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12-24 08:52
[잡담] 타우러스의 대함미사일로써의 가능성
 글쓴이 : 밀리마니아
조회 : 6,465  

Taurus_ILA2006.JPG

우리가 도입한 독일제 공대지 순항미사일 "KEPD-350 타우러스" 저는 이녀석이 훌륭한 대함미사일이 될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데요. 그 이유는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기반으로 만든 대함미사일이 이미 있기 때문입니다. 



























2_img1191115142505.jpg

바로 AGM-158C LRASM입니다. 




































ORD_AGM-158B_JASSM-ER_from_B-1B_lg.jpg

(사진은 B-1B 랜서에서 발사되는 JASSM-ER)

LRASM은 JASSM의 사거리 연장 버전인 AGM-158B JASSM-ER을 기반으로 만든 대함미사일로써 사거리 1000km 수준인 JASSM-ER 기반답게 800km라는 대함미사일로써는 말도 안 되는 사거리를 자랑합니다. 














p-1_08l.jpg

(사진은 가와사키 P-1)



물론 800km라는 사정거리가 마냥 좋기만 한 건 아닙니다. 800km라는 사정거리를 살리려면 일단 800km 밖에 존재하는 적함을 탐지할 수 있어야겠고 또 너무 멀리서 쏘면 적함은 이미 도망가 뒤일 수 있습니다.(아음속입니다.) 이를 커버하기 위해선 강력한 정찰능력과 데이터링크가 필수인데요. 





































MQ-4C-Triton.jpg

바다의 글로벌호크 "MQ-4C 트리톤" 이나
































f0205060_510b79d8879d4.jpg

(사진은 P-8 AGS)

"P-8 포세이돈" 같은 해상초계기를 이용해 적함을 탐지하고 그 정보를 LRASM과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800km라는 무지막지한 사정거리가 가지는 단점을 상당부분 상쇄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rc_135_rivet_joint_by_dazzy_p-d5u58p7.jpg

(사진은 RC-135 리벳 조인트)

LRASM이 장거리 목표물에만 쓰기 좋은 무기체계냐? 아닙니다! LRASM 자체의 ESM능력으로 적의 레이더 정보를 탐지함으로써 800km라는 무지막지만 사거리를 이용해 적의 레이더를 우회해서 뒤통수를 칠 수 있습니다. 200km 쯤 거리에 있는 적함한테 쏜다고 쳐도 한참을 뺑뺑이 돌다 적의 조기경보기나 해상초계기 등 레이더망에 빈틈이 생겼을 때 적함에 날아갑니다. 적함은 자체 레이더로만 이녀석을 찾을 수 있다는 거죠. 탐지했을 때는 이미 코앞.....  비교적 근거리에 있는 표적에도 상당히 효과적인 미사일입니다. 

















EC130H-DM-731590-c.jpg

(사진은 EC-130 콤파스콜)

아예 장거리 원격지원 전자전기가 있으면 더 좋고요.



















eb105c05eb32d15c92857d20c4355278.png

(사진은 VLS에서 발사되는 LRASM 함대함 미사일)

LRASM은 VLS에서 발사하는 함대함 버전도 있는데요. 이 녀석과 SM-6를 기반으로 한 초음속 대함미사일이 R/A/UGM-84 하푼을 대체하게 됩니다. 이렇게 좋은 녀석인데 우리한테는 안 팔겁니다. JASSM도 안 팔았는데 JASSM-ER 기반인 이녀석을 우리한테 팔 리가 없죠. 


















2016122119481142182.png


(출처: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pn=1&num=207366)

그러니 우리가 만들어야 합니다. 타우러스의 사거리 연장형도 만들어야 할테고 여태까지 글을 보셨으면 눈치채셨겠지만 미사일 하나 만들었다고 땡!이 아닙니다. 그에 맞는 정찰자산과 데이터링크 능력이 필요합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한국은 비교적 영해가 좁고 세계최고 성능의 P-8 포세이돈을 도입하기로 했고 


















milstarops.jpg




425사업을 통해 국산 정찰위성 5기를 2022년까지 배치한다고 합니다.

















fb_img_1444380022397.jpg

또한 전투기 주제에 전문정찰기 뺨을 후려갈기는 F-35와 강력한 전자전능력을 가질(사실은 가졌으면 좋겠는) KFX를 운용할 겁니다.



















DOD-NAVAIR-140918-N-UZ648-005-960x640.jpg

아직 멀었지만 우리도 준비하고 있습니다.(개인적인 바램으로는 MQ-4C 트리톤도 도입하면 좋을 것 같네요.) 타우러스 기반 대함미사일도 LRASM 못지 않은 녀석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심심해서 써봤는데 생각보다 글이 길어졌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펜펜 16-12-24 11:41
   
국산 정찰위성 5기 2022년까지 배치는 정찰위성을 통해 습득한 정보를 분석할 전문인력수급이 안되면 미뤄질거라고 봅니다.

타우러스는 제가 알기로 앞으로 만들 한국형 타우러스는 지대지, 함대지, 공대지 형으로 다양하게 만드는걸로 알고요, 태생이 지상요격용이라 ESM능력과 상관이 없는놈이라 LRSAM처럼 만들기에는 어려울거라고 봅니다만..
     
밀리마니아 16-12-24 12:43
   
LRASM도 JASSM-ER 기반이잖아요. 없는 기능은 추가해야 되겠죠. 사거리 1000km이던 JASSM-ER이 800km 사거리가 줄어든 건 이유가 있다 봅니다.
          
펜펜 16-12-24 12:59
   
에...뭐 노력해서 안되는건 없으니까요..
하지만 우리 환경에 대함미사일이 그렇게 긴 사거리를 가진게 필요로 할까 싶네요.
               
밀리마니아 16-12-24 13:11
   
네 저도 당장에 필요한 물건이라고 보진 않습니다. 다만 해군력 증강에 막대한 예산을 퍼붓고 있는 중국과 일본의 위협에 맞서려면 15년 후 20년 후엔 이런 물건이 필요하리라 봅니다.
                    
킹캡틴 16-12-24 13:46
   
아닙니다.
사거리가 길어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는 북한만 상대로는 솔직히 필요가 없습니다.그런데 님이 생각하시는 국가와 상대할때 해안에 밀집해 있는 원자력발전소와 해군기지, 멀리서 대기하고 있는 경함모를 상대하기 위해서는 사거리가 중요합니다.
둘재로는 이러한 장거리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는걸 아는 상대국은 함부러 우리를 얕보지 못합니다.이건 밀매라면 여러 사례가 있으니 아실거고요.
셋째는 상대국이 제일 경계하는게 사거리다 보니 이거만 정리되면 세밀하고 공격적인 방향은 내부개발을 통해서 얼마던지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재즘 이제 우리에게 판다고 제안왔었습니다.
처음엔 그렇게 팔라고 해도 주변국 특히 일본 방해 공작으로 안판다더니 우리가 타우러스 계약하니까 갑자기 판다고 연락왔다고 하죠.
방사청 직원들 뻘짓 많이 했었는데 이거 하나만 가지고도 애국자입니다.
재즘의 절반 가격에 기술도 거저 얻고 거기다 독일 기술진과 공동개발까지 독일에서 사장될뻔한 타우러스를 살리면서 독일과 간접적인 연계까지 너무 훌륭했습니다.
이제 새로운 지대지, 함대지 미사일에 이어 지대함, 함대함, 공대함 개발을 기대해 봅니다.
                         
뚜까팬다 16-12-24 14:46
   
그건 타 크루즈로 할수있잖아요.
또 공대지로도 부분적으로 가능하다보고  스텔스전투기로 타우러스형을 운용하면 됩니다.
전쟁초기 반드시 제거해야할 대상에 한정적으로 운용할것 아니면
전략시설타격은  일반 크루즈를 대량으로 투사하는게 옳죠
즉 굳이  함대지 버전을 개발할 필요없다 봅니다


근데  원전 때리시게요?
ㅎㄷㄷ
사통팔달 16-12-24 14:51
   
타우러스는 필요해서 도입한 이유도 있지만 관통탄두 기술이 생긴다는거죠,기존에도 관통탄두가 없던건 아니였지만 벙커버스터는 전투기로 가서 딸궈야 했고 미국이 기술 이전할리가 없던거라 이탄두 적용분야가 꽤 많아요 굳이 타우러스 사거리 늘린다면 크기는 그대로면 모를까 관통탄두를 현무3 순항미사일에 적용해도 되고 제일 좋은건 탄도탄에 적용하면 벙커버스터나 타우러스보다 관통탄두 효과가 더좋아집니다.
     
밀리마니아 16-12-24 18:07
   
스톰섀도우의 경우엔 무게가 100kg 정도 늘어나고 길이가 1m 정도 길어졌습니다. 이 정도면 신경쓸 정도의 차이는 아니라고 봅니다.
12척 16-12-24 16:42
   
이렇게 쓰기 힘든데 정성들여 잘 쓰셨네요.
     
밀리마니아 16-12-24 17:57
   
감사합니다
4leaf 16-12-24 17:00
   
아음속미사일의 경우 복잡한 웨이포인트와 충분한 사거리, 스텔스가 적용이 되는게 앞으로의 길이라 생각합니다.

초음속이야 뭐 이런게 상관 없지만 레이더의 성능이 발달하고 데이터링크가 늘어가는 시점에서 아음속이란 속도의 한계를 위해서는 오히려 탐지가 힘든 스텔스성이 더 중요해지겠죠. 그래서 타우러스의 대함미사일 버전보다는 천무 같은 MLRS에 장착 가능한 중단거리 전술순항미사일의 가능성이 더 유용해보입니다.
     
밀리마니아 16-12-24 17:56
   
천무에서 발사되는 전술 순항미사일이 타우러스 지상형 아니었어요?
          
4leaf 16-12-24 21:35
   
타우러스 지상형이 아니고 따로 개발이랍니다. 배치중이란 소리도 있던데... 흠...
          
사통팔달 16-12-24 21:43
   
천무껀 전술탄도탄  개발이죠 한화에서 타우러스 지상형은 아직 계획이 없죠,확실한건 fa-50용 축소형 타우러스고 나머지는 아직 기다려봐야죠.
               
밀리마니아 16-12-25 15:25
   
아직 기다려봐야되는군요. 말씀 감사합니다.
kira2881 16-12-24 21:47
   
KFX 길이가 14.36m 밖에 안됐었나요? 15m 이상으로 알고있었는데 ㅡ
     
나무와바람 16-12-24 23:06
   
위 이미지는 예전 비밀에서 한 회원분이 만드신 거고....
KAI 나 방사청에서 그간 나온 자료에선 15.X m~16m 정도 되는 거 같아요!
태강즉절 16-12-25 21:17
   
초음속에서 쏘면...첨 속도는 초음속으로 가는거 아닌지?..물론 좀 날라가다 아음속으로  실속하겠지만..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