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06-01 22:49
[질문] 일본 GPS 위성이 6cm 급이라는데.
 글쓴이 : 블루그린
조회 : 3,085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01/0200000000AKR20170601085700073.HTML?input=1195m


日 GPS 위성 '미치비키' 발사 성공…"위치오차 6㎝ 구현 가능"


(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와 미쓰비시(三菱)중공업이 1일 위성항법시스템(GPS) 위성 '미치비키 2호기'를 탑재한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 위성은 이날 오전 가고시마(鹿兒島)현 다네가시마(種子島) 우주센터에서 H2A로켓에 실려 발사돼 예정됐던 궤도에 진입했다.

미치비키(みちびき·안내, 인도, 유도라는 뜻)는 지상에서 발사되는 전파를 포착해 발사 지점을 측정하게 된다.

GPS 위성은 내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에서 차량이나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폭넓게 이용된다.

일본의 위성과 미국이 구축한 GPS 위성 시스템을 조합하면 위치 오차는 1m 이내로 줄어들게 된다. 특히 특수한 GPS정보 수신 기능을 갖춘 수신기의 경우 오차는 6㎝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일본은 연내에 추가로 2기의 GPS 위성을 발사해 총 4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각각 고도 3만3천~3만9천㎞ 상공에서 궤도를 돌게 된다.

한기당 8시간 정도 일본 부근 상공을 지나며 위치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만큼 4기 체제가 완료되면 항상 1대 이상의 GPS 위성이 일본 상공을 비행하게 된다.

산케이신문은 이 위성들을 자위대도 이용하게 되는 만큼 필요시에는 북한의 전파 방해를 피할 고도의 보안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전했다.

북한의 방해전파, 가짜 신호에 의한 교란를 피하기 위해 고도의 암호화를 거친 특수한 위치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탑재했다는 것이다.

=====================================================================

기사 내용을 보고 궁금한게 일본이 6cm 오차라면 도대체 미국은 오차가 얼마라는 건가요?

미국 GPS 위성의 군사용도 오차가 얼만지 아시는분 링크라도 걸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위대도 사용한다니 일본넘들 차근차근 하나씩 군사화 시키고 있네요. 나쁜넘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그린박스티 17-06-01 23:37
   
미국은 gps 위성이 24기로 알고 있는데..... 성능 개량이 계속 이루워졌다면;;; 일본과는 비교 할 수 없지 않을까요?; 그런데 일본도 미국 gps위성과 연동해야 6cm 선이라니까...흠...;
다나끔 17-06-01 23:42
   
미국 GPS는 나온지 40년 지난 물건인지라, 새로 개발해서띄우는 애들(갈릴레오,북두,QZSS등)보다는 오차범위가 좀 더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CM 단위라고 하더군요. 중국애들 올린 북두도 오차범위 수CM라고 하네요.
하나둘넷 17-06-01 23:46
   
원론적인 이야기입니다.

일본의 항법위성 체계인 미치비키가 6cm수준의 정밀도를 구현한다는 건 기사에서도 나오지만
"특수한 수신기"를 사용했을 때의 경우입니다.

마찬가지로 미국 GPS 역시 "특수한 수신기"를 사용하면 실시간 위치 측정에서 cm레벨의 성능 보여줍니다.
그리고 짧은 시간이 아닌 긴 시간을 들여 측정을 시도하면 mm레벨의 성능까지 가능합니다. 

High-end users boost GPS accuracy with dual-frequency receivers and/or augmentation systems. These can enable real-time positioning within a few centimeters, and long-term measurements at the millimeter level.

http://www.gps.gov/systems/gps/performance/accuracy/#difference

GPS급 시스템들은 다 유사한 물리/수리적 법칙과 그 계산에 근거해서 만들어지는 관계로
관련된 인자들을 어떻게 통제하느냐에 따라 정밀도가 달라집니다.

그리고, 그런 인자에는 수신범위내의 위성숫자, 위치장애물(수신에 장애를 일으키는), URE,
기상환경 등등이 존재할 수 있겠는데 이런 인자들을 극복하고 정밀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많은 GPS급 위성들이 단일주파수가 아닌 이중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이용한 위치측정으로
정밀도를 올리고 있으며 미국 GPS위성 역시 이중주파수 수신과 이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이
도입된 수신기, 즉 "특수한 수신기"를 사용하면 cm급 위치보정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 외에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GPS위성의 이중주파수를 수신하는 방법이 아닌
GPS 신호는 단일주파수로 하되 지상기반 위치 정밀도 보조측정수단으로 Wifi신호나
이동통신 기지국 신호를 병행수신해서 정밀도를 올리는 방법등도 존재합니다.
블루그린 17-06-02 00:12
   
답변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이런건 우리도 cm 레벨 성능 구현도 가능하겠군요.
빨리 한국형 발사체 완성해서 위성들 좀 많이 쏘아 올려야 될텐데요.

인공위성은 세계 탑레벨이라니 발사체만 완성하면 군사위성도 많이 쏘아 올릴 수 있겠군요.
amunt 17-06-02 08:15
   
1. 일본의 QZSS는 SBAS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이 SBAS는 GPS나 글로나스 등을 대체하는 것이 아닙니다.
  GPS 측위 후 '오차 보정'을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단순,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C/A코드 단독측위 정확도를 기존 15~20m 에서
  1~3m 수준으로 개선시켜주는 효과가 있지요.
  과학 분야를 위해 특수한 조건이 맞는경우 기사처럼 cm 단위 측위가 가능합니다.

2. QZSS와 같은 SBAS 시스템이 없더라도
    현재 수준에서도 측량용 GPS를 이용하면(RTK-GPS, VRS, FKP 등)
    1~2cm 수준의 정확도가 확보되고 스테틱측위를 장시간 하게되면 mm 단위 정확도도 가능합니다.

3. 우리나라도 국토교통부에서 sbas 시스템을 준비중입니다.
  몇 해 전 2018년까지 인공위성 발사를 한다 들었는데 진행상황은 잘 모르겠네요.

4. 군용 GPS로는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SBAS 시스템은 '오차의 보정'이고 이때 '오차'를 얻기 위해서는
    상시적인 GPS 기준점을 운영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북한에 미사일을 발사한다 하더라도
    북한 영토 내 (그것도 표적과 가까운곳)에 GPS 기준점을 운영하지 않는 이상
    '오차 보정량'을 계산할 수 없지요.


5. 군용 GPS의 장점은 민간용인 15~20M 오차 보다는 2~3배 정도 정확도가 높지만
  중요한 것은 측위 정확도 보다는 GPS 재밍 등에 대응하는 능력이 좋자는 점에 있지요.
4leaf 17-06-02 09:42
   
갈릴레오도 민간용이라서 결국엔 군용은 미국제입니다.
     
amunt 17-06-02 09:48
   
갈릴레오의 경우에도 정부기관만 사용할 수 있는 측위 전파가 별도로 있습니다.
사실상 미국 GPS의 군용 PY코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