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6-13 20:30
[질문] 중국. 군당국은. 대만이 웅풍 2E 순항미사일을 배치하였을때.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2,500  

W020080704551468759050.jpg

Taiwanese Hsiung Feng IIE Anti-Ship Cruise Missile Coastal Defence System (1).jpg

6986099_1.jpg

mmsource_imagesgather_2007_10_8_pic02007100812502946375.jpg


대응책으로서.

어떠한 방안을 선택하여. 설정하였는지. 궁금하기도 하네요.(마지막 사진속 빨간 탄두가 2E)


유사시. 무력분쟁 발발시.


대만측이 먼저 움직일 경우.

대한민국 군당국의 킬체인처럼. 사전징후 포착시 선제타격하는. 킬체인 방식인지?.

아니면

가까운 해안에. 100Km 이상급 범위안에.

여러종류의. 고출력 재머를 설치하여. GPS 전파교란-재밍으로  미사일의 유도.비행을 방해하면서..

방어를 꾀한후.착탄시 최대한 피해를 줄인후.



중국군이 보유한 DH-10 같은 동일한 순항미사일로 보복타격을 실시하는것인지?.

궁금하기도 하지만..

왠지


일단 몇발 맞아주고.  동풍 계열 탄도미사일로. 대화력전을 전개할 가능성도 높을듯 싶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몽실통통 15-06-13 21:35
   
순항미사일은 다양한 방어체계가 잡혀있어요.

역사도 오래되었고요. 핵심은 네트워크입니다.

요즘 분위기는 지상 AESA레이다를 활용하고 접근시 가볍게 대처가 가능한 방향으로 가는듯 해요.

천궁은 탄도용이고...

비호, 천마, 신궁으로 순항미사일을 단계적으로 처리가 가능한것으로 보입니다.

이 세시리즈가 돈낭비라고 국내밀매에게 엄청나게 욕먹었는데 지금은... 아니죠.

전에는 전투기에서 순항미사일 격퇴가 호응을 얻어서 AESA, AESA, 외침속에 있었는데...
요즘은 전투기에서 이것을 요격하는것은 비효율로 비춰지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의 방식이 소개되기도 했지만 너무 비효율적이라...
이추세가 몇년후면 쏟아져 나올 레이저방어 시스템으로 옮겨갈듯 보입니다.
레이저방어도 핵심이 네트워크...

순항미사일은 느린게 약점이라... 볼줄만알면 쉽게 잡혀요.
그래서 자꾸 초음속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는듯 보입니다.
스마트MS 15-06-13 22:06
   
아직. 초음속 순항미사일 보다는. 아음속의 순항미사일이 대부분 주력인 현재의 여러군 입장에서는.
단조-기만-잡음등 다수의 복합적인 다중방식 재머를 바탕으로한  GPS 교란에.지향성 고출력 재머를 더한다면.

넓은 범위안에서 이루어지는 광역 재밍으로 순항 미사일이나 유도폭탄등이.잘못된 목표를 타격하게하는 방식은
현 군당국 입장에서도 상당히. 거북스러울듯 싶어서 말이죠.
(올해인가? KT? SK? 였나 통신사에서.대북용 대응 항재밍 시스템 구축을 개시한다고 한듯 싶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