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유머 게시판[1] [2]
HOME > 커뮤니티 > 유머 게시판
 
작성일 : 21-03-08 13:19
[기타] 와 저 쇳덩어리가 난다구요~?
 글쓴이 : 보미왔니
조회 : 8,069  

J2NTP9Er4Ad3kRsms7XRoD.jpeg


재질은 스텐~ 근데 왜 찌그러진건데~~ 











sn10-starship-landing.gif

날라갔다가 다시 돌아오기까지...ㅎㄷㄷㄷ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부분모델 21-03-08 13:27
   
어익후 궁뎅이에 불났다
진실게임 21-03-08 13:27
   
재착륙이 신기하긴 한데, 생각보다 바다에 떨어뜨려서 회수하는 것에 비해 큰 이득은 없다고 그러더군요.
재착륙을 위해서 안그래도 복잡한 게 더 복잡해지니까 사고 가능성도 높아질 텐데.
     
모래니 21-03-08 13:32
   
탑재하는 연료량도 어마 무시할테고요.
          
새끼사자 21-03-08 14:41
   
로켓발사 비용 중에 연료비는 아주 아주 새발의 피 수준입니다. ^^ 가격 싸요.
KARI인터뷰 영상에도 나오는데 연료비 얼마 안합니다.

오히려 예전엔 한번 쏘고 버리기 때문에 최대한 많이 실어 올려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면...
다수 사용이 가능해지면 페이로드 페널티로 받는 손해보다 재사용하면서 얻는 이익이 압도적일 것이다라는 계산하에 시도하였고 그 계산이 팔콘9의 재사용으로 어느 정도 증명이 되었지요. (정확한 비용을 공개하지 않아 명시할 수는 없다고 하지만 지속적으로 스페이스엑스의 발사 비용이 떨어지고 있음으로 유추할 수 있다고 하더군요.)

실제 스페이스엑스가 제시한 금액은 10회 사용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5회 6회가 최다로 알고 있네요.
     
카티아 21-03-08 13:41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계시네요.

저건 추진체 즉, 로켓... 한마디로 위성이나 유인탐사선을 지구 중력장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장치인데요...
 
 보통 일회성이죠. 한번 사용하면 재사용못합니다. 추락해서 그냥 산산조각 나니까.. 바다에 떨어져도그래요.

 로켓 쏠때마다 매번 새로 설계하고 제작하는 비용 장난 아닙니다... 근데 한번 제대로 만들어서 여러번 사용할 수 있으면 비용절감이 무지하게 되겠죠??
그리고 저건 관광용... 즉 우주관광을 위해서 사람을 태우고 가는거기 때문에 안전하게 착륙하는게 목적이고...

 그리고 잔여물 회수하는것도 쓰레기 수거와 타국가에게 기술 유출 안하려고 수거해오는겁니다..
일본이 F35 바다에 추락 시켰을때 중국 러시아 미국이 서로 잔해물 수거해 내려고 했던것도..
 중국 러시아는 기술 알아내려고, 미국은 기술유출막으려고 한거에요..

 정부에서 돈을 대주는 우주선이야 상관없겠지만, 스페이스X프로젝트는 일론 머스크의 민간사업...  기술력으로 비용을 최대한 줄여야 차 후 스페이스X 사업이 돈을 벌 수 있죠.. 우주관광이니까..

 오죽하면 미국에서도 돈이 너무많이 들어서 유인왕복선사업을 안한다고 했을까요...

참고로 유인우주선을 바다로 착륙시켜서 건져오는거랑 저거랑 다른겁니다.
     
보미왔니 21-03-08 13:45
   
제일 큰 목적이 화성 왕복이라던데요~~  화성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거 때문에 저러는거라던데..

자세히는 몰게써~~~
     
오롯이 21-03-08 14:21
   
저걸 화성으로 쓰면 저 우주선을 뜯어내서 테라포밍할 때 재료로 쓸 계획이라서, 안전하게 착륙을 해야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바다에 떨어진 것들은 우주선 본채지 추진채가 아니라서 추진채는 회수 후 연료 주입후 재 사용으로 엄청난 비용 절감이 되고요.
     
새끼사자 21-03-08 14:48
   
한가지 바다에 착수시켜 재사용한 액체연료 로켓엔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소금물에 빠진 자동차도 재생하기 힘든데 로켓엔진을 바닷물에 빠지게 하다니요. ^^
바다에 착수시켰다 재사용한 엔진은 고체엔진들이고요. 구동계나 전자계통은 싹다 새거로 갈아치우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고체부스터역시 바다 착수 후 재사용할 계획 자체가 없다고 하지요.

또 한가지 저 스타쉽이란 녀석 무려 50미터짜리입니다. 왠만한 아파트 수준의 크기입니다 그걸 견뎌내 줄 낙하산도 없거니와 여러개의 낙하산을 달면 그 무게가 재착륙시 사용하기 위해 추가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연료 무게보다 더 무겁다고 합니다.

조만간 새로 나올 BE-4엔진을 사용할 신형 발칸 로켓의 경우는 단 분리 후 엔진 부분만 분리하여 재진입 시 낙하산으로 속도 조절한 뒤 공중에서 회수하는 방식으로 재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엔진의 바다 착수는 그냥 버리는 겁니다. ^^
뱃살마왕 21-03-08 14:24
   
뭐 잘착륙하네
     
밥이형아 21-03-08 15:02
   
저렇게 앉은뒤 잠간뒤 불붙고 폭발 ㅎㅎ
벌레 21-03-08 14:44
   
고생이 많네요. 반중력장치만 있으면 개껌인데 -_-
새끼사자 21-03-08 15:00
   
추가로 한마디 하자면 스페이스엑스의 스타쉽이 화성용이다 뭐다 하시는데..그것 역시 맞는 말이지만. 사실은 비행기 대용입니다.
현재 해상 발사장을 폐 시추선을 구입하여 개장 중인데 이 발사장을 세계 중요한 곳에 포진 시켜 놓고...공항으로 사용하려는 원대한 꿈을 가지고 있는 것이지요.

전 세계 중요 거점을 수십분내로 도착한다는 원대한 꿈에 도전 중이지요.  아마 저 해상 공항 유치하려는 움직임도 10여년 내로 일어나지 않을까 하네요.

아무튼 몇명태우고 로켓을 쏘는건 아직도 가격 저항이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최소 100여명을 한번에 실어 나를 수 있어야 한다고....

비슷한 컨셉으로는 세이버 엔진을 가지고 비행기처럼 활주 이륙및 착륙하는 스카이론 프로젝트가 있네요.
밥이형아 21-03-08 15:11
   
껍데기가 구질구질해 보이는건 테스트용이라서 그런거 아닐까 생각합니다
스텐이 철보단 녹는점이 높지만
열전도도 높고 조금만 열을 받아도 쉽게 휘고 제작도 만만찮죠
그래서 아마도 완제품은 다른재질을 쓰지 않을까
     
새끼사자 21-03-08 15:59
   
사진의 스타쉽은 예전 날리기 전 이런 모양일 거다라고 데모용으로 공개했던 스타쉽으로 사진찍고 날개며 다 분해 해체했었던 기체입니다.
저때는 다 손으로 용접을 하던 때라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스틸의 크기도 조각 조각이 나 있지요. 해서 더 문제가 많았던 시절이었지만 지금은 링 형태로 납품이 되고 그걸 용접 로봇을 들여와서 용접을 해서 기존에 비해 상당히 많이 깔끔해 지기는 했습니다. 물론 내부 보강재 부분은 수작업 하는 듯 하고요.

재질은 현재 304L 스텐 사용 중이고 카본복합재나 다른 재질로 갈 상황은 없다고 합니다. 대신 외부 단열처리 한다고 하며, 냉각시스템 관련해서도 여러 컨셉이 재시되었더군요.
지금은 두께 5미리지만 3미리로 테스트 진행 중입니다. (요즘은 안하는 듯하지만 SN7.2던가요? 계속 관리 중이긴 하더군요)

SN11의 경우 기존 SN8, 9, 10의 문제인 착륙용 연료 벌크헤드의 공급 불안정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한 제품일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요.(머스크가 트윗에 그렇게 뻐꾸기 날렸으니..) 이번 착륙에 가장 크게 돋보인 문제가 티라노 팔같은(해외유튜버들이 그렇게 이야기하더라구요 ㅎㅎ) 착륙용 레그 역시 개선품으로 적용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전해지더라구요.
          
밥이형아 21-03-08 20:12
   
그럼 문제가 크겠는데요?
304L 이면 일반적으로 쓰는 값싼 스텐이고
링으로 하든 어떤형태로 하든간에
용접을 할것이고 용접을 로봇으로 하든 사람이 하든간에
304L 3mm면 주름이 안생길수가 없어요
열을 가한 순간부터 절대로 불가능합니다
용접 열영향부위가 열 받지 않은 부위 보다 부풀어 오르는게 스텐 박판의 특성인데
상온에서 어떻게 반듯하게 만들어 논다 한들
비행때 열이 가해지면 뒤틀어지게 되고요
그럼 단열재도 온전치 못할겁니다
하관 21-03-08 16:09
   
디자인은 복고인걸...
연금타면술 21-03-08 16:30
   
중요한건 저런 실패를 무릎쓰고 도전하는 마인드가 부럽네요...
재벌들 돈 많다고 자국민들앞에서 헛지랄 좀 하지말고 저런 과감한 도전정신 필요합니다
역적모의 21-03-08 18:45
   
꼭 머시기 같구먼 ㅇㅅㅇㅋ
하늘나비야 21-03-08 19:39
   
이륙했다 착륙도 가능 하네요
미스트 21-03-08 19:40
   
이륙 보다 착륙이 몇 배는 더 빡실 것 같은데, 굳이 착륙을 해야 할 이유가 있나?
천주 21-03-09 11:18
   
두번 공중 폭발후 이게 3번째 실험이였는데 결국 착륙후 3분뒤에 폭발했죠.
 
 
Total 104,18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비극적인 사건이나 사고,범법 자료 게시 금지 (20) 가생이 07-12 279417
공지 [공지] 19금을 연상케 하는 모든 자료 절대 등록불가 가생이 08-01 248386
공지 [공지] 유머/엽기 게시판 주의사항(2019.07.18) (17) 가생이 01-13 255794
59908 [유머] 47년차 대배우의 NG (17) 보미왔니 03-15 10499
59907 [기타] 쓸데없이 고퀄의 한 예 (12) 보미왔니 03-15 8092
59906 [유머] 코딩 작업하다 막혔을 때 (15) 보미왔니 03-15 7657
59905 [동물귀욤] 초월한 냥이 (15) 보미왔니 03-15 5796
59904 [동물귀욤] 어린 삵을 보내는 수의사 (17) 보미왔니 03-15 6636
59903 [유머] 상사에게 잘 보이려고 아부하는 사람 이해 안 간다는 처자 ~ (11) 별찌 03-15 7090
59902 [유머] 쿵 ~ 쾅 ~ (3) 별찌 03-15 3852
59901 [기타] 파병 후 복귀 ~ (7) 별찌 03-15 6199
59900 [유머] 친한 여직원에게 사탕을 선물한 결과 ~ (11) 별찌 03-15 7142
59899 [유머] 유서깊은 사춘기 증상 ~ (8) 별찌 03-15 4541
59898 [기타] 호불호 야식 ~ (23) 별찌 03-15 4000
59897 [기타] 삼성전자 구내식당 ~ (22) 별찌 03-15 6669
59896 [기타] 자기관리법 ~ (5) 별찌 03-15 2892
59895 [유머] 하자 있는 폰 팔아요 ~ (3) 별찌 03-15 3337
59894 [유머] 갤럭시와 아이폰의 공통점 ~ (9) 별찌 03-15 3840
59893 [유머] 월요일 9시의 대화 ~ (7) 별찌 03-15 3022
59892 [동물귀욤] 달력조 ~ (5) 별찌 03-15 2123
59891 [기타] 세가지 고르기 (51) 보미왔니 03-15 3722
59890 [유머] 배트코인 황금박쥐상 절도할려다가 체포! (12) LdshCo 03-14 9549
59889 [기타] 완벽한 착지 (16) 피에조 03-14 9729
59888 [기타] 문신의 순기능 (20) 피에조 03-14 10081
59887 [유머] 미국, 소와 껴안기 예약 꽉 참 (31) 글봄 03-14 9769
59886 [유머] [요즘광고]CTR시리즈ㅋㅋㅋㅋ (22) 가인 03-14 6571
 <  1921  1922  1923  1924  1925  1926  1927  1928  1929  1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