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12-29 15:29
[해군] 우리나라 이지스함(KD-3)에는 CEC체계가 없습니다
 글쓴이 : 별나라얼큰
조회 : 4,283  


미 해군 이지스함이 보유한 CEC(합동교전능력)는

우리 해군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에는 탑재되 있지 않습니다.


CEC체계는

일본 신형 마야급 이지스함과 

호주 호바트급 이지스함에는 탑재 되있습니다.


CEC체계로 더욱 효과적으로 수평선너머, 초수평선 작전를 하기 위해서는 

CEC탑재 E2D 조기경보기와 SM-6미사일이 필요합니다.

우리 해군의 도입될 세종대왕급 배치2 이지스함에는 이 CEC체계를 
탑재하기를 바랍니다. 


세종대왕급 배치2 이지스함 과 E-737 조기경보기가 CEC체계로 업그레이드 되고

이지스함에 SM-6 미사일이 탑재된다면  200-400KM 거리에서 전투기,해상초계기를

요격할수 있을겁니다.  

SM-6 미사일에 대해서는 현시창님이 전에 좋은 글 올려주셨습니다.

저 또한 우리 이지스함, E-737이 CEC성능개량이 되기를 바랍니다. 


또한 한척의 CEC탑재 이지스함에서 SPY-1D 레이더를 가동하고 다른 해상에 CEC탑재
이지스함은 이지스 레이더 정지, 전파침묵상태에서도 CEC 데이터링크에 의해 실시간으로 
2대에 이지스함에서  

다수에 가상 표적, 적전투기에 SM-6미사일을 발사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 해군 SM-6 미사일이 고가여서 많은 수가 우리 신형 이지스함에 탑재될지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SM-6 함대공미사일은 우리 공군이 도입한 F-35A에서 데이터링크로 중간유도할수 있습니다. 

신형 이지스함이 CEC체계 이지스함이 된다면 다수에 가상 적 구축함에 대해 다수에 대함미사일, 
계획된 초음속 대함미사일을 탑재해 동시 발사, 격침 시킬수 있다는 것입니다. 


CEC(합동교전능력)체계가 이지스함에 탑재되려면 PAAA 안테나(Planar Array Antenna Assembly)
탑재되야 합니다.


다른분 자료를 올려보겠습니다.

나무위키는 여기로 잘못 올리면  글쓴 것이 한번에 날라가는 군요. 에구;


EDc404HUwAAPuzl.jpg

EDc404RU8AAZjYY.jpg

1567490056.png

1567490057.png
CEC용 안테나인 PAAA(Planar Array Antenna Assembly)가 설치된 후 항해하는 모습

EDNRtsDU4AIVsDC.jpg

추가로 해자대가 FC 네트워크와 CEC 연접 실현 가능성에 관한 조사 연구 용역 냄. 실현되면 이지스가 자국산 함대공 미사일 유도 시키고, 30FFM이 SM-6 유도가능


----------------------------------------------------------------------



마야급 구축함(이지스함)



특징[편집]

마야급은 선체 길이가 아타고급 구축함 대비 5m 더 길어졌고, 기준 배수량은 8,200톤으로 500톤 가량 증가했다.

또 다른 차이점은 추진방식이 COGLAG라는 점이다. 기존 아타고급은 COGAG (COmbined Gas turbine And Gas turbine)으로 추진했는데, 이는 순항속도나 고속에서나 둘다 똑같이 가스터빈 엔진을 돌리는 추진체계[4]이고, 27DDG의 COGLAG 방식은 순항속도에서는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된 전기로 전기모터를 돌려 추진하고, 고속에서는 가스터빈이 직접 추진하는 가스터빈-전기복합추진체계(Combined Gas turbine-eLectric And Gas turbine)이다. 전기복합추진은 순항운행중 수중방사소음을 현저히 낮추어 잠수함이 함정을 탐지할 확률을 현저히 줄여줄 뿐만 아니라, 자함의 소음이[5] 준 만큼 함수소나의 효율은 극대화 되고, 대어뢰기만책등의 효율 또한 상승한다. 이 추진체계는 이미 아키즈키급의 개량형인 아사히급에도 적용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해군 함정 중에는 2016년 진수되어 2018년에 취역할 대구급 호위함이 CODLOG(COmbined Disel-eLectric Or Gas turbine) 체계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CEC(Coo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 즉 합동교전능력도 부여됐는데, 이는 항공자위대가 도입 중인 E-2D 조기경보기와 관련이 깊다. 현재 미국 해군은 CEC를 통해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존 폴 존스(John Paul Jones)함에서 발사한 SM-6 함대공 미사일을 E-2D 조기경보기가 관제해 360km 거리의 표적 드론을 요격하는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즉, CEC의 부여는 함대방공능력을 초수평선(超水平線)까지 확대시킬수 있게 된다. 일본은 2018년 방위예산안에 SM-6 도입을 위한 비용을 편성해 마야급에 NIFC-CA FTS 능력을 부여하게 되었다. 더불어 E-2D는 탄도미사일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효과적인 탄도미사일 방어가 가능하다.

소나 시스템으로는 알레이버크 플라이트 2A에 탑재되는 최신 함수 소나인 AN/SQQ-89A(V)15와 더불어 MFTA(Multi-Function Towed Array Sonar), 즉 다기능 예인소나가 조합된 AN/SQS-53C 바이스태틱 소나 시스템을 탑재해 장거리 정밀 대잠탐지 능력이 확충되었다.

추가로 AN/SPQ-9B 대수상레이더가 탑재되는데, 이는 이지스 레이더의 저공 탐색 능력을 보완하는 X밴드 레이더로써 알레이 버크급 플라이트 III에 장착될 계획이 있다. 호주의 호바트급 또한 이 레이더를 장착했다.

무장은 기존 90식 함대함 미사일이 아닌 12식 지대함 미사일을 개조한 신형 17식 함대함미사일과 미국과 일본이 공동개발한 신형 탄도탄 요격 미사일인 SM-3 Block 2A를 탑재하게 된다. 또한 2015년 발간한 방위백서에 따르면 가까운 미래에 레이저 방어 시스템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6]

이외에도 헬기 구속 및 이송 시스템(Recovery, Assist, Secure and Traverse : RAST)[7]과 미쓰비시 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GPS 기반 착함 지원 시스템(Ship Landing Assist System : SLAS) 등으로 이루어진 회전익 항공기 지원 시스템이 설치된다.

----------------------------------------------------------------------------------------------------------------------

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463617
namu.wiki/w/마야급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별나라얼큰 19-12-29 15:46
   
랑희 19-12-29 16:27
   
잘읽었습니다.  이제 세종급이 cec 능력이 부제하다는것을 알려주십시요. 마야급과 sm6 이야기 말고요.. paaa 는 cec의 한수단이지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별나라얼큰 19-12-29 16:53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랑희님  미해군 알레이버크급 이지스함에 있는 AN/USG-2 CEC 공동 교전 체계 링크 안테나, PAAA 안테나 없이 그리고 이지스함 BMD 전투체계 개량 없이는 미군 CEC 가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에는 CEC 안테나, BMD 업그레이드 안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 이지스함에 CEC안테나가 있고, BMD 업그레이드를 했나요?

마야급 이지스함 CEC 나무위키에 있습니다.
CEC 안테나 , BMD 성능개량 없이 이지스함 CEC가 되는지 알려주실래요?
     
랑희 19-12-29 18:56
   
별나라님 안녕하세요!  랑희 입니다.  본의 아니게 별나라님 게시글을 찾아보았는데 해군에 관심이 많아 보이셔서 너무 반가웠습니다. 저도 그나마 아는 분야가 해군쪽이라서요.
앞으로 종종 토론도하고 정보도 공유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쪽지 보내기가 되질 않아서요...ㅠㅠ
          
별나라얼큰 19-12-29 19:55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이 계통이 아니어서
많이 부족합니다. 저는 웹 검색,  뉴스를 통해 정보
보고 있습니다. 밀리돔, 보수적 비밀 싸이트가
있겠네요. 가끔씩 여기서 보면 될것
같습니다.
랑희 19-12-29 17:06
   
우선  별나라님과 저 와의 cec 체계에대한 견해부터 좁혀 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별나라님은 Bmd 를 포함 한 전체 체계를 cec로 생각하시는 것같고  저는 bmd 능력배제 한 국한된 cec를 이야기를 하는것 같네요.  지식이 해박하시니  이정도면 paaa가 어디에 국한된 안테나인지 아실거 같습니다.
당나귀 19-12-29 17:23
   
우와... 댓글들이 일반인이 아니고 전문가들 모여서 토론하는듯 하네요...
대팔이 19-12-29 22:28
   
BMD와 CEC는 별도의 체계입니다..
랑희 19-12-29 23:44
   
레벨별로 글쓰기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것인지..... 글쓰기 권한이 없다고 나오네요...
나중에 기회가 오면 전체 내용 간추려서 올려보겠습니다.

합동전술데이터링크의  확실한 정보가  학국통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함정 전투체계 전술데이터링크 개발현황 " 에 확실하게 나와 있습니다.


요약
국내 개발 함정 전투체계는 Link-11, 위성ISDL, JTDLS(합동전술데이터링크) 등 다종의 전술데이터링크를 운용하고 있으며, 각 전술데이터링크는 고유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술데이터링크로 표적, 교전 및 무장정보 등과 같은 전술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함정에서 운용되는 다종의 전술데이터링크는 복수의 전술상황도(CTP), 주요기능 중복으로 업무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상존해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술데이터링크를 통합형 구조로 변경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 함정 전투체계에서는 위성ISDL,
KNCCS, JTDLS 체계가 해군전술C4I 성능개량체계로 통합되어 운용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개발 함정 전투체계 전술데이터링크 개발현황을 고찰하고, 해군전술C4I 성능개량체계의 Host Interface 메시지와 위성ISDL의 I 메시지를 비교분석하여 해군전술C4I 성능개량체계의 발전사항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별나라님이 원하신다면 원본 보내드릴수 있습니다.  아울러 인터넷은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지만 잘못된 정보도 많기에 저는 보통 국회 학술지나  학국학회논문지를 주로 봅니다. 

참고하기에 좋은 관련 문헌들
- 국방정보기술표준, “Link-K 호스트 인터페이스 메시지 V1.0,” 국방부, 2014.12.
-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 소개자료,” 2014. 08 [8] 김현종, 이상용, 박헌제, 이기석, 이은재, 김상준, 이윤정,
-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과학기술아카데미, “전술데이터링크 기술 (심화),” 2015.
별나라얼큰 19-12-30 02:44
   
마야급 이지스함  나무위키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개요
[편집]
2017년부터 건조를 시작한 일본의 신규 이지스 구축함. 총 2척이 건조될 예정으로 하타카제급 방공 구축함을 대체한다. 세간에는 아타고급 개량형 등으로 알려져있으며, 일본 측에서는 아타고 플러스급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레이더는 기존 아타고급이나 대한민국 해군의 세종대왕급과 동일한 AN/SPY-1(V)를 사용할 예정이지만, AN/SQQ-89(V)15 소나 시스템 및 AN/SPQ-9B 레이더를 탑재하며, Baseline 9C와 BMD 5.1, CEC 등 최신 전투체계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이외의 국가들이 운용하는 이지스함 중에서 미 해군의 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IIA Restart 최후기형에 가장 근접하는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베이스라인 9로 개량해야지 SM-6 미사일, CEC를 쓸수 있겠군요.
     
랑희 19-12-30 03:40
   
. 좀 직설적으로 말씀드릴께요.  Cec 와 bmd를 같은거라 생각하시는것 부터 잘못된것입니다.
어떤 목표물에대해서  어떤 배든 항공기등에서 탐지된 데이터를 다른 배나 항공기가 공유해서 같이 싸울수있으면 그것을' 합동교전능력' 이라고 부르는겁니다.  별나라님이 말씀하는 cec는 자꾸 bmd를 cec라고 말씀하시는거구요. 
베이스라인이 2이든 7이든 9이든 md제외한 cec는 다 쓰는거고  베이스라인이 오래된  이지스함들의 bmd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 paaa 같은 안테나를 달아서  정보공유를 하는거에요. 최신버전이 아니고 후진버전에 데이터를 던저주기위해 존재하는 것이라 ㄱ....

.... 그냥 제가 나무위키 편집가능한 방법을알아보고  나무위키를 편집하는게 빠를것 같습니다. 

이야기 재미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Alice 19-12-30 08:52
   
분위좋은 토론~~~~~~~~
개인용 19-12-31 09:26
   
멋진토론잘보고갑니다
구름위하늘 20-01-02 16:22
   
개인적으로 CEC 는 비용대비 효과는 적고
사용 가능한 경우의 수가 적은 멋내기 기능으로 생각합니다.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그다지 불편할 것 같지 않은 기능으로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