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6-26 03:31
[질문] 독일은 로켓 안만들어요??
 글쓴이 : 어머
조회 : 3,371  

예전부터 가지던 의문인데...

애초에 지들이 발명한 물건인데다
기술력도 절대 떨어질리도 없는데 얘들이 로켓을 만든다는 소릴 단 한번도 들은 적이 없네요.

세계 온갓 나라들이 다 만든다고 난리인 로켓을 독일이 만든다는 소문 들어보신 분??

독일의 우주산업 발전정도에 대해서 아시는 분??


P.S
더불어 얘네들 미사일 만든다는 소리도 한번도 들은 적이 없네요.
안만든데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촌티 16-06-26 03:43
   
독일도 미사일 만듭니다.
우리나라가 도입한 타우러스라는 공대지 순항 미사일도 독일에서 만든겁니다.
(정확하게는 독일과 스웨덴의 합작)
미국 애들이 지들꺼 안판다고 해서
(왜섬애들이 팔지말라고 로비했다는 카더라가 있습니다.)
독일꺼 좀 비싸지만 사왔습니다.
현재 타우러스를 만든 회사는 계약에 따라
미사일 부문에서 일정 부분 한국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압니다.
archwave 16-06-26 05:01
   
독일이 독자적으로 하지는 않고 유로 애들이 모여서 하는 유럽 우주국(ESA) 중심으로 하고 있죠. 다만 ESA 지분 60 % 를 프랑스가 갖고 있습니다. 독일도 꽤 큰 비중일거 같긴 하고요.

유럽 애들은 뭘 해도 모여서 공동으로 합니다. 얘네는 다들 상대적으로 작은 국가들이라서 어느 한 나라가 독자적으로 뭔가 하긴 무리니까요. 영국은 예외적으로 독자적으로 하는게 꽤 많음. 로켓 역시 독자적으로 하고 있고요.

ESA 가 내놓은 것으로 아리안 로켓 시리즈가 있습니다. 전세계 인공 위성 발사 수요의 절반을 얘네들이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죠.
참치 16-06-26 07:55
   
ESA는 참여지분면에서는 독일(24.6%), 프랑스(22.2%), 이탈리아(10.2%), 영국(9.9%)이 주요참여국이다. 하지만 기술면에서는 프랑스의 CNES가 핵심이 되며, 주력 발사체인 아리안 로켓의 제작 등에는 아리안스페이스(Arianespace)사가 협력하고 있다. 아리안스페이스는 참여지분면에서 프랑스(60%), 독일(18%), 이탈리아(10%)가 주요참여국이어서 발사체 개발에서는 사실상 프랑스가 핵심국가이며 독일-이탈리아가 협력하는 추세이다.

[출처] 20. 통합 유럽의 꿈 - ESA와 아리안 로켓.|작성자 엘랑
SuperEgo 16-06-26 12:48
   
독일은 전범국으로 로켓개발의 제약같은게 있지싶은데.. 그런건 없나보네요.
     
참치 16-06-26 13:13
   
ㅡㅡ;; 갑자기 왜 그런 생각이 드셨는지...  전범국인 일본은 M-V라는 139톤짜리 세계최대 초대형 고체로켓도 있었는데요.

독일이 제한받을 이유가 없죠.
          
archwave 16-06-26 17:08
   
그 물건은 2006 년으로 종료된 물건입니다.

그리고 페이로드도 저궤도는 1850 kg, 정지궤도는 500 kg 정도라서 그리 큰 것도 아니고요. 오히려 작은 쪽이죠.

고체로켓으로서는 미국의 Minotaur IV+ 보다 약간 작은 페이로드로서, 거의 한계 수준의 물건 ( 특히 경제성 측면 )

이 정도 스케일 고체로켓은 정상적인 민간용 로켓이 아니라 ICBM 용으로 만든 것을 민간용으로 돌려서 쓴 것 정도로 봐야 할 듯 합니다.
sonicyouth 16-06-26 13:46
   
독일이 일본보다 매우 심하게 제한을 받았다고 알고 있는데요.
     
모래장수 16-06-26 14:49
   
민간용일 경우 제약이 없고, 군사용일 경우 mtcr의 통제를 받을 뿐이지만 이는 수출에 제약이 있는 것이지 개발에는 제약이 없습니다.

한국이 통제를 받는 것은 미국과 맺은 한미 미사일협정에의한 것입니다.
          
archwave 16-06-26 17:23
   
미국의 동맹들은 어떤 형태로든 제약을 받습니다. (소련/러시아의 동맹도 역시 마찬가지) 명시적이 아니라도 미국, 주변국과 외교적 마찰이 없는 한도내에서 가능할 뿐이죠.

한미 미사일협정도 외형적으로는 한미간의 협정이지만, 실은 한국 주변국(중국,러시아,일본등)의 입김이 더 많이 작용한 것으로서 외교적 협상의 결과일 뿐이죠. ( 실제로 사거리 연장도 미국 국방부는 ok 라도 미국 국무부가 태클 걸어서 제한 당하는 식임 )

독일의 경우 민간용 로켓조차 자체 개발하는 것이 없고, 프랑스 주도의 유럽 우주국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식이죠. ( 유명한 아리안 시리즈 )
     
하지마루요 16-06-26 23:53
   
아닐걸요. 굳이 쏠 이유가 없어서 안하는걸겁니다. mtcr은 기술 이전을 하지 말라는 거지 개발을 하지 말라는게 아니에요. 심하게 제한받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죠. 전범국도 쏘는 상업용 고체로켓도 우리는 못쏴요. 한미미사일협정이 mtcr보다 훠얼씬 독한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