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유머게시판
 
작성일 : 17-05-05 22:42
[기타] BBC "쌀의 기원지 한국"
 글쓴이 : 테티스
조회 : 3,428  

1.png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뭐지이건또 17-05-05 22:46
   
ㄷㄷㄷ
극악하수 17-05-05 22:48
   
솔직히 저는 이런건 아무 의미도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기술 철학 문화같은 인간세상을 풍요롭게 하는게 진정 자랑할 이야기지요 자연이 우리에게 공짜로 준걸 가지고 뭔가 자부심비슷한걸 생각하는것  자체가 이상한일 같습니다
     
돌고래00 17-05-05 22:59
   
농작물은 저절로 준게 아니랍니다,
바나나 사과 등  과일과 달리
사람이 직접 재배를 해야하는관계로
문명에서 높게 인정해주는거지요,,
문자 활자 처럼요..
예를들면  [마션] 에서 나오죠
그 땅에서 식물을 재배하면 그땅을 정복한거라고,,
          
극악하수 17-05-05 23:03
   
현대의 농산물은 그렇죠 1만3천년전이면 구석기 시대입니다 지구상의 모든 문명발생지역조차 채집수렵생활 하던 때입니다 농경을 하던 시기도 아니란말이죠
               
귀환자 17-05-05 23:28
   
근데....짱개와 쪽발이같은넘들은 눈알이 뒤집혀서 ㅈㄹ발광을 해댐.
               
초이U 17-05-07 01:43
   
채집수렵생활을 하던 시기에는 채소나 곡식을 안먹었다고 생각하시는건 아니죠? 흔히 말하는 농경사회는 농업을 마을단위, 즉 대량으로 지으며 유목생활이 아닌 정착생활을 한 사회를 말하죠. 하지만 채집수렵하던 생활에도 소량의 농사는 지었습니다.
     
배신자 17-05-05 23:00
   
하지만 기원지라는 것은 꽤 중요한 거예요.

이거 하나때문에 목숨걸고 탐구하는 학자들이 세상에는 널렸음.
     
후아앙 17-05-05 23:24
   
짱개가 이걸로 얼마나 자랑하고 자위하고 원류라 주장하고 난리였는데요 ㅋㅋ 사실상 우리가 원류란게 말이됨
     
하얀그림자 17-05-06 00:45
   
자연이공짜로 줬다?
그런 의미가 아니죠
쌀 농사를 지었다는  것은 정착을 했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는 많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님은 세상을 풍요롭게 하는게  중요하다고 했는데  벼농사의 시작은 인간 세상이 풍요롭게  됬다는 의미입니다
채집 수렵할 때보다  덜 굶고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했다는 의미죠
그리고 보다 높은 문화 수준을 구가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보다 높은 인구밀도를 유지했고 거기에서 분업과 계급이 세분화됬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즉 거대한 노동력을 동원하는 주체가 생겨난 걸 의미하죠

쪽발이들은  한반도는 5000년 전  쌀 농사가 시작 됬고 자신들은  그 이전에 자생적으로 쌀농사를 지었다고 억지부리고 심지어  쌀농사를 반도에 전해주었다고  ,,,이 지랄합니다
벼 유전자 추적 어쩌고 저쩌고,,,,,하면서 말이죠

왜 4대 문명이 모두 강(유프라테스 티그리스  나일 황하 겐지스)을 끼고 발생을 했으며  일개 부족 차원에서는 만들 수 없는 건축물들을 남길 수  있었을 까요?
벼 농사를 지었다는 것은  기존 보다  높은 차원의 사회로 통합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연 발생적인 게 아니라 그 당시의 인간이 자연을 관찰하고 연구했다는 의미입니다
굉장히 혁명적인 과정이죠
그게 의미가 없다니요?
벼농사는 불의 사용 바퀴발명  문자 발명  인쇄술 항해술  산업혁명  컴퓨터 발명 같은  인류 문명의 도약의 계기이죠..
          
극악하수 17-05-06 01:05
   
궁금한게 쌀이 나왔다는게 농경했다는 증거라고 생각하십니까? 농사를 짓지도 않은시기에 쌀이 나온게 저는 오히려 자생하는 벼를 채집해서 먹었다고 생각하는게 정확하다고 생각하는데 그걸 재배했다고 연결한다는거 자체가 이상합니다 그시기에 농경을 했다는 증거라면 어느정도 인정이 되지만 돌도끼로 사냥하던시절 농사를 지을정도로 정주생활을 했다는거 자체가 웃기다는거죠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석기시대유물 연대측정을 볼때 저때는 농경문화자체가 불가능한 시기입니다 역사적으로 빙하기시기였구요
               
돌무더기 17-05-06 01:33
   
빙하기였긴 한데 벼가 기후적응을 잘하는 식물이라 가능하다고 하고요
완전 재배벼라고 할 순 없지만 아예 야생벼도 아닌 단계로 추정된다네요
농사를 짓는건 아닌데 씨앗을 가지고 다니다가 장기 거주하는 곳 근처에 뿌리는 정도는 했을거라는 거죠
               
공짜쿠폰 17-05-06 14:08
   
소로리 볍씨는 수확한 흔적이 있는 볍씨임...자르개 등으로 낱알을 수확한 흔적이 있는 볍씨지 자연상태에서 채집한 볍씨가 아님.
     
로즈민트 17-05-06 00:49
   
문화는 생존을 깔고 형성됩니다.

의식주같은 생존이 없는데 문화가 있다?????

이건 개소립니다.

살아남지를 못하는곳엔 아무것도 생길수가없는겁니다.
그래서 생존의 증거가 중요한겁니다.

생존문제가 해결되 살아남아야 문화를 만들어낼 사람이 있는거고 생존이 해결되 여유가 생겨야 생존이외의 문화를 만들어낼 여력이 생기는겁니다.
     
초이U 17-05-07 01:40
   
저기 명시된 벼들은 자연종들이 아니고 인간이 재배하기 시작한 종부터 기준을 둔것입니다. 키우고 재배해서 용기에 보관되어진 볍시들이구요. 물론 이글에 자세하게 그런것까지 나와있지 않지만, 찾아보시면 아실 수 있을껍니다.
배신자 17-05-05 22:58
   
기원지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한가지 확실한 건 여태까지 발견된 볍씨 중에 가장 오래된 볍씨가 바로 저 소로리 볍씨임

저거보다 더 오래된 볍씨가 발견되지 않는 이상 그때까지는 임시로 기원지라고 해도 됨
운드르 17-05-06 00:50
   
1만 3천 년이 아니라 1만 7천 년 전 것이라고 합니다.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35644
바뀐애 17-05-06 05:23
   
그만큼 터를 잡고 살아온 게 오래됐다는 얘기..
공짜쿠폰 17-05-06 14:10
   
문명의 시작은 농경을 해야 가능함..
농경이 없이 수렵과 채집으로는 하루의 거의 대부분을 수렵과 채집으로 시간을 보내게 되고, 안정적인 생활이 불가능해서 문명의 일어나질 않음...

인간이 반짐승에서 인간으로 변화하는 순간이 바로 농경을 시작하는 순간부터임.
     
운드르 17-05-06 21:40
   
그게, 괴베클리 테페 유적 관련해서 꼭 그렇지도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어요.
먼저 군집 생활을 하고 거석문화를 이룬 뒤에 인구압에 대응하기 위해 농경을 시작한 거라는 설이...
초이U 17-05-07 01:50
   
근데 이미 학계에서도 그렇게 인정된 부분인데, 왜 걔중에 믿을수 없느니 사실이 아닐꺼라는 뉘앙스의 말을 하는분들이 계실까요?ㄷㄷ 이미 해외 곳곳에서도 소개되고 인정되어진 볍씨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