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4-03-21 01:14
[공군] 인도공군 빡치셨습니다..
 글쓴이 : 호랭이님
조회 : 8,094  

 
뭐 공신력 있는 언론인지는 본인도 모르겠지만;;;
그냥 짧은 영어로 번역한건데 대략 요약하자면..
 
IAF(인도공군) 및 힌두스탄 항공( HAL )은 반복되는 su-30 의 임무 컴퓨터의 중간 비행 실패와 모든 조종석 디스플레이의 꺼짐(?)<블랙킹이라고 하는데 대략 그런 느낌입니다.> 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하고 있고 현재 가지고 있는 su30mk를 지상에 묶어두고 있으며 이에 빡친 인도공군은 자국의 항공기 수리 및 정비와 기술진 파견이라는 반복되는 sos에 대해  러시아측이 전혀 응답 하지 않고 있답니다..그것도 몇년째...
 
이런핑계 저런 핑계를 대며 전혀 인도측의 요구를 묵살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인도공군의 su30은 무용지물이라는 겁니다...
현재 인도공군의 수호이 가동률은 50%미만이며(유지보수는 러시아측 땜에 엉망이라) 이는 인도공군이 운용하고 있는 프랑스 미라지 -2000 , 미그 - 29 의 가용성 비율은 약 75 %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 인도공군측이 빡친 이유라고 합니다.
tip: 인도공군의 수호이 보유량은 200여기... 그 중 가동률이 50%미만이라는건 굴릴 여력의 수호이가 꼴랑 80여대 수준이라는거..
 
 
 
그래서 그런가 요즈음 파크파 계획에 인도가 빠지려는 이유가 나오는 군요...
여태 저렇게 빅엿을 먹었는데도 사리가 안나오는게 신기할 따름...
개인적으로 러시아산 항공기를 좋아하지 않는 이유가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성능도 뻥튀기, 유지는 개판..
유지보수가 안되는데 돈들여 살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최근 라팔도입에 적극적으로 돌아선 인도공군의 행보에 관심이 계속 갑니다.
러시아에 빅엿 한방 먹일려나요?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콰아아 14-03-21 01:18
   
러시아는 정말 믿음 안감...  다른 이야기지만 이번 소치만 봐도 걍 대노코 강도짓하는게 러시아...
사통팔달 14-03-21 01:20
   
싼게 싼게 아니긴하죠 저러면 뭐 우리나라도 f-15k pbl 하기전엔 가동률 안좋았어요
     
호랭이님 14-03-21 01:23
   
그래도 15k가 50%미만으로 떨어진적은 없죠... 말레이 공군도 미그29 빨리 도태시키고 다른 하이급 기체 알아본다고 합니다.. 가동률이 형편없어서요
     
황제 14-03-21 02:37
   
f-15k pbl 하기 전에 가동률이 얼마였는지는 알고 하는 말입니까? 80% 이상이었습니다.
점빵알바 14-03-21 01:35
   
러시아 꼬장 장난 아니네요.ㅎㅎㅎ

저러면 푸틴이 욕먹는건데...

뭐 믿구 배짱 튕기는지...
s아우토반s 14-03-21 02:08
   
나로호..쏠때도....발사체땜에...골때렸죠...우리나라 기술진과 러시아 기술진간에도 실랑이도있었고....
러시아산 무기의 신뢰도는 이미 바닥인듯....
달패 14-03-21 02:11
   
러시아산 무기가 가성비면으로는 좋은데 일단 병사들의 피로도가 좀 있고..젤 중요한게 유지보수가 어렵다는거..그리고 지네들 힘 믿고 계약한 사항도 그냥 배째라고 나온다는거...
쭌탱 14-03-21 02:13
   
이라크전 당시 영국군의 유파가동률 또한 만만치 않았죠 ㅎㅎ
작전운용비가 너무 비싸고 부품수급이 안돼서 반이상이 격납고에서 놀다 왔다는 전설이.............
     
쭌탱 14-03-21 05:35
   
제가 착각했네요. 이라크전이 아니고 리비아전이네요.
운용율이 약 30~40%대였던걸로......
사통팔달 14-03-21 03:16
   
그때 pbl안했으면 가동률 더떨어졌을겁니다.부품도 많이 안사다 놓은 상태기도했고 pbl할수밖엔 없었더랬죠.pbl전 81프로 가동률이였죠.60대중 12대쯤 서있는거도 바람직하진 않죠 이후 86-90프로로 가동률이 올랐죠.kf-16은 가동률 안좋을땐 60프로쯤됐나 그럴걸요.
     
현시창 14-03-21 06:39
   
60대중 12대쯤 서 있는게 왜 안 바람직 합니까?
그 정도면 양반인데...정기수리와 도래한 오버홀 시기까지 생각하면 그 정도 가동률이면 원래 지상에서 정비받고, 오버홀 받아야만 하는 기체를 뺀 나머지 기체를 거의 100%로 굴리는 가동률입니다.

그리고 PBL계약 자체도 가동률 84%를 기준으로 합니다.
애시당초 이 이상의 가동률은 오버홀 시기에 이른 기체 오버홀 안 하고, 정기정비도 안 시켜야 가능한 가동률입니다. 예전에 KF-16도 그 지경으로 굴렸었죠. 맨날 이벤트가 터져 1년 가까이 그렇게 굴리고 나서 추락기도 나오고 그랬었습니다.

100% 가까운 가동률이 무조건 좋고, 또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러브사냥꾼 14-03-21 12:59
   
평시 작전용 항공기 80%대 가동률은 상당히 안정적이고 정상 입니다...
현시창 14-03-21 06:45
   
예전에 인도쪽 언론을 인용해 Su-30MKI의 가동률이 60%대 미만이라고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제가 인용한 기사보다 현실이 더 참혹하군요. 아니면 그 5년전시점보다 상황이 더 막장으로 치달았거나요.
(인도군이 러시아 수송헬기 부품을 돈다발 들고 청구한지 5년이 넘었는데 지금은 구했을라나 모르겠군요. 매년 20%씩 부품값을 인상하는 정신나간 인플레율을 자랑하는 물건인지라....)

실제로 우리나라 T-80U소모성 부품값도 도입당시 10년분을 한꺼번에 도입했을 당시보다 2005년 도입분이 2배 가량 비쌌고, 현재 도입수량도 그 전 로트보다 2배 가량 비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KF-16의 유지비가 90년대 0.9만 달러에서 현재 1.6만 달러 수준으로 늘어난 걸 보면 25년간 대략 70%정도 증가했고. T-80U는 대략 400%가 불었습니다.

전차와 전투기기까 직접비교는 힘들지만. 가성비의 러시아 딱지는 좀 떼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후속지원이 거지 같아서 산 돈보다 유지하는 돈이 몇배는 깨지니까요.
전쟁망치 14-03-21 08:54
   
이래서, 국산화가 중요함...

모든 것을 국산화 하라고는 말안하겠음 적어도 전력 공백에 차질이 생길정도로만 아닐정도로 국산화하여 매꾸라는
말임...

브라질 - 스웨덴간의 전투기 체결은 정말 브라질이 잘한것 같다는 생각이 점점 드는군요... 완전 이전
ㅣㅏㅏ 14-03-21 10:05
   
러샤무기는 라이센스 생산 형태로만 들어야 할듯...
user386 14-03-21 10:47
   
당장 돈이 없다고 싼맛에 러시아산 무기 구입했다가 두고두고 쌍코피 흘리는 나라 많습니다.
도나201 14-03-21 11:20
   
글쎄요.....그래도 우리는 러샤무기땜시 어느정도 이득을 본 드문 국가 아닐까요......첫째 소방헬기....산악지형에 운영에 적합한 헬기는 찾기 힘든데... 거기에 딱 맞는 헬기을 획득...물론 문제있음. 하지만 추가 구매....한것을 보니 그닥...나쁘지만은 않은 결과, 둘째....자국산. t-80ub덕에...많은 기술을 획득하게 되었죠....당시 그저 어그레서 부대로만 운용하다가..사용해보니..헐..결국..실전배치 되었고...거기에 bmp-3까지...후에 흑표....(비록파워팩부분은 시망이지만)의 설계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죠. 가장 큰 혜택은 신궁 천궁 등 무기개발에 적극참여..비록 우리가 관리를 잘못해 쓰레기만든 사례도 있지만.. 그후 신궁에...큰영향을 주었다고 하죠...즉, 우선을 개발능력이 뒷받침이 되면 어떠한 상황이 되더라도... 좋은 사례를 만들수 있읍니다. 특히, 나로호의 경우 두번의 실패가 오히려 우리 우주산업의 10년이상의 진보를 가져다 주었다고 하죠....좀 우울하긴 하지만요... 실패를 이유로  우리연구진들이 맘껏 휘젓고 다니는 결과를 ...ㅡㅡㅔ  인도의 사례는 그들의 사상과 그들 연구진보다는 윗선의 문제가 더욱더 컷다는 사실 사실 인도의 연구진은 세계에서 우수한 연구진들입니다....그러나 윗선의 결정이 어떻게 되냐가 이런 결과를 만들기도 하죠.
도나201 14-03-21 11:24
   
뭐..대표적으로 러샤무기를 잘활용하는 국가..중 하나가 이스라엘... 나포한 무기를 씹고 뜯고 맛보고 할거 다한 국가죠..이렇게 원형을 건들지도 못하게 하면,,,,,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F-35의 결정은 개인적으로 아쉽지만..차라리 보잉 F-15의 협력생산으로 가서 확실한 전투기를 우선 만들고 난 다음....자국산을 하는것이 순리에 맞는 상황이였으나, 중국의 군사팽창정책땜에 어쩔수 없는 선택이였죠.....,,//ㅓㅜㅜ
러브사냥꾼 14-03-21 13:02
   
과거부터 현재까지 러샤무기는 정말 믿음이 가질 않네요...가끔 보이는 파크파 타령도 이해가 안간다는
     
점빵알바 14-03-22 02:55
   
한대만 살수있다면 구입하는거 찬성입니다.
점빵알바 14-03-22 02:54
   
우리나라는 러시아산 무기구입해서 뜯고 씹고 맛보고해서 단물을 많이 빨아 먹었지요.ㅎㅎㅎ.

능력것 빨아먹어야지요.

우주선도 나름 잘 빨아먹은 축에 들어가는걸로 암니다.ㅋㅋㅋ
망치와모루 14-03-22 19:47
   
미국산 무기 싫어하는 분들 중에는 그에 대한 반동인지 러시아나 유럽제 무기에 기대를 너무 많이 하시는 분들이 계시죠. 미국이든 러시아든 유럽이든 어차피 우리에겐 다 남이고 코쟁이들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