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12-12 16:18
[해군] 하푼으로 야마토를 잡을 수 있을까?
 글쓴이 : 강성대국
조회 : 7,257  


d0018050_478d5f25b9e2b.jpg


 
표- 1 각종 무기의 탄두작약/탄두질량비
무기 명칭 탄두 중량
[kg]
작약 중량
[kg]
작약/탄두의
중량비
[%]
비고
대함 미사일 AGM-84 221.4 97.5 44.0 하푼의 반 철갑탄두
항공 폭탄 Mk82/500lb 226.8 87.1 38.4 무 유도 항공폭탄
Mk83/1000lb 453.6 174.6 38.5 무 유도 항공폭탄
유탄(포용) 93 식 유탄 40.6 7.8 19.1 45 식 150mm 고압포 에서 사용 
92 식 유탄 36.0 7.7 21.3 150mm 곡사포 에서 사용
91 식 유탄 16.0 2.5 15.8 100mm 고압포 에서 사용
93 식 철갑유탄 40.2 5.5 13.6 150mm 고압포 에서 사용
92 식 철갑유탄 36.0 6.2 17.1 150mm 곡사포 에서 사용
91 식 철갑유탄 15.7 2.3 14.5 100mm 고압포로 사용
전차 포의 철갑탄 95 식 철갑탄 6.6 0.065 1.0  3 식 중 전차 
함포의 철갑유탄 460 mm 91 식 철갑탄 1460 33.9 2.3 전함 용 철갑탄(철갑 유탄)


● 하푼의 관통능력

하푼을 철갑탄으로 가정하고 고전적인 방법으로 관통능력을 추정해보자. 
표-2 460mm 91식 철갑탄, 410mm 91식 철갑탄 및 AGM-84 Harpoon의 관통 능력에 대한 추정과 비교
(ps. 전함 철갑탄 vs 하푼,,,,, 과연 어느정도의 관통력 일까 추정하는 표 인듯)   
탄환 지름 속도 중량 운동 에너지 단면적 계수
(jacob)
계수
(Tresider)
계수
(Krupp)
관철 능력
(실제)
관철 능력
(jacob)
관철 능력
(Tresider)
관철 능력
(Krupp)
D V M E=0.5*M*V^2 A=0.25*π 0d^2 K
(jacob)
K
(Tresider)
K
(Krupp)
H H
(jacob)
H
(Tresider)
H
(Krupp)
[m] [m/sec] [kg] [MJ] [m^2] [m] [m] [m] [m]
460mm
91식 철갑탄
0.46 475 1460 165 0.1662 1.869E-08 7.201E-07 6.494E-08 0.42 0.42 0.42 0.42
410mm
91식 철갑탄
0.41 452 1020 104 0.1320 0.32 0.31 0.34 0.33
하푼 0.34 238 500 14 0.0924 ?? 0.08 0.10 0.10


ps. 저는 솔직히 봐도 모르겠고.......... 위 표의 결론은 460mm 전함포가 420mm를 관통한다. . 하지만 하푼은 100mm로 추정된다.

09.jpg





[추정 방법]
추정은 보편적인 3개의 공식을 사용했다.

1)Jacob de Marre식
1870년경 프랑스의 Jacob de Marre가 고안한 실험식이다. 
일본에선 1915~1945년에 해군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같은 시기 미국 및 영국 또한 사용하던 실험식이다. 

H=K·(M/D1.5)0.714)·V1.43

2)Tresider식(Moisson식)
1870년 영국의 Tresidder대위가 고안한 실험식 이고. 일본은 러일 전쟁때 해군에서 Jacob de Marre식과 병용하여 사용하였다.

H=K·(M/D)0.5)·V1.5=K(M, V3/D)0.5

3)Krupp식
독일의 Krupp사가 개발한 실험식.

H=K·(M/D1.67)0.75)·V1.5

다만 각 식의 계수........
K는 사거리 30km의 460mm 철갑탄에 탄속으로 장갑의 수직으로 내려올 경우에 관통능력은 420mm로 산출했다. 
또한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410mm 철갑탄의 사거리 30km의 관철 능력도 같은 계수를 사용해 계산하고 있다.
하푼에 대해서는 진입 속도를 순항 속도인 856km/hour=238m/sec을 사용하였다. 또한 돌입시의 중량을 500kg로 추정하였고, 직경은 0.34m로 계산했다.

[계산 결과]
전함포의 철갑탄인 410mm에 관통력은 Jacob de Marre식에선 310mm, Tresider식에서 340mm, Krupp 식에선 330mm라는 결과가 얻었다. 
그렀다면 하푼은 Jacob de Marre식에서 80mm, Tresider식 및 Krupp식에서 100mm라는 결과가 얻었다.

b0050805_4ceca710197b0 (1).jpg



● 하푼 탄두의 강도
위의 추정 계산은 하푼을 단지 철갑탄으로 가정해 계산한 것이고 실제 하푼은 탄두나 작약, 탄두의 중량을 대비하면 큰 항공 폭탄과 동등 한 것이다. 하지만 그 폭발력은 약한 편이다.

그림 1각 모델의 단면 이미지
모델 1 모델 2


표-3 탄두중량 대비 장약의 양 44%(항공폭탄)과 2.3%(하푼)
반구 부분 모델1 모델2
바깥 지름 Dr 0.340 0.340 [m]
두께 tr 0.018 0.112 [m]
내지름 Dri=D-2tr 0.304 0.116 [m]
바깥 지름 Rr=D/2 0.170 0.170 [m]
내반경 Rri=Dri/2 0.152 0.058 [m]
반구 부분의 전체 부피 Vr=(4/3)π Rr^3 0.0206 0.0206 [m^3]
반구 부분의 작약의 체적 Vrc=(4/3)π Rri^3 0.0147 0.0008 [m^3]
반구 부분의 외각의 체적 Vra=(Vr-Vrc)/2 0.0029 0.0099 [m^3]
외각의 비중 ρ a 7800 7800 [kg/m^3]
작약의 비중 ρ c 1500 1500 [kg/m^3]
반구 부분의 외각의 중량 Mra=Vr*ρ a 22.9 77.1 [kg]
반구 부분의 작약의 중량 Mrc=Vrc*ρ c 22.1 1.2 [kg]
반구 부분의 전체 중량 Mr=Mra+Mrc 45.0 78.3 [kg]
원주 부분
바깥 지름 Dc 0.340 0.340 [m]
두께 tc 0.018 0.112 [m]
내지름 Dci=Dc-2tc 0.304 0.116 [m]
바깥 지름 Rc=Dc/2 0.170 0.170 [m]
내반경 Rci=Dci/2 0.152 0.058 [m]
원주 부분의 전체 단면적 S=π Rc^2 0.0908 0.0908 [m^2]
원주 부분의 작약의 단면적 Si=π Rci^2 0.0726 0.0106 [m^2]
원주 부분의 외곽의 단면적 So=S-Si 0.0182 0.0802 [m^2]
원주의 높이 h 0.700 0.700 [m]
원주 부분의 전체 부피 Vc=S*h 0.0636 0.0636 [m^2]
원주 부분의 작약의 체적 Vci=Si*h 0.0508 0.0074 [m^2]
원주 부분의 외곽의 체적 Vco=So*h 0.0127 0.0562 [m^2]
원주 부분의 작약의 중량 Mci=Vci*ρ c 76.2 11.1 [kg]
원주 부분의 외곽의 중량 Mco=Vco*ρ a 99.4 438.0 [kg]
원주 부분의 전체 중량 Mc=Mci+Mco 175.6 449.1 [kg]
전체
전체의 작약의 중량 Mc=Mrc+Mci 98.3 12.3 [kg]
전체의 외각의 중량 Ma=Mra+Mco+Mb 122.3 515.1 [kg]
전체 중량 220.6 527.4 [kg]
작약 중량비 44.6 2.3 [%]


[계산 결과]
작약, 탄두 중량 44%인 항공폭탄은 탄각의 평균 두께가 18mm이고 2.3%의 하푼에서 112mm 라는 계산 결과가 나왔다. 
그 치수를 이미지 한 것이 위의 그림이고 그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지만 항공폭탄의 탄각은 매우 희박하다. 
이 같이 얇은 탄각의 탄두가 장갑에 충돌하면 탄두 자체가 붕괴해 관통 능력이 현저히 저하된다.
1 風帽
2 피모 머리
3 피모
4 탄체
5 알루미늄 블록
6 코르크 케이스
7 작약
8 지연 신관
9 신관 설치 자리
10 유도 링
11 底螺


철갑탄의 구조도를 살펴보면 장갑에 충돌시 충격에 견뎌기 위해, 충돌부엔 다양한 방법(충돌 면을 두껍게, 성질이 다른 금속으로 강도를 높인다.등)을 사용 하지만 
하푼의 작살형 탄두에서는 이러한 궁리도 거의 무 의미하다 보면 된다.
위 사항을 종합해보면 하푼의 탄두 관철능력은....

장갑에 대해선 극히 한정적인 것이며, 본인이 추정한 계산 결과 정도가 한계인것 같다.


Yamato_Trial_1941.jpg


● 전함 야마토의 방어 장갑과 대함 미사일에 의한 피해

전함이라 하면 모든 표면이 두꺼운 장갑으로 덮여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보면 가장 중요한 부분만 집중 방어구역(바이탈피트)이란 호칭으로 방어하고 있다.
이것은 자신의 포로 설정된 교전 거리에서 관통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야머토 또한 예외는 아닌지라 야마토의 460mm포에 철갑탄으로 30km거리에서 관통되지 않는 집중방어 구역을 가지고 있다. 

하푼은 목표함에 돌입할 때 호프 업(상승)한 뒤 목표함의 수평 갑판에 거의 수직으로 낙하한다. 
야마토의 상단 갑판은 35~50mm두께인 것을 상기하면 하푼의 탄두로도 확실히 관통한다. 

그러나 함교 부근은 상단갑판 아래 집중 방어구역이 있고 200mm장갑 철판이 있는 관계로 
하푼 관철 능력으로 관통할 수 없다. 
그리고 탄착에 의해 치명상의 우려가 있는 탄약고, 엔진 룸, 지령실, 주포등은 집중 방어구역 내에 있는 것이어서
하푼으론 파괴하기 힘들다. 
b0052733_01061830.jpg


한편 집중 방어구역 이외의 부분(안테나, 레이더, 기관총, 고사포, 부포(부포), 함교의 많은 부분, 굴뚝, 선원실, 캐터 펄트 등)이 파괴는 가능하므로 이 부분이 전부 파괴되면 전투 행동에 지장을 주게된다. 

또한 탄착마다 승무원은 죽을 수 밖에 없고 가장 무서운 것이 화재 발생이다.

제2차 세계대전을 살펴보면 많은 함선이 침몰하지는 않았지만 화재로 인한 치명적인 손해를 보았고 
결국엔 함을 포기 또는 자침에 이른다는 결말이 있다. 
대함 미사일에는 폭약이 담긴 탄두 이외에 비상시 사용하는 추진제(연료)도 탑재하고 있으며 이것이 화재의 원인이 되는 일도 많고 관통 능력이 낮다고 해도 결코 만만한 무기는 아니다. 


● 결론 
1) 대함 미사일은 전함 야마토의 집중 방어 구획을 깰 수가 없다. 따라서 격침은 어렵다. 
2) 대함 미사일도 집중 방어구획 이외의 부분은 파괴가 되는데.....
 명중 할 때마다 사상자가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재가 발생 할수도 있다. 
 이것들에 의해 선박의 운행 전투 행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고 명중탄 수와 운에 따라서는...
 전투불능-화재발생 → 포기= 자침이란 시나리오도 가능하다.   

참고 WebSite:
·"Military Analysis Network"URL:http://fas.org/man/index.html
·"전사 연구"URL:http://www.bekkoame.ne.jp/~bandaru/

출처
http://sus3041.sakura.ne.jp/contents/calcula/yamato_vs_harpoon.htm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마트MS 13-12-12 16:59
   
호오라.
일격필살은!!!은 힘들지만.
명중탄의 수. 피격 지점의 예상피해 등여러요소에따라서 전투불능.침묵까지 유도할수 있다.볼수 있겠군요.
ㅎㅎ 잘 보고 갑니다.
저는 밑의 게시물에 작성한것처럼. 대함미사일의 격침론 입장이긴 하지만. 일격.단발 격침이 아니라. 전제조건으론. 수발을 타격하는것이여서. 현대의 유도탄 병기에 전세대의 전투함은 생존률이 낮다고 보는 견해라서 말이죠.
광개토 대왕급의 하푼 4x2d이면. 충분히. 아웃레이지로. 전함의 막강한 방어력도.무력화시킬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단순히. 부분적인 접근으로 전함의 방어력만 고려해보면. 분명히 만만치는 않은. 전함이네요.

아쉬운것은. '전함' 이란 예시함중. 사우스다코다.미주리 와. 야마토등. 전함의 준수함 방어력을 지닌 특정함만. 그래서 그렇지. 전함의 장갑중 가장 취약한. 갑판장갑이.208mm/ 187mm/200mm급인. 이들 대신.
콜로라도.테네시.퀸 엘리자베스.로열 소버린.샤론호스트.비스마르크.카이오 두일리오.같은. 비교적. 갑판장갑이. 낮은 전함이라든지.
그리스.브라질.아르헨 해군의 작은 규모의 전함은.상대적으로 위력을 발휘할듯 보여지기 때문에.
어떤 전함이냐에 따라서도. 달라질수 있겠네요.
(워낙. 대중적으로. 다코타.미주리.야마토.킹조지5세.비만르크 등에..;;)
     
토막 13-12-12 17:34
   
예시가 2차대전 전함 그중에서도 얼마전까지 현역에서 돌아다녔던 아이오와급이 였기 때문이죠.
게다가 콜로라도 테네시 퀸엘리자베스 이런 아래 나열하신 전함들은 1차대전때 만들어 졌거나 그때 설계개념으로 만들어진 배들이죠.
이런 애들은 2차대전때 급강하 폭격기에 500kg급 폭탄에도 파괴되곤 했었죠.

뒤에 나오는 전함들 일수록 점점 갑판장갑이 두터워져 폭격기의 폭탄도 점점 커졌죠.
2히힛 13-12-12 17:11
   
하푼은 힘들겠지만 러시아의 그라니트 정도라면 일격사가 가능할지도?
억이 13-12-12 17:14
   
저도 하푼이라면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재수없으면 20~30발맞아도 전투불능은 되겠지만 침몰 자체는 버틸수도 있어요...

하지만 러시아쪽 초음속 대함미사일이면 소수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토막 13-12-12 17:39
   
그런데 참 야마토라는게 걸리네요.
당시 일본이 금속제련능력이 떨어져서 장갑이 아주 허접했거든요.
게다가 제네들이 말하는 스펙과 실제 성능 차이가 어마어마해서.

야마토 주포 최대고각이 45도 인데. 이걸로 대공포로도 사용할수 있다고 했죠.. 삼식탄으로..
그런데 야마토 주포는 최대고각으로 쏘면 바로 고장난다고 하더군요.
역시 금속제련능력이 떨어지다 보니 그 충격을 감당 못한다네요.
     
데스투도 13-12-12 17:53
   
딱 발제글 보고 하고 싶었던 말이네요.

그런 주제에 이런 배에 자동 장전 장치를 우겨 넣을 려고 했었다죠. ;;;;;;;;;;

물렁쇠라 예시가 되기는 적합하지 못한 듯요.
          
스마트MS 13-12-12 18:08
   
그렇죠. 그런주제에.
항속력을 높이기 위해. 자국산. 디젤기관을 주기관으로 넣을려고 했다가.
기술의 성숙도가 높지 않아. 잔고장이 많아. 대신. 증기터빈기관을 박아버렸죠
뿐만 아니라. 다른 전함에서 철거된 순양함 주포를 떼어다. 전함의 부포로 삼았는데.
이게. 경 순양함 주포여서. 포탑방어력이. 포탄파편이나 막는정도라서.방어력 문제도 지적당하기도 했고.
구조상. 주포탑과 부포탑 연결부문이. 묘해서. 관통탄이. 부포 탄약고에 인화하면. 가까운
주포(!)의 탄약고 까지 유폭의 위험성까지 내포하고 있는 부분방어력의 구조설계가. 시궁창 이기도 했다죠.ㅎ
분명. 나가토나. 무츠나. 야마토나.무사시나. 수치....스펙상의 수치는. 탑클래스이긴 한데.
그 수치의 3/2만 믿어야 할듯...(너무 후한가;;)
               
데스투도 13-12-12 18:1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제는 워낙 병맛이라... 스팩을 전혀 믿을 수 없어서
그냥 그러려니 해야죠.

그런 주제에 요즘 2차대전 때의 자국 전함들을 빨아제끼는 소설이나 에니같은 걸 마구 만들어 내고 있다던데요. (이놈들~ 아무리 픽션이라도 밀단 밀리물이라면 기본적인 설정 정도는 사실에 근거해서 만들어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