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8-16 12:17
[기타] 진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무기 도입이나 개량사업의 일정이 보안사항인가요?
 글쓴이 : kira2881
조회 : 1,134  

진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세상이 좋아져서 밀리 관련 정보들을 조금만 짬내서 찾아보면 손쉽게 얻을수 있습니다.


여기 밀게 오시는분들도 그런것들에 관심이 있어서 오시는거라 생각하고, 정보 공유를 위해 이 게시판이 있는거라 생각합니다.


여쭤보고 싶은건, 무기의 도입이나 개량사업등 군에서 진행하는 사업들의 일정, 사항들이 보안사항이라 이 게시판에 질문하는것도 안되는건가요?


보안사항이라 하기엔 이미 언론이나 군에서 배포한 보도자료도 상당하고, 이 게시판에 오시는 분들처럼 밀리에 관심갖는 국민들도 많아져서 국민들의 여론도 한몫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웬만한 사업은 이미 일정, 도입가격, 스펙, 수량, 직도입 여부 및 후속 군수조치까지 전부 공개되어있는데 말이죠.


밑에 KF-16과 F-15K 개량일정 질문했다가 군 보안사항이라고 그런거 알아서 뭣하냐는 소리 듣고,


진짜 앞으로 여기에 개량일정같은거 질문도 하면 안되나 해서 여쭤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4leaf 16-08-16 13:43
   
국방부에서 공개하는 사업계획서에 X라고 표시된 부분만 비공개인데 유추가 가능한 수준이라... 원칙은 대략적인건 공개, 세부적인건 비공개입니다.
바토 16-08-16 13:43
   
군대필이시라면  왠만한건 다 보안사항이란거 아실텐데. . .
단지 언론에 노출되었을뿐  군에서 맘잡고 잡자면 뭐. .
archwave 16-08-16 15:21
   
밀리터리에서는 알고도 모른척 넘어가야 할 부분도 많다고 생각됩니다.

고수분들 보면 해외에도 알려진 내용에 대해서만 말하는 식이죠. 보안을 고려해서 말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말한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고, 더 알려고 질문하는 것은 피하는게 암묵적인 룰인 셈입니다.

이미 커트라인에 걸리기 직전 정도로 말하고 있는데 거기서 더 나아가면 ?

이리저리 탐문해서 여기서 한 자락, 저기서 한 자락 얻어낸 정보를 재구성해서 전체를 파악하는 정보수집활동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이뤄지던 일이고, 인터넷 시대인 지금에도 스파이의 필요성이 계속 존재하는 이유.

일정을 알아서 뭐 하느냐 라는 퉁명스러운 대답은 당연한겁니다. 진짜 그거 알아서 뭐 하게 ? 란 의문이 들 수밖에요.

뭘 한다 했을 때 밀매 대부분은 아 이제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어쨌건간에 뭐가 되는거구나. 이 정도로 딱 그치는 암묵적 룰이 있습니다. 더 나가면 보안 사항이니까요.

게시판에서 대화 나오는거 보면 뭘 하면 국방 차원에서 어떤게 얼마나 좋아지고 그 무기 체계의 기술적 장단점 이런거 논의하고, 상당히 비쌀 것으로 생각되는 것들은 비용 문제가 말해지는 정도 ( 비용도 보안에 걸리기 쉬운 부분 )

일정에 대해선 국방부가 어쩐다 말하면 그게 아무리 두리뭉술 불충분해도 아 그런거군 하고 그냥 넘어가는게 불문율 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DarkMarin 16-08-16 16:07
   
일단 보안 사항 이라고 생각 하면 언급을 피합니다.  모르고 올릴 경우.. 님 그거 내려야...

댓글 올라 오면 일단 내리고 봅니다.

질문도 보안 사항 근접한 질문도 삼가 하는 편이고요

대강 조심할 건 조심하자 이런거죠
sunnylee 16-08-17 11:41
   
윗분들하고 같은 의견 입니다.
군에 무기관련 사안에 따라 종사자,연구원들 실제 비밀 준수 서약서에 서명 합니다.
왠만한 밀리,군사전문가들 역시 더 자세한 사항을 알고 있엇도
 언론보도에 나온 이상 자세히 언급은 자제하죠.

제가 아는분 한분은
미군8군 통신 민간 군무원으로 장기근무 하시면서 책임자 자리까지 오르시고 은퇴하셨는데.
은퇴후 민간기업 취업및,해외여행시 최소 4년정도 제한을 받았다고 하시더 군요

5년째부터 해외여행 부터  해제.
하지만 적성분류국가, 북한하고 외교관계가 있는  일부 동남아,동구권 국가는 여전히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