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유머게시판
 
작성일 : 15-01-12 09:56
[기타] CES에서 보여진 헤드라이트 신기술
 글쓴이 : 암코양이
조회 : 4,749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마이크로 15-01-12 10:12
   
우와~~~~~
LikeThis 15-01-12 10:25
   
위 영향은 시뮬레이션 영상이고, 실제로는 저렇게 잘 안됩니다.
위 영상처럼 도로의 라인과 앞에서 오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저 정도로 빠르게 인식 가능하다면...
라이트 기술보다 자동항법 자동차가 먼저 나왔어야 정상이죠.
     
포맥스 15-01-12 11:44
   
자동차를 인식하고 그에 맞춰서 주행을 하는것과 간단히 그쪽으로 헤드라이터를 쏘지 않는 것과는 차이가 있는 관계로 불가능은 아니라고 봅니다
     
리들리 15-01-12 12:01
   
뭔 소리임

위에 이미지가 영상으로 시뮬레이션 하는건데, 실시간으로 잘만 되는데요? -_-

게다가 이미 무인자동차는 몇년전부터 시행 가능했음. 무인자동차 경기도 미국사막같은 험지에서 진행되는 대회나, F1 서킷에서 진행되는 대회 등 다양한 대회가 열리고 있고, 이미 구글은 시험양산해서 몇몇 직원이 출퇴근용으로 타고 다님.
아직 안나오는 이유는 제도적인 문제와, 대량생산하기 위한 여러가지가 준비가 안된것뿐
          
LikeThis 15-01-12 16:53
   
자동항법 자동차가 아직 안나오는 이유는 제도적으로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그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실시간으로 도로와 장애물을 인식하는 기술이 아직 완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 시뮬레이션 영상도 시연을 위해 최적의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장치일 뿐이지... 돌발적 환경에서도 완벽히 작동함을 보장하는 영상이 아닙니다.
컴퓨팅 기술이 많이 발전했지만, 아직 저장도의 해상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오차없이 영상처리하기엔 딜레이가 생깁니다.
저 영상에서는 심지어 자동차 뿐만이나라 도로의 굴곡까지 실시간 처리하네요. 그리고 전방에서 오는 자동차가 한번에 5대 이상 포착된다면... 완전 후덜덜한 처리 속도를 요구하게 됩니다.
저 영상처럼 딜레이 거의없이 구현하려면 왠만한 고급 승용차 한대값으로 컴퓨터를 집적해 넣어야 할겁니다.
단지 스마트한 상향등을 위해서 말이죠.
그리고 만약 저 스마트 상향등이 0.5초 이상의 딜레이가 발생한다면 앞에 오는 자동차는 죄다 순간적 실명 상태가 될거에요.
               
일경 15-01-12 18:07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금 현대의 기술을 너무 우숩게 생각하시는군요.

국내에서 대학단위로 하는 무인자동차 대회가 있는데 그거라도 영상을 찾아 보시는게 어떨까요..

국내 대학 수준만 해도 비포장도로, 긴급상황, 다수의 장애물 인식, 스스로 상황파악을 하여 경로를 찾는 기능등 이미 우리가 상상하는 수준을 넘어 섰습니다.

단지 상용화가 힘든건 사람이 실수로 사고를 낸건 사람 탓이지만, 사람보다 안전한 무인차가 0.01% 사고율이라도 가지고 있다면 이는 자동차 회사의 책임이 돼기때문이죠.

본문에 쓰신 전방에서 오는 차가 한번에 5대 이상이 포착된다면 후덜덜한 처리 속도를 요구 한다고 하셨는데.. 님이 들고 다니는 스파트폰은 그보다 수십만배의 처리 속도를 보여 주는 물건이니 너무 손떨지 마시길 바랍니다.

이미 하드웨어는 우리가 영화속에서 보던 시대에 가까이 왔습니다.

단지 소프트웨어와 가격의 합리성이 못 따라 온것일 뿐입니다.

지금 우리가 어느정도의 세상에 살고 있는지를 확실히 느끼고 싶으시다면

미국의 뉴욕시 테러방지체계에 대해 한번 알아보시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당신이 집 대문 밖으로 나가는 순간부터 다시 들어오는 순간까지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컴퓨터가 자동으로 추적해 줍니다. 뉴욕시에 활동하는 수백만의 사람을 모두요.
거기에 모든 자동차도 자동 추적이 돼죠.

이미 카메라 기술과 컴퓨터의 연산기능은 SF영화에서 볼법한 능력을 갖추었습니다.
                    
LikeThis 15-01-12 22:27
   
ㅎㅎㅎㅎ
그러니까 구체적으로 어떤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그런게 가능한가요?
적어도 지금까지 제가 공부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으로는 다수의 고속의 사물을 실시간에 가까울정도로 추적하는건 불가능합니다만...
수천만원짜리 컴퓨터로 10대 정도의 카메라를 달아서 처리한다면 실시간 비슷하게 보일법도 하겠지만...
도무지 감이 안오네요.
영화를 너무 많이 보신건지 상상력이 뛰어나신건지 모르겠지만...
지금 대학들에서 연구하고 있는 무인자동차는 특정한 환경에서 제한적인 부분만 통제가 가능한 수준입니다.
비포장길이나 차선이 지워진 도로에서는 영상만으로는 경로를 찾지 못하며, 너무 멀리서부터 다가오는 자동차의 경로를 예측하려하면 연산이 지나치게 많아지고 복잡해져 일부러 카메라가 특정 거리 이상을 찍지 않도록 시야각을 조절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위 영상에서와 같은 스마트 상향등에 필요한 정도의 반응속도를 요구하는 기능도 없습니다.
구글에서 연구하고 있는 무인자동차의 경우 대부분 GPS와 지도데이터를 참고하여 운행하고, 영상으로는 신호등과 보행자 같은 근거리 장애물과 주변 자동차들의 움직임을 파악해 브래이킹과 악셀링 타이밍을 살필 뿐입니다.
                         
아지마리 15-01-13 11:56
   
BMW랑 아우디에 헤드라이트 시연동영상 유튜브에 찾아보면 많이 나오고 있고 이미 상용화 돼서 나온 차량들 많습니다 찾아보고서 얘기하시지...
                         
LikeThis 15-01-13 14:43
   
그니까... 나오긴 했죠.
근데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그렇게 잘 동작하지 않는 다는 말입니다.
딜레이가 있어요.
스켄해야 하는 차량 수가 많아지면 버벅이고 빛 차단이 잘 안된다는 말입니다.
제가 언제 안된다 했습니까.
저 영상처럼 잘 되지는 않는다고 했죠.
나부랭이 15-01-12 10:49
   
현재 기술로 모두 가능합니다.  LED 광원을 사용하구요 사물인식은 LDWS(Lane Departure Warning) 에 사용하는
전방 카메라에서 합니다.  실용화의 여부는 헤드램프에 사용되는 LED 또는 레이저 광원과 액추에이터 기구,
대상물체 마스킹을 위한 렌즈 쉴드, 그리고 실시간 처리를 위한 ECU가 적용되었을때의 제작단가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가격상승요인이 발생하는 점, 그리고 가장 중요한것은 이것이 해당되는 법규 문제일 뿐입니다.
법규 문제가 해결된다면 하이엔드 세단을 중심으로 현재로서도 양산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기술은 존재하지만 100원짜리 원가에도 덜덜 떠는 메이커와 신기술 응용에 걸림돌인 법규가 문제일 뿐입니다.
당근당근 15-01-12 11:28
   
와우~
긴양말 15-01-12 11:34
   
암튼 대단하네
곰굴이 15-01-12 11:47
   
그.. 다른 게시판에.. 네비게이션.. 새로나오는거.. 그것만 봐도.. 저거 가능할거 같긴 하네요.
초승달 15-01-12 12:04
   
우와...멋있어...나날이 발전해가는 기술 : )
핼신사랑 15-01-12 12:51
   
참 세상 좋아졌네요..
ABS만해도 신기술이라고 놀라던 시절이 있었는데..
cccddd 15-01-12 12:56
   
저런 별로 쓸모없는거 달아놓고 차값 백만원 상승될바엔 저딴거 없어도 된다
헤밍 15-01-12 13:07
   
음.. 어떻게 저렇게 구현을 할지 궁금하군요. 사실상 저렇게 구현을 할려면 한개의 광원이 아니라 다수의 광원을 사용해야하고, 그 광원들마다 광학으로 제어가 가능해야하는데, 아직은 그런단계까지 가지 않은거로 아는데 말이죠.

뭐 사이즈의 제한이 없다면야 구현이 가능하겠지만, 헤드라이트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저렇게 완벽하게 제어는 아직 무리라고 보여집니다. 그냥 빛이 들가게 하는 정도? 이지 싶네요
철판 15-01-12 13:09
   
반대편 차량은 몰라도 몇미터 앞에있는 차한테도 빛을 안쏘네요..
     
Torrasque 15-01-12 14:09
   
뒷차가 상향등 쏘면 백미러로 번쩍번쩍 눈아파지거든요.....
샬케 15-01-12 14:15
   
만약 서울 도심에서 운전한다면 ㅎㅎㅎ
kuijin 15-01-12 16:08
   
비머의 위엄.....다음 M모델부터 옵션이라는데.....
♡레이나♡ 15-01-12 16:56
   
대단하네요!
ISter 15-01-12 21:06
   
전에 BMW관련해서 본 것 같은 내용
쉐도우라인 18-06-05 19:44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