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10-06 13:39
[해군] 해경 경비함의 전시 활용에 대해
 글쓴이 : 크루즈777
조회 : 2,761  

전쟁은 모두가 아시다시피 국가 총력전입니다.

해경의 경비함들도 전쟁시 그 나름의 임무가 있을 것인데,

해군을 보조하는 전력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 없는가 생각해봅니다.

-----------------


우리 해경 경비함 현황(나무위키)


. 삼봉급(만재 6000톤급) 2척

. 태평양급(만재 3000톤급) 13척

. 제민급(만재 2000톤급) 12척

. 한강급(만재 1800톤급) 9척

. 태극급(만재 600톤급) 20여척

. 해우리급(만재 400톤급) 21척


(이상의 만재 배수량은 대략적인 값이며 각 함이 조금씩 다름)

----------------


우리 경비함의 무장은

2016년에 취역한 삼봉급 이청호함에 오토멜라라76mm 함포가 있는 걸 제외하면

대부분 40mm노봉이나 20mm발칸이 주를 이루고 있네요.


순수한 해경 임무만 고려한다면 그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겠지만,

국가 총력전인 전쟁시 활용을 위해서는 그것만으로는 부족할 듯합니다.

(물론 해경이나 해군 차원에서 그 활용계획이 있을 것입니다만.)


제 생각에는, 휴대용 대공미사일(신궁: 사거리 5km)과 함께

휴대용 대함미사일(스웨덴 해군의 RBS-17: 헬파이어 개조형, 사거리 8km )같은

휴대용 미사일을 전시에 갖춘다면 해군의 보조전력으로 보다 쓰임새가 많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물론, 평시에 그에 대비한 장비 및 훈련이 준비되어 있어야겠고요.


다른 더 좋은 활용법이 있을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Coollord 19-10-06 13:56
   
해경 경비함의 최대 문제는 화력이 아닙니다.

님 말대로 임시 거치할수 있는 미사일발사관나 어뢰 발사관 같은건 그리 어렵지 않죠.

제 생각에 최고의 문제는 레이더입니다.

애초에 달린 래이더 자체가 목적이 달라서...그걸 뜯어고치고 군함으로 전용하는건...그리 쉬운 문제가 아닐겁니다.
     
크루즈777 19-10-06 14:07
   
네, 아무래도 레이더의 한계가 있어서 제대로 된 대공 대함미사일은 어렵겠죠..
불꽃요정 19-10-06 14:01
   
솔직히 말씀드리면,
연안으로 침투할 수 있는
적 특수부대 정찰, 감시 이외에는
딱히 전투에는 도움될 일이 없어 보입니다.
위에 나열하신 무기 체계를 갖추더라도 말이죠.

자.살 특공조 역활로
해성 대함미사일 설치하고,
적 함정에 우르르 10척 이상씩 돌격하지 않는 이상.
솔직히 10척이 달려들어도
한 발이라도 명중시킬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지만 말이져.
그 전에 전부 격침.....

차라리 보급형 소나 전부 설치하고,
잠수함 탐지 시스템 갖추고,
경어뢰인 청상어 달고,
수량빨로 대잠 작전 서포트하는게
그나마 도움이 될 듯.
     
크루즈777 19-10-06 14:10
   
보급형 소나와 청상어가 가능하다면 엄청나게 도움이 되겠네요..
경비함들이 달고 다니면 그물망이 그 만큼 촘촘해지는 것이라..
salanghaeyo 19-10-06 14:07
   
국내AESA 레이더 개발완료로 인하여  이제는 가능하게 됬다고 볼수는 있습니다

문정권 들어와서  함대공미사일 해궁개발완료 실전배치대기중 이라서  신궁은 필요없습니다
국산 함대함 해성 미사일 성능 엄청나게 좋습니다  또한 해궁기반 극초음속 함대함 미사일 개발중 입니다
움직이는 배에서 휴대용 미사일은 의미가 없습니다  또한  레이더성능도 많이 딸리구요

이제 국산 AESA레이더가 개발되서  우리나라 국방력은  앞으로  상상할수 없을 정도로 강해질껍니다
또한 우리나라 IT기술이 합쳐저서 육해공 링크를 하려고 문정권이 지시를 했답니다
진짜 엄청난겁니다 육해공이 AESA레이더에 위성링크  우리나라는  전차에까지 링크가 되니깐
어메이징입니다  SF애니메이션에서나 하는걸 우리는 실현단계에 왔으니깐요
앞으로 5개의 군사위성까지 쏜다고 합니다  드디어 자주국방의 길이 열린겁니다
     
크루즈777 19-10-06 14:19
   
AESA가 해군과 해경에까지 보급된다면 많이 달라질 수 있겠군요.
데이터링크가 고도화되면 경비함이
미사일 셔틀로서 후방에서 해성미사일을 지원하는 것도 불가능하진 않겠다는 생각이..
사통팔달 19-10-06 17:56
   
딴거 다떠나서 해경함들은 느려서 군용으로 써먹기에 배설계자체도 달라서 최대한 싸게 만들려고 배자체 재질도 군용보다 한참 떨어지죠 군함처럼 격벽구조도 잘 못해요 6천톤급이 윤영하보다 쌉니다.
임펙트 19-10-07 00:02
   
해경함은 사통팔달님이 언급한대로 하드웨어적으로도 문제지만, 군함정도의 전투지휘체계도 없기에, 전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것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미 해안경비함들의 사례를 참조하여 보다 나은 전장장비로 개량하고 데이터링크를 활용해서 그 역활을 좀 확대할 수 있긴합니다.

 장비하고있는 76mm함포와 20~40mm의 대공포로 유사시 대공방어에 참여할 수 있겠고 빈약하지만 장비한 소나나 없으면, 견인 소나정도를 장착하여 폭뢰정도를 투척할만한 장비를 임시 장착하여 항구인근의 얕은 바다에 제한적인 대잠전을 수행할 수 도 있을겁니다.

 적특작부대의 해안침투등을 막는데에도 그럭저럭 활용할만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