋㅋㅋ 그걸 가지고 얘기하는게 아닙니다...
개생이 18-04-29 22:44
   
오래전 공식으로는 9요.
     
개생이 18-04-29 22:47
   
그리고 수학선생에게 빳다 70대 맞고는 포기요.  그 선생 아니면  인생이 변했을지도.....근데 왜 때린거야?
Misue 18-04-29 23:13
   
뭐여 ㅡㅡㅋ 그냥 9지 누가 1이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1+3) 사이에 있는것이 생략된 기호라고 했을때
그 생략된 기호는 일반적으로 볼때 함수 기호가 아니라 사칙연산의 x 곱하기 이고.

그리고 곱하기 일때는 우선순위가 적용되지 않아서 그냥

6 ÷ 2 × ( 1 + 2 ) 로 9임 ㅡㅡㅋ

이걸 1이라는 애는 그냥 답이 없는듯.

우리나라가 아니라. 저 공식 그대로 컴퓨터 프로그램에다가 넣어도 9임 =ㅅ=;;
담양죽돌이 18-04-29 23:13
   
1 입니다 2(1+2)는 2(3)인데 그러면 결국 6÷2(3) 이 되는데 연산기호가 없는 2(3)은 한몸으로 봐야 됩니다.
만약 거기에 6÷2×(1+2) 였으면 9가 되겠지만 2(1+2)인 이상 결국 6÷6이 되어 1이 답이됨.
사실 이문제는 오류가 맞습니다만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가르칠때 위처럼 연산기호가  없는걸 우선 계산
하라고 가르치기 때문에 답은 1이라고 보는게 맞을듯.....
그러나...저문제가 수능에 나온다면.......헬게이트가...
     
Misue 18-04-29 23:21
   
÷ 를 어떻게 할것인가.

2X 라는거는 결국 2 곱하기 x 인건데.

위의 대수식이니 뭐니 말이 많은데

2(1+2)가 하나의 상수로 취급되려면 처음부터 (2(1+2)) 로 들어가야 됩니다.

즉.  6 / (2X) 로 표현되야 됩니다.
일상적으로 하나의 변수로 취급될때 (즉 하나의 파라메타) 괄호를 붙여야 되지만
편의상 2X로 적는겁니다.

거기다가

2(1+2)를 하나의 식으로 간주한다면 처음부터. 그에 대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만약에 위의 식이 (2(1+2)) 였는데 편의상 생략했다고 표현을 해야되죠.

하지만 그냥 일반적으로 2(1+2) 라면
온점( · ) 곱하기로 취급된다면 6 나누기 2 곱하기 ( 1 더하기 2 ) 가 될뿐입니다.
          
담양죽돌이 18-04-29 23:25
   
그렇죠 대부분 사람들이 저걸 1이라고 하는 이유가 단순 사칙연산
이후에 배우는 방정식때문입니다. 결국 X÷2Y에서 X=6, Y=3 일때 답은 1이라고
방정식을 배우면서 배우기 때문에 대부분 답을 1로 쓰는 겁니다.
사실 저 자체만 보면 오류라 답을 둘다 맞다고 하겠지만
실제 고등학생에게 저문제를 풀어 보라고 하면 대부분 1로 쓸겁니다.
               
Misue 18-04-29 23:28
   
뭐가 그렇죠 에요 ㄱ-;;

사칙연산이 모든 연산 중에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연산인데요.
그리고 방정식은 변수를 이용해서 결과값을 구하기 위한 포뮬러일 뿐입니다.

 X÷2Y 라고 표현되는건 2Y 자체가 (2Y) 를 의미하기 때문에 그런겁니다.
변수이기 떄문에 가능한 표현인거죠.

하지만 저 식에서 2와 (1+2) 사이에 생략된것이  변수의 배수를 의미하는지 일반적인 연산을 의미하는지 적혀있지 않다면 우선적으로 사칙연산으로 보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변수라는건 영어로도 VARIAVLE 인것은 변하는 숫자기 떄문이고요.

근데 (1+2) 는 변수가 아니라 그냥 상수일 뿐입니다.
                    
담양죽돌이 18-04-29 23:32
   
하아.....저 문제가 오류라는 걸 모르시는 분인거 같은 느낌이....
                         
Misue 18-04-29 23:32
   
저 문제의 오류는 2(1+2) 가 변수에 상수값을 입력한 것인지
일반적인 상수인지를 표현 안한게 오류인것이지.

식 자체가 오류인건 아니란 소리에요.

ㅡㅡㅡ

즉  X÷2(a+b) 가 문제 였는데 변수에
6,1,2가 들어간건지

혹은 원래부터 6÷2(1+2) 였는지에 대한 멘트가 하나도 없었다는게 오류라는겁니다.

즉... 식이 오류가 아니라 저 질문 자체가 잘못된 질문이라는거죠.
그런데도 굳이 답을 구하자면. 일반적으로 9가 맞는데

저게 Fx 였다면 1이 맞을수도 있다가 되는겁니다.

fx 는 함수
                         
담양죽돌이 18-04-29 23:43
   
ISO 80000-2(국제표준화기구)에 따르면 수식에서 곱하기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오해의 소지가 없는 경우'다. 이 식은 '6÷2×(1+2)'와 '6÷{2×(1+2)}'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오해의 여지가 있는 이 식은 곱하기를 생략할 수 없는 경우다.
수학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식이다.
여서 원래는 x 를 생략해서는 안됩니다. 그래서 오류 인거에요. 벌써 몇년전에 결론이 난 얘기임. 뉴스까지 나옴....

하지만 대부분이 방정식을 배움으로 인해 후자와 같은 계산을 많이해서 1이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다는 겁니다.....
                         
Misue 18-04-29 23:52
   
그러니까 일반적으로 9가 맞는거고.
함수가 된다면 1이 맞다는 겁니다.

수학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식이라기보단 질문 자체가 잘못된거다라고요.

식은 곱하기를 생략할 수 없는 경우다.
수학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식이다. <-- 라는 말은
식이 올바르지 않다는게 아니라. '수학적' 으로가 적용되지 않다는것.

즉 식의 문제가 아니라. 질문 자체의 오류라는 겁니다.
< 오해의 소지가 없는 경우'다. 이 식은 '6÷2×(1+2)'와 '6÷{2×(1+2)}'로 해석될 수 있다 >

말을 돌려말하면 영 이해를 못하시는듯;;

그리고 방정식의 문제가 아니라 함수인지 아닌지가 중요한겁니다.
                         
쌈바클럽 18-04-30 00:48
   
설명 감사합니다. 덕분에 알아가네요.

제가 셈에 어둡다보니 저도 모르고 2(1+2)를 앞선 6보다 하나의 숫자로 인식하다보니...
저도 모르게 1을 생각하게 됐습니다.

수학은 그저 답이 분명하고 명확하다고만 생각했는데 말씀을 듣고보니 수학은 명확하더라도 수식은 일종의 언어적 약속이니 혼선을 주는 수식은 잘못된 문법 사용만큼 보는이의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말씀인듯 하네요.

어릴때 누가 수식이 어떤 의미인가를 차분히 가르쳐 줬더라면 좋았을텐데...
전 이런식으로 처음 생각해봤어요. 정말 잘 배웠습니다.
                    
담양죽돌이 18-04-30 00:00
   
그러니까 아까부터 제가 말하던게 저 문제 자체가 오류가 있는 문제지만
대부분 방정식을 배우면서 답을 1이라고 생각한다고 몇번이나 얘기 했는데.....
혹시 본인은 9인줄 알았는데 제가 대부분이 1이라고 생각한다고 해서 그러시는 건가요???
에혀...내가 왜 계속 답글을 달고 있지...
뉴스까지 찾아가면서...
                         
Misue 18-04-30 00:05
   
그러니까 대다수가 1이라고 해서 1이 일반적인것이 되는게 아니라.

일반적으로 9고 경우에 따라서 1이 되는거라고요.
-_-;;

웰케 사람 의도를 못알아 들으심?

님은 대다수가 1이라고 하기에 1이 일반적인거고 9가 될수도 있다 이거고.
전 9가 일반적인거고 경우에 따라서 함수로 적용되면 1이 될수도 있다가 된다고 한겁니다.
순서가 달라요 순서가.
                         
마시마로5 18-04-30 13:49
   
수학 15년째 가르치는데요. 담양죽돌이님이 맞는 말씀하셨습니다. 맞고 틀리고 떠나 고딩애들 대부분 1로 생각하니 일반적으로 9라는건 틀린말 같습니다.
     
은페엄페 18-04-30 10:10
   
6÷2(1+2)
이건
6÷2X(1+2)와 같은거죠
6÷2X3 입니다.

---------------------------
저도 처음에 순간적으로 1로 계산했는데요
그렇게 계산이 될려면
6÷[2X(1+2)], 6÷[2(1+2)]
이렇게 되야죠
          
담양죽돌이 18-04-30 11:07
   
ISO 80000-2(국제표준화기구)에 따르면 수식에서 곱하기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오해의 소지가 없는 경우'다. 이 식은 '6÷2×(1+2)'와 '6÷{2×(1+2)}'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오해의 여지가 있는 이 식은 곱하기를 생략할 수 없는 경우다.
위에 댓글에 달았는데 못보신거 같아서....결국 저수식은 x 를 생략하면 안되는 오류있는 수식이라는....
이미 뉴스에 까지 나온문제임.
불짬뽕 18-04-29 23:13
   
y÷2x =  y÷2*x 죠.

y/2x 가 되려면 y÷(2*x) 라야죠.
     
담양죽돌이 18-04-29 23:20
   
님....
y÷2x = y/2x 입니다.
먼가 잘못 알고 계신듯.....숫자로 보면 오류가 맞지만..
그게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오류가 아니랍니다.
누구도
y÷2x = xy/2 라고 하는 사람은 없음....
뇨뇬 18-04-29 23:16
   
왜 수학에 영어가있죠?
말좀해도 18-04-29 23:26
   
문제 자체가 오류라고 끝난거 아님?
zzag 18-04-29 23:40
   
1. 괄호내 우선
2. 연산호 생략항 우선
3. 가감 보다 승제 우선
(4. 좌항 우선)
아비요 18-04-29 23:47
   
1입니다. 나누기 부호는 넣고 곱하기 부호를 안넣은거라 뒤의 (1+2)는 나누기의 밑변에 속해요.

9가 되려면 곱하기 부호를 생략했으면 안되죠.
ggggbaby 18-04-30 00:16
   
자연수 연산인데, 당연히 연산자를 생략할 수가 없죠. 문제 자체의 오류.
방정식과 같은 변수가 포함된 계산식만 곱셈연산자 생략이 있을 뿐이라서.
논란이고 뭐고 말할 필요도 없는 출제자가 등신 머저리.

6÷2×(1+2) 또는 6÷{2×(1+2)} 라고 정확한 수식을 썼어야 오류가 없죠.
수식 자체가 잘못됐으니 정답이 나올 수가 없는 상황.


변수와 달리 자연수가 연산자 생략이 불가능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만약 본문의 수식을 허용하게 된다면 수학의 체계 자체가 무너져요.
23 = 2×3
이런 식이 허용된다는 겁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36890 = 3×68×9×0 = 3×6×890 = ...
이 정도 표현하면 왜 본문의 식이 잘못된건지 아셔야죠.
자연수 연산과 변수 연산은 전혀 다른 겁니다.
변수 연산방식을 저런 식으로 적용하면 큰일이 나는 거죠.
JJUN 18-04-30 00:22
   
1아닌가요???
이젠 산수도 못하는구나....ㅠㅠ....
말자김 18-04-30 01:09
   
참 이상한 사람들이네..
문제를 엿같이 낸 사람한테 따져야지.
이게 맞다 저게 맞다 지들끼리..싸우고 있네요
1이든 9든 문제가 정확한 답을 못내는 오류인데.
문제를 낸 사람에게 따지면 어떻게 의도한 문제인지 뭐를 빠트렸는지..답을 줄텐데.......
참.. 답없는 사람들...
누가누가 아는척 잘하냐 내기임?
     
담양죽돌이 18-04-30 02:01
   
이분말이 정답이네요...괜히 열냈음...ㅠ..ㅠ 반성중...
초콜렛 18-04-30 01:19
   
1인데요. 최소한 정규교육을 제대로 받았다면 1입니다. ㅡ.ㅡ
글로발시대 18-04-30 01:31
   
자연수의 사칙연산 법칙은 위에서 몇분이 말했듯이, 괄호 우선->곱셈, 나누셈 우선->좌에서 우로.
6 / 2 X (1 + 2)
6 / 2 X 3
3 X 3
=9

그런데 많은 분들이 문제의 오류로 지적한 부분이 바로 자연수 간 사칙연산인데 곱셈 기호를 생략했다는 부분입니다.
이걸 생략해버리면, 2(1+3)부분이 한몸뚱이처럼 먼저 계산이 돼야해요.
이렇게 순서가 달라져버리면 답이 1이 나오는거죠.
저도 처음에 1이 답이라고 생각했는데, 곱셈 기호 생략된걸 제대로 써넣으니까 순서가 앞에꺼부터라 답이 9인걸 이해하게 되더라구요.
fanner 18-04-30 01:54
   
이거는 당연히 2(1+2)를 먼저 계산 해야하는것 아닌가요?
2*(1+2) 가 아니니 2가 (1+2)에 종속되어있는거니 당연히 계산되어야죠.
우까자까 18-04-30 02:15
   
사칙연산
우선순위
괄호, X / , +- 순과
교환법칙
적용하면
당연히 1 아님니까?
로마전쟁 18-04-30 02:17
   
1입니다

일단 괄호부터 풉니다 3이 나오죠. 그럼 6/2(3) 이 되죠.

사칙연산에선 곱센 나눗셈 덧셈 뺄셈 순으로 계산합니다 고로 2(3)부터 계산합니다

그럼6/6 이고 답은1이 되죠.
나기 18-04-30 02:20
   
어린애들 사칙연산이 논란감이 되나요? 그냥 1입니다.
진로 18-04-30 02:55
   
6/x(1+2)
6/(x+2x)
6/3x
2/x
잔잔한파도 18-04-30 03:34
   
괄호 우선의 규칙을 적용해서 1.
NightEast 18-04-30 04:14
   
1
x로 표시한게 아니라 붙은건 당연히 한덩어리 취급 먼저죠;;
초딩때 배우는거 아닌가요?;;
KPoping 18-04-30 04:44
   
저도 1이라고 생각했는데 ㅋㅋ
alex79 18-04-30 10:05
   
그냥 봐도 1 ...
금방 공학용 계산기로 계산 해보니 1..ㅎㅎ
담배문순이 18-04-30 10:20
   
보통 2(1+2)는 한몸으로 생각하죠.  2+4를 괄호로 묶어놓은 거라 생각하기때문입니다.
깁스 18-04-30 11:04
   
사칙연산이 바뀌지 않았을터인데 댓글들이 ㅎㄷㄷㄷ
타디온 18-04-30 11:46
   
문제의 오류 때문에 전부 정답처리 됩니다..
중도가자 18-04-30 15:09
   
난 아무리 봐도 1이다;;;
어찌 풀어야지 9가 되는지 모르것네
2(1+2) 분에 6 이잖아 분수로 쳤을때
그럼 딱봐도 1이나오는디...
왕빨 18-04-30 20:34
   
1이잖아요..우선 순위가 있잖아요 괄호안에 더하기가 1순위 그담에 2곱하기3이 2번째 순서이고
이거 그냥 다 아는거 아닌가..초등학생도 다 푸는 문제인데..ㅋ
길라이 18-04-30 22:50
   
미제, 일제 공학 계산기 두개로 해봤는데 다 1로 나오네요.
팩트여행 18-05-01 00:11
   
이것참 간단한것 같은데 댓글들 보니 어렵네요.
역시 수학은 논리가 필요하군요....
베라딘 18-05-01 00:36
   
6/2(1+2)

만약 이걸 고쳐서

6/2x 라고 쓰면, 답은 뭘까요?

3/x가 되겠죠.

x는 3이죠? 그러니까 3/3이 되죠.

답은 1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