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06-01 14:30
[질문] 이스라엘 방어시스템인
 글쓴이 : 워웍
조회 : 2,661  

아이언돔 물매 애로2 애로3 이건 구매불가능한건가요
수도권 전역을 방어하는데 조단위 비용이 들어가겟지만 기술이전 조건으로 배치하는건 어떤가요 미국기술이 많아서 미국이 반대할까요?

돔 물매 애로 사드 이구성이면 최상같은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KCX2000 17-06-01 14:37
   
모든 무기란게 공격자는 값싸게 공격하지만 방어하는 입장에선 돈이 장난아니게 깨집니다.
잠수함 한척이 밑에서 돌아다니면 그걸 막으려면 함대가 필요하죠. 그것도 한두척이아닌 적어도 10척 내외가 필요합니다. 돈이 얼마나 깨질까요?

헤지불라나 하마스가 만드는 장난감 로켓이라봐야 돈이 얼마나 들까요
반면에 이스라엘이 그거 막을려고 만드는 미사일은 발당 적어도 몇억~ 수십억이죠.

전혀 수지 타산이 안맞아요,
거기다 그걸 다 막는다는 보장은 아무도 못합니다.
그래서 북한같이 방어는 포기하고 공격에 몰빵하는 나라들은 상대국이 방어한다고 자원을 소비하게
만드는 측면이 크고 이런 이유로 우리가 미국의 md에 참여 안하는 거죠.

지금 현재로서는 수도권 뿐만 아니라 다종다양한 북한 미사일,방사포 같은것들 막을 방법이 사실상
없어요. 그중에 일부만 킬 체인으로 막거나 발사징후만 보여도 제거 한다는 거죠.
근데 이것도 그냥 희망사항일뿐입니다.
hermitovers.. 17-06-01 15:11
   
항상 느끼는 거지만 "아이언 돔"이 말 그대로 정말로 "아이언 돔"처럼 철벽 방어 우산인 줄 아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이름 하나는 잘 지었지만 .....

하마스/헤지불라 이런 소규모 집단이 로켓이나 포탄을 이스라엘쪽으로 날려봤자 그 숫자가 얼마나 되겠습니까?
만약 이스라엘이 북한처럼 대규모/대량의 다양한 탄들을 단시간에 퍼부을 수 있는 그런 국가와 싸우고 있었다면 이스라엘은 애시당초 아이언 돔이란 장난감을 고안하지 않고 다른 공세적인 방안으로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했을 겁니다.

말이 좋아 "아이언 돔"이지 실제로는 일시에 마구 쏟아지는 탄막 공격엔 "아이언 돔"은 무용지물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남의 떡은 내 손안의 떡보다 항상 더 크고 더 맛있어 보인다고 하죠?
그런 이유로 "아이언 돔"이 마치 전지전능한 철벽의 방어 우산처럼 보이는 거겠죠.
.
     
워웍 17-06-01 22:32
   
그럼 논리면 패트리어트는 왜 배치하나요? 패트리어트도 무용지물인가요
          
hermitovers.. 17-06-02 11:40
   
패트리엇이 아이언 돔 개념인가요?
어느 누구도 패트리엇을 아이언 돔과 같은 철벽 우산 방어막으로 보지도 않고 그런 개념도 아니죠.
패트리엇은 탄도탄 요격용으로 동시에 수십/수백발의 탄도탄을 요격하기 위한 것도 아니고, 싸구려 로켓이나 포탄처럼 동시에 수십/수백발의 고가의 탄도탄을 쏟아 부을 수 있는 국가는 이 지구상에서 없습니다.

비교자체가 애초부터 잘못되었습니다.
허각기동대 17-06-01 15:11
   
그럴 이유가 없어서 비싼돈 들여 안하고 있는거겠죠 아직은. 솔직히 한미동맹 놔두고 그 극도의 가성비 비효율 방어무기를 쟁여놓을 이유가 없어서 안하는거 아니겠는가 싶네요. 게다가 위협평가를 전문적으로 하는 미국 군사기관의 판단에 따르면 북의 장사정 포탄이 서울의 콘크리트숲을 제대로 통과도 하지 못할것이라고 보는등 일단 발발하면 전면전 총력전 태세로 들어가는 한국에서는 그다지 효용성이 없다고 저도 봅니다. 우리가 무서운건 재래무기가 아니라서 그외 탄도무기에 대한 방어태세와 무력화 수단에 좀더 예산집중을 해야겠지요.
호랭이님 17-06-01 15:48
   
일단 애로우3는 아직 개발중인 방어무기체계로 시험발사중입니다. 16년에 외기권 요격에 성공은 했는데 아직 실 사용 판정은 안났습니다.
그리고 애로우2는  L-sam이 담당하는 것과 겹쳐서 그닥 구매할 것 같지 않으며 아이언 돔은 윗분들이 잘 설명하셨네요.
즈믄다솜 17-06-01 15:56
   
아이언 돔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엄청 훨~~~~씬 개 허접인건 모르는 사람 빼고는 다 아는 사실 입니다. 이는 아이언돔을 만든 개발사측의 개발자가 까발린 이야기이고.. 실제로도 아이언돔의 운용을 보면.. 국경인근 도시에 롯켓이 날라들면 롯켓 발당 아이언돔 10발이 기본적으로 달라들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문제는 이 10여발이 한발도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는게 문제인거죠. 지금까지 사용으로 명중율을 %로 나타내면 3% 정도인데.. 이것도 높게 잡았다는거지요. 이런 다 알고있는 이유 때문에 그 어느 나라도 이 장비를 사들이는 나라가 없지요. 명중율이 그렇게 좋았다면 미군이 시범적으로 사서 파병 주둔지 곳곳에 배치를 했겠지요. 하지만, 미군 또한 이런 폭망스런 제품이란걸 알기때문에 논의조차 않는 겁니다. 에로우 미슬의 경우도 팩 미슬을 기본으로 만든것이라 명중율이 허벌나게 떨어집니다.  아시다시피 팩2나 팩3의 명중율이 10% 내외 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무리 잘 만들어봐야.. 에로우의 명중율은 거기서 거기란것이 드러나는 것이구요. 이스라엘 제품 가격대비도 가성비도 정말 알고보면 허접 스럽습니다. 이스라엘제 레이더 그린파인의 경우에도 여러 이유로 고장률이 장난 아니지요. 이런 보완점을 이스라엘이 하는게 아닌 우리측에서 보완하고 만들어 달고 있다는게 우스울 뿐입니다.  KFX의 aesa 개발을 이스라엘과 손잡고 하는데.. 솔직히 좀 우려가 되기도 합니다. 어쨌거나.. 이스라엘제 무기 특히 요격 미슬쪽은 절대로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차라리 그 돈으로 러시아쪽에 문의를 하는게 더 효율적이지 싶기도 하구요. 지금까지는 러시아 기술 지대로 빨고 있는 우리니깐요.
꾸물꾸물 17-06-01 17:02
   
아이언돔등의 문제점은 윗분들이 말씀하셨고...

조지부시 정권에서 ABM 파기하고 본격적으로 MD밀어붙이기 시작했는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러시아와 중국은 ABM체계 개발보다는 ICBM 현대화 및 개발을 취하고 있지요.

가성비가 좋다는건 비교대상이 어딘가에 따라 달라지는데다가, 제작사 혹은 판매자의 카탈로그와 실제 성능간 차이(대부분 더 떨어지겠지요. LG 백색가전이 아닌다음에야!?)

가성비 비교대상이라고 말하는게 같은 목적의 무기체계를 말한다기보다 대응체계를 봐야겠지요. 가성비가 좋다거나 수지가 맞아야 한다가 되려면 창과 방패를 비교했을 때 창보다 방패가 더 싸다거나, 혹은 양자간에 비용차이가 크지 않다가 되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