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빌리지
2기 촌장: 햄스타 | (구)카라게시판
 
작성일 : 12-04-08 03:45
[잡담] xoQk 님 인코딩시 참고하실 내용<== 사람을 착각했내요 아하까호님이엇군요 ㅜㅜ
 글쓴이 : 로미
조회 : 2,198  

제가 드린 프리셋은 다음과 같은 ts나 mkv등 파일의 상태가 
led 배경이나 블럭화현상이 심해서 움직이는 부분에서 흐려지는 곳이 많으면
전혀 소용이 없는 프리셋입니다.

즉 보통의 일반적인 상태의 파일인경우에 적용되는 것입니다.

LED 같은 블럭화 현상을 줄이는 방법은 제가 경험한바로는 

1. avisynth 스크립트 명령어를 이용해서 영상을 매끄럽게 보정해주는 dll 필터 파일을 읽어들여서 하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방식이 있습니다.

2. 위의 방식은 megui같은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있을때만이 사용할수있으므로 일단 빼고
    1번이 아니더라도 보완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즉  
     인코딩 설정에서 avchd 코덱이나 h264 hd 코덱을 사용할때 나오는 고급설정부분에서 조절할
    수있습니다.   단 높이면 높일수록 극악의 인코딩 속도를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2번의 방식도 avchd와 h264 hd코덱이 있을때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즉 
    우리가 사용하는 다움 인코더나 다른 곰인코더같은 것들에 저 코덱을 이용해서 인코딩할수있게
    지원이 되어야하는데 ... 현재는 지원이 위 두인코더에서는 안됩니다. 

[결론] 그래서 위 두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수 없는 기초 인코더들은 다음의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을 조금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그림으로 설명을 하였는데 

mpeg-4 avc/h264를 설정하면 고급옵션을 사용할수있는데 
그때 나오는 frame 항목에서 deblocking 부분을 -수치를 좀높게 잡는 것입니다.
엄청난 효과가 나오는것은 아니지만 보정은 좀 해줍니다.
특히 원본이 그래도 ts나 비트레이트가 높은 파일인경우는 정보가 많기때문인지는 몰라도 
블럭제거가 좀 되는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flv 파일이나 비트레이트가 너무 작은 파일은 하나마나입니다.

또 블럭제거하는 방법은 왼쪽 탭부분에 있는 영상처리탭에서 아에 블럭제거 값을 선택해 많이 올리는것입니다. ( 엄청난 효과는 기대마시길 일단 그래도 없는것 보단 나을수도 잇습니다. ) 

그리고 다른 고급설정 부분을 건들여주는것들은 인코딩속도와 관게가 깊기때문에 
너무 인코딩시간이 길어지면 제가 기본값을 써놓았으니 다시 원래대로 돌려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인코딩속도에 비해서 개선 효과가 좀 떨어진다고 생각되어서 그냥 다들 기본으로 사용하는 옵션들입니다.

위에서 말한 설정을 모두 넣어서 프레셋으로 만들었습니다.
말씀드린대로 극악의 led화면 등에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가장 좋은것은 megui를 배우고 더 좋은것은 avsynth 스크립트 명령어를 배우는것이겟죠 ㅡㅡ;;
전 3가지를 다 이용해서 인코딩을 합니다 led영상의 경우에는요 그래서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

그래도 3가지중 한가지라도 사용하면 화질은 개선은 됩니다. 아무것도 안하는것보다는 ...

또 한가지 팁은 

그림에도 써놧지만 영상처리에서 명도를 -값으로 좀 주시기 바랍니다.

명도가 낮으면 아무래도 어둡긴하지만 led 인경우 좀 낫게 보이더군요 ...
대신 대조를 아주 조금만 2정도 주시면 괜찮을겁니다.



@ 프리셋 다운로드


아래는 프리셋 설정입니다.

어짜피 제 개인적인 설정이므로 이 설정이 완벽하지 않습니다.
인코딩해보시면서 필요없다고 생각하는것은 그때그때 과감히 기본으로 돌리거나 
자신만의 설정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xoQk 12-04-08 05:00
   
흐미...
엄청 친절한 설명이네요.
아마 제가 LED 조명 때문에 좌절한다는 푸념을 보시고
인코더로서 신경이 쓰이신 모양.
그렇다고 이리 긴 글을... ㅡ.ㅜ
어마어마한 친절에 우선 깊이 감사드립니다. (_ _)

일단 전 기본적으로 메구이를 쓰고 있고요.
다음팟은 필요에 따라 가끔 사용합니다.
사실 다음팟이 많이 개선되긴 했지만
웹상에서 스트리밍을 하거나 플짤 만들때 좀 편리한 정도지
소장용 영상을 맹글려면 아직 주저되는 게 사실이죠.

그래도 이리 친철히 긴글을 올려주신 정성에 감동해
올려주신 글과 그림을 기준으로 제 생각을 좀 덧붙일게요.
xoQk 12-04-08 05:21
   
일단 비트레이트를 6000이나 주는데
1PASS-CBR 은 비추네요.
6000정도나 주어야 할 영상이면 무조건 2PASS 해야죠.

전 특별히 용량을 신경 써야 하는 경우가 아니면
주로 메구이에서 CRF로 인코딩 하는 편입니다만
굳이 다음팟으로 인코딩 하려 한다면 2PASS는 해줘야 할거에요.

그리고 deblocking이란 블럭을 막아보잔 항목인데
마이너스 값을 그리 주시면 오히려 살려보잔 쪽으로 인코딩이 진행됩니다.
게다가 메구이에선 마이너스 값 최대치가 기껏해야 -3,-3 이고요.

실사에선 마이너스 값을 주는 게 보통이긴 한데요.
과도한 LED로 블럭이 생기는 걸 막으려 한다면 +값을 줘야 하는 게 맞아요.
요게 매커니즘이 어케되어 있냐 하면 +값을 주면 약간 smoothing 되는 경향이 있거든요.
블록을 약간 뭉개서 대강 눈에 띠는 녀석들을 감춰주는 역할을 하죠.

-값을 주면 약간 shapen 되어서 오히려 블록들이 도드라지거나
LED 영상 자체에 비트레이트를 쏟아 붓게 해
중심이 되어야 할 인물보다 배경이 주가 되는 상당히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나오게 됩니다.
xoQk 12-04-08 05:33
   
요즘 LED 조명은 인코더들에게 상당히 짜증나는 골치꺼리긴 합니다만
원본 영상이 개판이면 거의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보는 게 맞아요.
방송 릴이 블루레이정도로 나와준다면 몰라도 말이죠.

글고 I프레임 수치를 높히면 용량이 좀 늘어납니다.
잘라서 플짤을 맹글어야 하는 게 아니라면
굳이 늘릴 필요가 있나 싶은데...
뭐 화질은 좀 더 좋아질수 있지만 deblocking 과는 거리가 좀 있죠.

RD-----all 항목은 이미 압축된 B프레임마저 압축한다는 거라
인코딩에 걸리는 시간에 비해 그닥 효과는 없는 선택으로 보여지고요
Trellis은 사람마다 주관적으로 다르게 느끼는 항목인데
이 녀석도 값을 주려면 무조건 2PASS 해야 제대로 작동할 거에요.
xoQk 12-04-08 06:01
   
인코딩이라는 게 워낙 주관적인 거라 정답은 없지만
분명 조심해야 할 것들은 있어 보입니다.

카라의 경우 한일 공동으로 방송된 릴들은 대부분 30p로 찍어서
애초에 60프레임 영상을 만들 수 없는데(억지로 연산시켜 만들 순 있지만)
상당히 많은 60p 영상들이 나와 있더군요.
요런 건 언젠가 Aster.님의 지적대로
같은 프레임을 두 번 반복한 페이크 릴입니다.
배포전에 반드시 신경써야 하는 부분이죠.

혼자 본다면 별 문제 아니지만
그게 아니라 일반에 배포를 한다면
사실 화질이나 이런 기술적인 것보단
실수를 줄이고 고쳐나가며
함께 나누는 사람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 역시 실수도 많이 하고
지금 보면 부끄러운 영상들도 있지만
연아양 영상을 몇 년간 인코딩해 배포하다보니
결과적으로 이런 생각에 도달하더라는... ^^;;;

이 지루한 댓글 퍼레이드는
저 한 명을 위해서 이리도 긴 글을 써주신데에 대한
제 나름의 성의 표시였습니다.
어떻게 받아들이실진 모르겠지만
근 몇 년만에 가장 장문의 글을 온라인상에 올린 것 같네요.

이런 제 마음을 잘 전해지길 바라면서
앞으로도 카라 아이들을 위해 더 많이 힘써 주시리라 믿고
이 길고 재미없는 댓글을 마칩니다.

흠... 역시 내 글은 너무 딱딱해... -_-;;;
크레모어 12-04-08 06:35
   
배웠당..ㅋㅋ
로미 12-04-08 07:03
   
오 여러 고급설정에 잇어서 의견차이는 잇지만 좋은 내용이내요 감사합니다 . 아무래도 블럭에대한 제기준이 님과는 조금관점이 다른가 봅니다 ㅋ 저랑 반대로 ㅜㅜ 제가 좀 샤픈을 좋아하는 경향이 잇어서 인듯 싶내요 아니면 제가 기준과 반대로 말하고 잇던가 둘중하나겟지요 ㅎ 머 제가 옵션주는 항목은 제 인코딩 하는 방법기준이니 제가 만든 영상물을 보시는분들은 아마도 이해를 하시리라 믿고 . 여기에 올린거는 기초 인코더하시는분을 위해서 써본건데 불필요한 글이 된것같내요 ㅋ 머 다른분들도 잇으니 댓글도 참고 하면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i프레임과 60프레임에 관한거는 아무래도 좀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듯해보여서 저도 머라 말하긴 힘들겟내요 . 아 그리고 지금에서야 봣습니다 ㅜㅜ;;
로미 12-04-08 07:06
   
인코딩하시는분들 하면 할수록 어려운점이 많아져서 섣불리 이런글올리기가 좀 머랄까 망설여지는게 사실이기도 하고 잘못알고 잇는 부분이 상당수 이론보다는 경험에 의존하는경향이 많아서 인거 같내요 그래서 지금껏 거의 쓰지를 않다가 갑자기 생각나서 써보앗습니다 ㅋ 별 도움이 안될이야기만 늘어논거같아서 ㅡㅡ;;
로미 12-04-08 07:09
   
아 그리고 저도 메구이를 기본으로 쓰고 crf방식을 메인으로 이용합니다 ㅎ 위의 설명은 정말로 기초인코더만을 위한 다음인코더용에서의 최선의 방식일뿐 .... 메구이를 쓰는걸 알앗으면 이런글은 안올렷을겁니다 ㅋ 제가 오해한거 이해해주시길 ... 아래 댓글에 .. 오해가 생기도록 글을쓰셔서 ...... 혹시 내가 다른사람과 착각을 한건가요???
로미 12-04-08 07:20
   
악!!!!!!!!!!! 다른분과 착각을 ..... ㅋ 아 같은 눈사람에 .. 아 암튼 제가 순간 착각을 햇내요 ... 다른분이 프리셋을 쓰신다고 하고 다른 글에 님이 led 이야기를 하셔서 두분이 같은 분인줄알앗다는 ...... 아구 ㅜㅜ. 새벽이라 아무래도 머리가 멍햇나봅니다 다른사람으로 오해해서 죄송합니다 ^^;;
신사동개백… 12-04-08 07:38
   
인코딩전문가는 아니지만 가끔 영상편집도 하고 인코딩도 하는 경험에 비추어 한말씀 드리면 내 생각에 저렇게 과하게 설정을 주면 영상이 용량만 크지 화질도 그닥 좋지 않을 듯...일단 고정비트로 6000이나 줄 이유가 있나 싶구..유명 릴그룹같은데서 배포하는 드라마영상같은 것 1시간내지 1시간 10분정도 영상 고정비트로는 1500만 되어도 화질괜찮습니다. 720p면 3000정-3500정도면 화질 매우 좋습니다.웹에 올릴때는 450p 480p도 상당히 큰 화면인데 6,000이면 얼마나 과한지 아실 듯....6000이면 용량만 절라 커지고 화질개선은 별루 효과없습니다...그냥 화장떡칠하듯 덧바르고 덧바르는것뿐.........그리고 6000정도 줄 정도 영상이면 퀄리티기준(crf)나퀀타이저(양자화 cqp)가 낫져...아니면 투패스로 하시던지....cbr로 6000줄거면 인코딩을 할 이유가 없지요....그냥 원본 tp보면 될 듯....키프레임간격도 6이면 뭐 이건 영상따라 달라지긴 하니 뭐라 하긴 그렇지만 다음팟이 디폴트가 10이더가 그랬던 것 같은데.....디블럭도 저건 너무 과함 -5 -5 난 본적이 별루 없는듯...올리신 다른 영상들을 보니 대부분 명도와 대비에 좀 과하다싶은 설정을 주시는듯...이런 것은 영상편집에서 뮤직비디오나 트레일러같이 강렬한 영상만들고 효과줬을때 효과를 도드라지게 하는때는 쓸수도 있겠지만.....레퍼런스 프레임도 과연 5까지 줄 필요가 있나 싶군요......아마도 위에 설정이 댄스가수 공연영상을 두고 말씀하신 것 같은데 일반적인 영상이야 참조프레임수를 높이면 화질개선효과가 있지만 댄스가수영상은 움직임이 많아 레퍼런스 프레임수를 올려봐야 어차피 참조가 안되거든요..

올리신 영상 몇개 다운받아서 보고 비트수 주시는 것 보니깐 인코딩 주관이 화질에 굉장히 욕심을 내는 스타일이시고 화면이 좀 강렬하달까 쨍하달까 그런 스타일 좋아하시는 듯.....드라마파일 인코딩 스타일보다는 뮤직비디오나 공연영상에 좀 강렬(?)하게 효과줘서 인코딩하시는 스타일이신듯..용량대비 좋은 화질보다는 그냥 (용량은 별루 신경안쓰시고) 화질에 욕심내시고 원본보다는 좀 색감이나 대비를 강하게 주고 쨍한  인코딩하시는 스타일이신듯....
xoQk 12-04-08 13:33
   
다른 분과 착각하신줄도 모르고 저 혼자 감격해
줄줄이 긴 댓글을 달았군요. 뭔가 머쓱해지는걸요? ^^;;;

인코딩이란 게 원래 주관적인 거라
각자 스타일에 따라 다른 옵션을 주게 되지만
저도 대강 신사동 캐백수님 의견에 동의하는 편이네요.

단지 가수들 무대 영상의 경우
요즘은 일상적이된 LED 조명으로 인해
많은 비트레이트가 필요한 건 사실입니다.
720p의 경우 최대 비트레이트를 7000정도로 보고 그 이상 주면 오버슈팅이라 했었는데
요즘은 또 비트레이트를 퍼부어 디테일을 살리는 쪽으로 인코딩하고 있는데다
전체화면으로 보는 유저까지 감안해 비트레이트가 9000에 육박하는 실정이라는 거...
근데 그리 퍼부어도 역시 LED는 답이 없다는 정도가 의견 차이인듯 싶네요.

착각에 의한 글이었지만
덕분에 의견을 나눌수 있었던 점은 좋았네요.
이 인코딩이라는 게 돈은 안되면서 하면 할수록 무지 어렵고 복잡해서
인코딩 하는 사람들 사이엔 이런 의견 교환이 참 중요한 일이지요.
제가 첨 인코딩을 시작할때만해도
메구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데가 마땅히 없던 시절이라
영어 포럼 기웃거리며 배웠었거든요. ^^;;;

이젠 국내에도 메구이 쓰는 사람들도 많아졌고
여러 사이트에 한글로 된 자료도 많아 배우기 쉬워졌지만
인코딩 자체는 역시 많이 해보고 서로 의견 교환하며 배워가는 게 정답인듯 해요.
저도 아직 그렇게 배워가고 있다는... ^^*
 
 
Total 37,66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그룹 해체로 인해 게시판 폐쇄 가생이 03-22 19417
35341 [사진] SNS 원정대 번개 모임 (트윗 사진) (2) Aster. 03-23 2212
35340 [사진] 하라야 , 5 더하기 5 는 ? 암코양이 09-11 2212
35339 [잡담] 아래 카산드라님 파일 안받아지시는 분들 보시길. (4) 루카투릴리 03-20 2211
35338 [인증후기] 카라시아 콘서트 및 공방 인증후기글 링크(업데이트.… (4) 햄스타 04-16 2211
35337 [사진] ㅋ 섹시한 막둥이 보소~ㅎ (10) 하늘걷기 06-18 2211
35336 [플짤] 호롱호롱호롱~ 승연 소리에~ (3) 환장맨 05-06 2211
35335 [사진] 130524 네일샵파리스 5회 규리캡쳐 (4) 뒷짐 05-25 2211
35334 [뉴스] 카라, 제4회 가온차트K-POP어워드 월드한류스타상 나는미리내 01-29 2211
35333 [사진] [트윗펌] 한일프렌드쉽 페스티발 추가8 & 고화질팬미… (6) 라일락향기 07-06 2210
35332 [번역] [펌]후쿠이의 편의점에서 우연히 카라를 만났다~ㅋ (7) 하늘걷기 11-19 2210
35331 [영상] 이전 소스 코드가 없는 유튜브 동영상 퍼오기 (1) 암코양이 08-20 2209
35330 [사진] 오랜만에 카라짤~ (2) 한시우 11-27 2209
35329 [니코동] IU - You & I (너랑나) (11) 직퀘 02-03 2206
35328 [잡담] 일본애니에나온 데스피사무실과 연습실 (11) 삼촌왔따 04-07 2205
35327 [잡담] 소나기13님이 연아양의 우승 반응글을 번역하셨네요~ (1) 환장맨 03-17 2205
35326 [이벤트] KBS에서 아이돌 걸그룹 투표중입니다. (29) 두치 03-14 2204
35325 [잡담] hmv에서 카라 cd나 dvd 블루레이 구입하신 분들에게 질… (4) 패닉 03-05 2204
35324 [사진] 니콜 협찬 사진 & 인가 3MC 팬아트 (6) 백세주 03-16 2203
35323 [사진] 시크릿러브 촬영지에서 지영이 움짤 (8) 암코양이 08-19 2203
35322 [사진] [트윗펌] KARASIA 2nd 2013 비공식사진 19p by @yutooo_kjel (3) 라일락향기 12-03 2203
35321 [사진] [블로그펌] 니콜촬영사진 (대전 장식미술 공방 장… (3) 라일락향기 07-13 2202
35320 [영상] 유니온베이 승연이 인터뷰 (5) 블루햄 08-06 2201
35319 [사진] 구하라 인스타그램 암코양이 11-06 2200
35318 [플짤] 150530 연예가중계. 게릴라데이트 카라/자생 나는미리내 05-31 2200
35317 [잡담] xoQk 님 인코딩시 참고하실 내용<== 사람을 착각했내… (11) 로미 04-08 2199
35316 [니코동] 100326 하라불패 EP.23 (17) 햄밀 03-29 2198
35315 [잡담] 용기사 카라 (4) 까꿍카라 03-27 2198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