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1-15 21:13
[질문] 질문)해병대 상륙훈련 할때요
 글쓴이 : 씹덕후후후
조회 : 2,820  

8.jpg

11.jpg

18.jpg

왜 군장을 매고 하는거죠

영화 같은거 보면 상륙정이나 장갑차를 이용해 상륙을 하는데 

상륙을 하는 동시에 적들이 공격을 하게 되는데 군장을 왜 매고 하는지 모르겠네요

몸이 무거워 져서 움직임도 느려지고 그러면 적한테 표적이 될거 같은데

아니면 그냥 훈련이라 바로 숙영하려고 하는건지 실제로도 그런건지

그냥 추진으로 하면 한되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마트MS 15-01-15 21:20
   
음...

으음...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기가 은근히 힘드네요...으음..

상륙부대나. 공수부대나. 알보병이나 작전시에는. 단독군장 보다는. 완전군장이..
     
씹덕후후후 15-01-15 21:22
   
공수나 보병은 그렇다 하겠는데

상륙부대는 일딴 상륙을 하고 물자 추진할대 같이 하면 될거 같은데
전쟁망치 15-01-15 21:37
   
실제 전투 상황이라면 저 무거운 배낭은 뺄겁니다


상륙전이 성공적이게 된다면 그후에 후송 부대나 보급부대가 갖다주죠




저건 기초중에 기초인데요
스포티지 15-01-15 22:44
   
상륙 부대가 제 1파,2파,3파 연속으로 상륙 성공할지 어떻게 장담 할까요?
상륙 부대는 최악의 조건인 고립을 상정 해야지요...
일단 상륙을 하면 어떻게든 상륙 거점을 확보 해야죠.. 그래서 상륙 부대는 최대한 탄과 식량을 가지고 가서 작전 가능 일수를 길게 해야죠.
     
마왕등극 15-01-16 00:08
   
ㅇㅇ 군작전의 기본은 실패했을 때를 상정해서 작전을 짜니까 상륙이 실패했을 시 고립무원이 되더라도 '소그룹 단위로 인근 부대와 합류>전장의 이탈>생존'하기 위해 완전 군장을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카더라 통신에 의하면 완전 군장하면 후방에 대해서 방어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아참, 가장 인기있었던 설은 '내 위로는 다 강아지라서.'입니다. ㅋㅋ
SRK1059 15-01-15 22:49
   
상륙 작전 시 적 해안에 상륙을 하면
상륙 지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상륙 지점 수 km 바깥까지 진출하여 교두보를 형성해야 합니다.
교두보를 형성한 후에 후속 병력의 상륙을 엄호해야 하는데
그 기간 동안에 보급이 어떻게 진행될지 장담을 못합니다.
그래서 최소한 2-3 일 동안 작전을 벌일 수 있는 탄약과 식량 등의 물자를 휴대해야 하는 겁니다.
그러다 보니 완전 군장이 되는 것이고요.
     
일혼 15-01-15 23:12
   
미군은 멍충해서 군장 안맨는 것이군;;

상륙후 은엄폐는 필수인데..

노르망디 상륙작전등 영화만 봐도 아실텐데;;

군대 있을때 괜히 전쟁영화 틀어주거나 전쟁영화 보고 따라하다가 훈련받다

죽는게 아닌뎅;;

게다가 단순상륙정도 아니고 LVT7에 탑승후 상륙이면 LVT7에 군장놔둔후 나중에

군장찾으면 되지 실전에서 저런 군장은 그냥 표적되기 쉽상

글쿠 실제 상륙작전에서는 LVT7이 모래사장까지 가서 내려주는게 아니라,

LVT7이 피폭당하거나 하면 바로 바다로 뛰어들어서 걸어서 상륙해야하는데

모포및 기타 등등 바닷물 흡수하는 것들 때메 그냥 스스로 나 죽여줘라는 말
          
ultrakoo 15-01-16 09:44
   
영화요 ?
          
SRK1059 15-01-16 11:29
   
영화요?
영화에서도 군장은 다들 메고 있습니다.
자신이 사용할 탄약과 식량, 삽등을 넣고 묶은 군장을 메고 있습니다.
다만 그 군장이 지금처럼 매우 크기 않으니 상대적으로 군장을 메지 않은 것처럼 보일 뿐이지요.
노르망디 상륙작전?
라이언 일병 구하기나 The Day라는 영화를 보더라도
다들 군장을 메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나그네21 15-01-18 05:57
   
어떤 상륙전 영화를 보신것인지?
adfawegh 15-01-15 23:18
   
뭐 무술영화보면 훈련할때 다리에 쇠고랑차고 연습하다가 실전에선 쇠고랑풀고싸우는것처럼 훈련의 일환아닐까요
     
일혼 15-01-15 23:20
   
ㅇㅇ 저두 그렇게 생각해요 괜히 각잡기 좋아하는 윗대가리 때문에 저러는듯

한국 해병대 LVT에 같이 탑승하는 미군도 군장안매는데;;

실전에서 군장매고 갔더라도 죽기 싫으면 살려고 바로 집어던질텐데
          
adfawegh 15-01-15 23:45
   
아 미군들은 군장안매나요? 처음엔 실전을위해 필요한일이라고생각햇는데 실전을중시하는 미군이 그런다니까 생각이바뀌네요..진짜 우리나라 똥각이랑 똥군기는없애야되는데..
khon 15-01-16 01:40
   
진제 전투시에는 방수처리 할겁니다.
그리고 상륙전할때 lvt aav 고무보트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륙하는데
군장을 장비에 두고 할수 없는게 장비는 바닷속이든 육지든 제1의 표적이기 때문에
lvt에 놓고내릴수도 없죠.
그리고 상륙전이 뭐 금방 끝날수도 있지만 장시간 걸릴요지가 높기 때문에
군장없이 들어가기도 뭐한거죠.
해군이 바다위 후방에서 포사격해주고 해병이 상륙해서 싸우는데 단기간에 고지를 점령하기란 쉬운게 아닙니다.
상륙이 성공하게되면 적으로서는 상당히 위협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1차2차3차 계속해서 병력투입을 하게되고
해변이나 상륙지점에서 얼마안되는 지점에서 장기간 전투할 상황이 온다면 배나 헬기로 보급할수 있는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 올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2~3일정도 전투할수 있는 식량과 탄약 모포는 가지고 들어가야 하는거죠.
다른의견 15-01-16 02:01
   
상륙을 노르망디 해안가로 여기시나 보네요...
일단 소규모의 저항밖에 없는 곳이나 없게 만들고 상륙합니다. 
그리고, 수Km를 쑤욱 들어가서 숙영하면서 작전합니다.  당연히, 완전군장이상의 물자가 필요하게 됩니다.
제시켜알바 15-01-16 04:52
   
여기 댓글을 보니 그냥 똥군기니 보여주기식이니 조롱하는 사람들 많네요.
물론 자기 생각 좋다 이겁니다. 그러나 최소한 자료나 찾아보고 우리나라군을 조롱했으면 합니다.
사실 같은 한국인이란 생각도 들지도 않지만...

상륙전의 순서 크게
1. d day 5일전부터 2일전까지 선견작전을 합니다. 기뢰나 암초등을 제거.
2. d day 2일까지 전투기 함포 미사일등 화력을 동원하여 상륙할곳을 초토화 시킵니다.
3. d day kaav를 이용해 상륙군이 상륙을하여 잔당을 소탕합니다. 공격형헬기 또한 합세합니다.
4. 하늘에선 수송기로 적후방에 공정대대를 낙하합니다.
5. 수송헬기로는 유격대대를 공중돌격하여 후방에 강습시킵니다.
6. 상륙본대가 상륙합니다. 이때 전차등 화력과 보급이 추가되어 전력이 증강됩니다.
7. 상륙교두보 확보후 내륙으로 증원된 화력과 함께 진격합니다.

위 사진의 경우 해상돌격후 해안접안시 사진인데 이미 그 일대는 쑥대밭이 되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저 상황에서의 상륙군은 잔당처리 정도의 역활입니다. 하늘에서 공격헬기가 엄호하고 마찬가지
상륙장갑차 자체에도 화력이 있습니다. 물론 함포에서도 증원될것이구요.
여기에 상륙본대의 탱크와 각종 대대화력들이 더해집니다.
뭐가 그리도 못마땅해 미군과 비교를 하며 조롱하는지 모르겠지만 보여주려고 완전무장메고하는게 아니고
필요에 의해 하는겁니다. 저렇게 접안후엔 분대별로 돌격하는데 정말 눈돌아갈 정도로 힘듭니다.
특히 분대의 화기 옛60이나 k3사수들은 더욱 힘들죠.
무조건적인 비난보단 격려가 우리군에 힘이됩니다. 그리고 조롱하지 맙시다.
ultrakoo 15-01-16 09:44
   
미군도 군장 메고 상륙합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영화 ?! 이야기 하시는분있는데..;;;;

당시 군장 메고 상륙했습니다.
뭘 좀 아시고 이야기 하시지...


또 한미상륙 훈련에서 군장을 메고 상륙하는 사진들 당시자료 조금만 찾아봐도 알수있는일인데...
꾸물꾸물 15-01-16 11:56
   
놀망디 얘기하시는데... 놀망디는 계획상 방어선을 괴멸시키고 들어가는 거였습니다. 전력도 압도적이었지요. 추가 보급 추진에 전혀 문제가 없는 상황.

실전에서는 위에 사진처럼 완전군장 보다는 미군교리 받아들여서(지금은 바뀌었는지 모르지만) 탄약과 식량위주로 채울겁니다. 태평양전역에서 과달카날이었나? 어디였더라? 교훈이 있어서... 추가보급 추진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었다보니 상륙한 병력의 탄약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되었었으니까요. 당시 한 번 큰 고민에 빠진 이후에 상륙작전시 보급물품의 적재순서와 적재방법, 추진우선순위 등과 관련해서 대대적으로 손질했었지요.
빗방울보 15-01-16 12:54
   
미드 전쟁드라마 퍼시픽에서
주인공이 전투 도중 목이 말라서 죽은 전우 수통을 꺼내 먹을려고하니.. 그거 조차도 물이 없어 "어떻게 물도 없이 전투에 내보냈냐"는 하소연하는 장면이 생각나네요..이 장면이 상륙후 인지 아님 그냥 일반 전투 였는지는 기억이 안 나지만요..
     
나그네21 15-01-18 06:01
   
상륙 성공후에 비행장 점령전때 상황 아닌가요?
구름위하늘 15-01-16 13:08
   
해병대가 하는 것이 일반 육군이 배타고 상륙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라 완전군장해야 할 것 같은데요?

해병대가 상륙 후에 집결하고 치장물자 재배급하고 이런 식으로 작전을 진행할 수 있는 상황이면,
그냥 육군을 배에 태워서 상륙시켜도 되는 상황입니다.

해병대는 상륙 후 부터 바로 작전에 들어가야되고요.
소규모 집결은 가능해도 치장물자 재배급이고 뭐고 할 시간 없이 바로 작전목표 수행에 들어가야 합니다.

소설상의 설정이지만 3가지 정도의 작전목표가 있었고, 그걸 하루에 수행하는 것도 아니었음.
구름위하늘 15-01-16 13:17
   
몇가지 자료를 찾아보니, 비교적 정보가 많은 것이 아래 링크의 글이네요.

해병대 상륙훈련 완전군장 문제!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num=177861
ROKMC985 15-04-24 17:34
   
매고 하라니깐 했죠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