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12-17 21:54
[공군] t-50훈련기 미국 판매
 글쓴이 : 피데기먹자
조회 : 3,941  

t50한대 팔면 록히드마틴에 4억이 가는데...
 
미국이 이번에 t50선택해도 손해볼건 없을텐데 한국꺼 좀 사줬음하네요.
가격도 싸고, 전체 디지털화되어 있어서 F35나 F22처럼 사용법도 크게 다르지않아
혼란도 없을테고...이미 검증도 된 기체이기에 미국 입장에서도 아주 좋을듯하네요.
1000대를 바꾼다면 록히드마틴에 무려4000억 이라는 큰 돈이 가니 거기서 또 세금도 걷고 ...
 
애초에 자국인 미국제 무기보다 가격도 싸고, 돈도 다시 리턴하니
뭐 미국입장에선 아주 괜찮을꺼 같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현시창 15-12-17 22:55
   
하나 알아두셔야 할 게...
T-50이 T-X로 채택되어도 생산은 록마가 합니다. 어차피 미국내 판권은 록히드마틴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관사는 록마이고, KAI는 협력사입니다. 즉, T-X사업이 T-50으로 결정되도 KAI 가 생산하는걸 수출하는것이 아니고 록마가 미국내 자사 공장에서 합니다.

원래부터 미국의 원칙자체가 미군에 배치되는 병기는 미국에서 최종 조립생산해야만 합니다. 그래서 에어버스나 BAE같은 세계유수의 방산업체들이 미국내 법인과 공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군이 채택한 화기 역시 이와같은 이유 때문에 팔아먹을 물건의 매출보다 미국내 공장을 짓고 법인을 설립할 경우에 드는 투자금이 더 큰 경우 그냥 미국회사에 라이센스를 부여합니다.(대표적으로 H&K나 FN의 경우에도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까닭에 그냥 라이센스 생산권을 넘긴 바 있습니다.)

그래서 KAI는 일부 부품을 수출하고 KAI가 가지고있는 지적재산권 분야에대한 라이센스비용을 받게 됩니다.
특히 T-50은 일부 개조개발이 필요한데 그중 가장 핵심 부분을 록마가 이미 개발중입니다.(대표적으론 OFP개발부분으로 KAI는 파견직원을 통해 일부 기술에 대한 자료를 넘겨주거나, 조언을 해주고 개발에 참여하게 됩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얻은 부산물은 KFX로 흡수될 겁니다.)

따라서 T-X에서 T-50이 채택이 되면 KAI가 얻을 수 있는 이점의 경우...
미국을 제외한 다른 여타 모든 시장의 판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미군이 택한 물건이란 마케팅을 할 수 있고. T-X자체가 워낙 거대한 물량이라 록마가 다 소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생산물량을 얻게 된다.(물론 최종조립은 록마가 수행할 것이기 때문에 동체나 주익과 같은 물량을 얻게 될 가망이 높음)

그리고 T-X는 기존 T-50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기술이 집약된 신개발품이나 마찬가지라. 이 기종의 공동개발에 참여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KAI는 향후 T-50의 더 다양한 바리에이션을 미국의 승인하에 개발하고 수출이 가능해집니다.
사통팔달 15-12-17 23:14
   
가격은 아마 훈련기중 제일 비싸요.그리고 f-35사는 나라는 살가능성이 많죠.일본이야 안사긴 하겠지만
f-35조종 하기에 다른 훈련기보다 더 최적화로 나오니까요.
아이쿠 15-12-17 23:43
   
가장 큰 문제가 미공군 장비를 록마가 너무 독식하는 상태죠
아마 균형을 맞추기위해 당분간 보잉에게 사업을 몰아줄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사통팔달 15-12-17 23:52
   
미국은 록마는 전투기 보잉은 지원기(급유기 ,조기경보기,수송기) 노스롭 폭격기 이렇게 나가고있긴하죠.그런데 보잉은 사브랑하는거 안돼는게 카나드 달려서 미국은 한번도 쓴적이 없죠.완전 처음부터 설계 생산하면 가격과 시간이 안맞을수도있어서요.
도나201 15-12-18 00:04
   
동체부분과 유압부분은 수출이 가능합니다.
어차피 하청업체로서 이래저래 가격상승등으로 인해서 동체의 일정부분은 국내생산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그게 아니죠.
만약 t50이 훈련기로서 선정된다면

그후 유럽을 제외한 세계각국의 저가항공기시장의 판도가 변화하게되니까요.
f5의 교체시기와 맞물려 상당부분 인식자체가 들려지므로..

그에 따른 파급효과가 엄청나게 됩니다.
한마디로 국내 항공제조산업의 정착이라는 일대 국면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죠.

이제껏 육성의 단계에서 산업정착화가 되면서
새로운산업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라서

그저 몇대 판다의 의미가 아닌것입니다.

당당하게 그때는 자국산전투기 생산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