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유머 게시판[1] [2]
HOME > 커뮤니티 > 유머 게시판
 
작성일 : 24-05-04 17:34
[감동] 거하게 욕 먹었던 인제 기적의 도서관 근황.jpg
 글쓴이 : 드슈
조회 : 2,454  

09.jpg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빛둥 24-05-04 18:24
   
그런데, 왜 처음에 욕을 많이 먹었다는 거죠?

설마 자연광이 내부로 들어오는 구조때문에?
     
건달 24-05-04 18:34
   
뭐든 깔려고 작정하면 안까일 수가 없는 거죠
     
메들렘 24-05-04 18:38
   
실제로도 일본에서 햇빛 들어오는 도서관 지었는데 햇빛 때문에 책 다 변색돼서 망가졌다는 거 읽은 적 있어요.
          
빛둥 24-05-04 20:34
   
이제 들어와서 아래 글 읽어보니, 햇빛때문에 책이 변색된다는 이유 때문에 욕 먹은 게 맞는 것 같네요.

그런데, 책이 변색된다면 책장을 비추는 창문 위주로 차양막이나 암막을 설치하면 어느 정도 해결될 것 같습니다. 도서관 이용자들을 위한, 책장이 아닌 나머지 공간들은 자연채광이 좋겠고요.

색깔있는 책이 자연채광의 자외선으로 바래는 효과는 있을 텐데, 일단 일본과 달리 인제군에 있는 도서관이라서 햇빛의 입사각도가 낮아서 약하며,

희귀본이 아닌 한, 어차피 도서관의 일반 책들은 시간 지나면 폐기처분되고, 새로운 책을 사기 때문에 별로 상관이 없을 것 같습니다.
               
블링블링 24-05-04 21:13
   
https://www.youtube.com/watch?v=uw-OLkY05hA 일본 유리로된 도서관 상황 한번 보셈
                    
빛둥 24-05-04 22:15
   
영상 잘 보았습니다. '안협소'는 저도 구독하는 있는 채널이라서, 예전에 한번 봤던 영상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안협소의 해당 영상이 지적하고 있는 것에 동의할 만한 측면이 있는 것은 맞습니다. 책이라는 게 자연광을 지속적으로 비추면 좋을 게 없긴 하죠.

그런데, 안협소에서 예로 든 일본 나가노현 치노시는, 위도가 35도 59분이라서, 우리나라 인제에 있는 도서관의 38도 06분과 비교하면, 훨씬 위도가 낮고, 치노시의 도서관쪽이 태양빛의 입사량이 강한 곳입니다. 태양빛의 입사량은 입사각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위도가 낮은 곳에 비해 위도가 높은 곳은 그만큼 태양빛이 약해질 수 밖에 없고, 1년 365일 전체를 따지면 차이가 있게 되어 일사량 합이 10% 정도 차이나게 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 링크에서 우리나라 각 지역의 태양 남중 고도 및 일사량의 차이를 보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나가노현의 치노시는 우리나라로 치면 포항시와 비슷한 위도이며, 아래 링크에서는 남원시 보다 약간 높은 정도입니다. 인제군은 화천군과 비슷하고요.

https://m.cafe.daum.net/refarm/FM7B/6?svc=cafeapi
                    
빛둥 24-05-04 22:33
   
그리고, 일사량 문제와 별개로 생각해야 할 것이,

건물을 짓는 건축가가, 일조량 같은 것을 생각할 때, 누구의 편의를 위주로 짓느냐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봐야 합니다.

즉, 도서관 이용자 위주로 생각해서 짓느냐, 아니면 도서관 관리자(결국 책 보관자의 입장) 위주로 짓느냐에 따라, 건물의 채광이나 방향이 달라진다는 얘기입니다.

도서관이 아닌, 야구장의 방향을 예로 들겠습니다.

예전 시대에, 우리나라 야구장은 홈베이스 방향을 북쪽에 둔 구장을 지었습니다. 왜 그렇게 지었느냐? 바로 야구를 하는 선수들 입장에서, 낮경기를 할 때 외야수가 수비할 때 햇빛에 야구공이 들어가서 실책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렇게 지었던 겁니다. 낮에 태양은 운동장의 남쪽에 있게 마련이니, 외야수는 태양을 등지고 수비할 수 있는 것이죠.

'야구를 아는 사람이 만든 야구장'이었던 겁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잠실 야구장이 그렇게 지은 야구장이고, 옛날에 지은 야구장들은 대충 비슷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지은 구장인 대구 라이온스 파크와 광주 챔피언스 필드는 그렇게 짓지 않았습니다. 홈베이스가 서쪽(또는 서남쪽)에 있도록 지어진 구장들이죠. 그렇다면, 왜 북쪽에 짓지 않고 서쪽에 지었을까요? 그건 외야수의 수비를 방해하는게 주된 목적이 아니라, 내야쪽 특히 1루쪽의 홈 관중들이 편하게 야구를 보라고 지은 야구장이기 때문입니다. 홈베이스를 서쪽에 두어야, 낮경기때 남쪽에서 비추는 태양에 관중들이 그늘에서 편하게 경기를 볼 수 있다는 말입니다.

우리나라의 최신 야구장뿐 아니라, 미국의 야구장들도 마찬가지로 홈베이스를 서쪽이나 남쪽에 두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LA 다저스 구장은 홈베이스가 남쪽에 있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구장은 서쪽에 있는 구조죠. 일찍부터 관중의 편의를 위주로 만든 구장들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좀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thirdbad/220596199514

도서관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야구장 방향 얘기가 나와서 황당하실 수도 있지만, 이게 사실은 건물의 설계 철학면에서 동일한 얘기를 하기 때문에 언급을 한 겁니다.

즉, 야구선수들이 편하라고 설계하는 것보다, 야구장 이용자인 관중들이 편하라고 설계하는 쪽으로 바꿨듯이, 도서관 관리자들이 책 보관 업무를 하는 등 관리 편하게 하라고 설계하는 것보다, 도서관 이용자들이 편리한 방향으로 도서관을 설계하는 쪽으로 바꿨다는 말입니다. 그래야 사람들이 도서관을 많이 이용하여 활성화될 게 아니겠습니까?

도서관은 '책'이 중심인데, 당연히 책 보관에 편리한 구조로 만들어야 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 있습니다. 예, 그런 측면도 있습니다. 예전에 책이 드물고 비싼 시대(필사본 위주의 중세 이전시대, 그리고 인쇄술 이후에도 책이 드문 시대, 우리나라로 치면 대충 30 내지 50년전까지의 시대)에는 그런 게 도서관 건물 설계에서 강조되어도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지금 시대에 책 인쇄는 어려운 일이 아니며, 우리나라 도서관들은 매년 많은 책을 사들이고, 동시에 많은 양의 오래된 책을 폐기하고 있습니다. 정말 희귀본 책이라면, 그런 책들만 모아서 서고에 보관하고 있고요.

따라서 이런 시대(주기적으로 계속 책을 구매하면서 오래된 책을 폐기하는 시대)에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책 보관을 위주로 도서관 건물을 짓는 것보다는, 도서관의 이용자 편의를 주된 목적으로 도서관 건물을 짓는 게 맞는 겁니다.

정말 색깔있는 책이 너무 바래는 문제점이 있다면, 그 부분의 책장은 가림막으로 가리면 될 일이고, 희귀본은 자연광이 안 비치는 서고로 이동해서 보관하면 해결될 일이고요.

이렇게 도서관 건물의 설계철학이 예전 시대와는 달라질 수 밖에 없는 것인데, 이런 사정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아서, 인제 도서관에 너무 과도한 비난이 가해진 것 같습니다.
hell로 24-05-04 18:50
   
요샌 종이 화학성분이 바뀐줄 알았네
푸리 24-05-04 18:51
   
햇빛받으면 책 탈색됨...

책 자연광 안받게 할려고 일부러 암막커튼 달았는디...
가린샤Jr 24-05-04 19:08
   
갑자기 그.. 욕 뒤지게 먹던 황금박쥐 그거 생각나네요 ㅋㅋㅋㅋ
안알려줌 24-05-04 19:12
   
도서관 자체로는 그닥 이지만

사람들 모이게 하는데는 성공인 건축물이군.

요즘엔 책자도 디저털화니깐...  보존성이나 관람은 조금 손해 보더라도 사람 모여서 활용도 높은게 낫네..
노바노바 24-05-04 19:42
   
이건 도서관을 잘지어서 성공한게 아니라
사람들의 관광 명소를 만들어서 성공한 케이스.
진실게임 24-05-04 20:01
   
햇볕에 닿지 않아도 현재 책 만드는 화학지는 수명이 몇 십년 넘게 못간다고 했던 득.
지방간 24-05-04 20:49
   
책 입장에선 잘못 지은 건물 맞음 ㅋㅋ
드슈 24-05-04 20:56
   
설계자는
'지안건축' 박세희 소장이예요.

애당초
'책 보관소'따윈 신경도 쓰지 않았고,
지역사회에서 조용히 책보고 놀(?) 수 있는
거점 마련에 주력했다고 합니다.
쟈야 24-05-04 22:04
   
도서관에서 햇볓쬐면서 책냄새도 맡고 낮잠 한숨 때리면 진짜 개운한데 뭐가 문제야~
Hattiesburg 24-05-04 23:14
   
머 자연광에 책이 탈색되는건 당연한 사실이고 아무리 빛을 차단한다 하더래도 저정도 창이면 의도적으로 빛을 차단하게 만든 도서관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는건 사실이죠.
헌데... 저 몇만명의 방문객 중 책을 읽을려고 방문한 사람이 몇프로나 될까 생각해보면...
책보다는 도시 소멸자체를 늦추고 방문객을 늘려 도시경제를 활성화 하는 목적으로 보는게 맞을 듯.
도서관은 그 옆에 따라 하나 더 지어도 되지 않을까요 ㅎㅎㅎ
 
 
Total 104,4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비극적인 사건이나 사고,범법 자료 게시 금지 (20) 가생이 07-12 279810
공지 [공지] 19금을 연상케 하는 모든 자료 절대 등록불가 가생이 08-01 248838
공지 [공지] 유머/엽기 게시판 주의사항(2019.07.18) (17) 가생이 01-13 256248
83272 [기타] 디갤] 한때 세상에서 가장 위험했던 아파트.jpg (4) 드슈 02-16 2448
83271 [기타] 스압] 일본의 다양한 투구와 특징.jpg (9) 드슈 04-27 2448
83270 [유머] 냥이 구조작전 (3) 골드에그 01-31 2449
83269 [동물귀욤] 나 안쫄았다냥 ~ (5) 별찌 03-29 2449
83268 [동물귀욤] 마냥 행복한 리트리버 ~ (7) 별찌 05-03 2449
83267 [유머] 골프신동 (7) 큰집열바퀴 07-30 2449
83266 [밀리터리] 미군이 현재 만들고 있는 OP템 ~ (2) 별찌 12-11 2449
83265 [기타] 신앙생활을 하면서 느껴선 안되는 것 (3) 날아가는새 12-18 2449
83264 [유머] 교수님이 알려주시는 요즘 혐오문제 원인 중 하나 (1) 골드에그 01-13 2449
83263 [동물귀욤] 물 마시는 댕댕이 2마리 ~ (2) 별찌 01-28 2449
83262 [동물귀욤] 박물관에 계속 들어오는 고양이들 ~ (3) 별찌 01-30 2449
83261 [유머] 고정된 것처럼 보이는 물 ~ (4) 별찌 02-18 2449
83260 [동물귀욤] 집에가기 싫다. (11) 골드에그 04-09 2449
83259 [동물귀욤] 냠냠냠냠.. (10) 골드에그 04-16 2449
83258 [기타] 더 배트맨 촬영현장 (1) 날아가는새 10-19 2449
83257 [유머] 회사에서 조직개편을 경험한 당신의 생각 ~ (4) 별찌 11-13 2449
83256 [유머] 생각보다 큰 공기저항 ~ (16) 별찌 02-16 2449
83255 [안습] 26살 입주민의 갑질 (7) 날아가는새 02-23 2449
83254 [기타] '런닝맨' 잦은 도둑질, 어린 시청자 배울까 우려스럽… (14) 날아가는새 02-26 2449
83253 [기타] 폭죽 소리에 PTSD를 일으킨 군인 ~ (6) 별찌 04-20 2449
83252 [기타] 우리나라 0.0001% 들만 간다는 사교클럽 ~ (3) 별찌 04-24 2449
83251 [안습] 일왕이 밥 먹여주냐덜? (13) 알럽뿌잉 06-06 2449
83250 [동물귀욤] 머리만 까만 놈 근황 (2) 혀니 10-20 2449
 <  921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