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6-02 17:24
[해군] 2선급 해군들의 항공모함들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3,015  

미영프러중 같은 해군강국을 제외하고 2선급 해군들이 보유중인 항모를 보면

<< 일본>>
전수방위 원칙 때문에 대놓고 항모 도입을 주장하진 않지만 
이즈모급 2척은 배수량 2만 7천톤급 248 미터 헬기 항모로 언제든지 준항모로 개조 가능한 설계임.
개조시 F-35 B 12 대를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현재 개장과 도입을 검토중입 
이는 미국의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프랑스 드골 항모 등들 과 크게 차이나는게 아님.
그외 일본은 독도함 급인 휴우가 급 2척도 보유하고  있음. 
즉 사실상의 항모 보유국이라고 보아야 하고 이는 한국도 참고할 만함.  
즉 한국은 바로 이즈모급에 대항할 준항모가 필요한 것임.

<<인도>>
오래전 부터 영국제 항모를 운항해 왔으며 
4만 5천톤급을  스키점프식 함모를 러시아로 도입해 2014년 부터 운영중 
길이 283미터  전투기 Mig-29K 26대 + 헬기 10대 규모

2014년 부터 4만 1천톤 급을 인도 자체 건조중 2020 진수 예정
4만 1천톤급 260미터 스키점프식 
Mig29 12대 경전투기 8대 헬기 10여대 적재 예정

<<스페인>>
1988년 해리어 수직이착륙기  12 대 탑재하는 항모 건조 운영하다 현재 2013년 후안카를로스급으로 교체 
습상륙함으로 만재 2만 7천톤급  길이 230 미터  현재 헤리어 11대 + 헬기 12대 운용가능 주력전차 최대  운송 40대 가능
터키와 호주에도 수출했고 현재 F-35B 로 교체 운영검토

<<이탈리아>>
2008년 2만 7천통급 길이 244미터  해리어 8기 헬기 12 기 운용
육군병력 수송 겸용 현재 F-35B 탑재하기위한 개장 완료

<<미국>>
미국은 정규항모 뿐 아니라 4만톤 급의 와스프급, 아메리카 급 강습상륙함을 운용하고 있는데 
다른나라의 항공모함 보다 더 우월 한 급이지만 세계 대양를 지배하는 미국 해군이니까... 
따라서 2선급 해군 말석인 연안해군 한국해군에는 크게 참고가 되지 않음. 

<<그외>>
호주 - 도입의지는 있지만 비용문제로 현재는 캔버라급 (= 스페인 후안카를로스) 강습상륙함 2척 운용중
터키 - 호주와 마찬가지로 후안카를로스급을 스페인에서 도입 운영중
브라질 - 프랑스제 퇴역 항모(3만 2천톤) 를 운항했으나 현재 경제난으로 운용포기하고 매물로 내놓음.
태국 - 1만 2천톤급  헬리콥터 항모로 항모로 부르기 어려움
네델란드 는 인도네시아 식민지 때문에 운용했으나 독립후 필요가 없어져 퇴역.
아르헨티나 - 영국제 항모를 운영했으나 포클랜드 전쟁에도 구경만 해야하는 등 
           실전에서 쓸모 없어 현재 퇴역 해체됨. 

즉 한국이 운용한다면 일부에서 주장하는 7만톤급 정규항모는 한국 해군력과
항모 필요성 등등에 비해 오버 라도 한참 오바이고 
현재 제안된 4만 톤급 경항모도 인도해군 같이 인도양같은 대양에서 작전할 수 없는 
한국해국 에서는 실전에서는 유용한 가능성이 낮고 아르헨티나 항모처럼 될 것임. 

그러니 한국 해군이 제안한 인도의 항모 정도인 4만 톤급 경항모와  
현재 운영중인 1만 9천톤급 독도함급 (2척) 의 중간정도인 
2만 7천-3만톤급 에 함재기 10대 정도를 탑재하는 수준의  준 항모 정도 
즉 일본 이즈모급이나 스페인의 후안 카를로스 급이나 이탈리아 항모 정도가  
현재 한국 해군의 규모에 적절한 규모로 사료됨.
다만 일본 이즈모급과는 달리 처음부터 F-35B 운용을 전제로 설계하면 됨. 

운용 할 기종은 F-35B 10 대 와 10여대의 헬기 를 목표로 함.
병력수송이나 강습상륙함 기능은 축소하면 달성 가능할 것으로 사요됨.
 
이 정도면 항모반대론자 들이 가장 반대하는 비용 문제도 훨씬 완화 할 수 있고 
국회나 국민들을 설득하는 데도 훨씬 쉬울 것임. 이렇게 항모 반대론자 들이 
많은 현 상황에서 4만톤 급 건조는 여러모로 무리이니 항모로 개장 후의 
일본 이즈모급에 대항하는 것이라고 하면 설득하기가 수월 해짐. 
또 2007년 취역한 독도함 등 2척도 2030년대에는 교체가 필요하니 
이 함모를 독도함을 대체하는 함선으로 자리매김 할 수도 있어서 
병력이나 운영비용 등의 문제도 어느정도 완화 시킬 수 있음. 
또한 최소한의 항모의 역할도 할 수 있고 항모보유국이라는 타이틀을 가져 
과시와 의전의 효과를 달 성할 수 있음.

다만 항모옹호론자들을 만족시키기고 독도함 대체 명분을 세우기 위해 
중 장기적으로 2 척을 건조할 것을 제안함.
늘 바다에 나가있을 수 없는 함선의 특성상 실질적으로 써먹으려면 
1천은 부족하고 중장기 적으로 2척은 되어야 제 역할을 할 것임.
그러니 일단 2만 7천 톤 급 1척을 건조하고 이를 운용해 경험을 쌓은 후 
한 10년 후에 다시 1척을 건조해 2척을 갖춤. 
또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않는 위험분산도 고려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푹찍 21-06-02 17:44
   
대부분 주변 바다가 평화로운 국가들이군요 ㅋ
     
이름없는자 21-06-02 17:51
   
하지만 한국은 주변 적이 대부부 1천 km 이내의 내해에 가까운 연안 바다라 항공모함이 활약할 대양이 아니지요. 급유기+ F-16 급의 단거리 전투기로도 충분히 해전을 치를 수 있는 지역입니다. 제주 해군기지 + 제주 신공항 정도면 불침 함모라 굳이 정규항모의 필요성이 낮지요.
아그립파 21-06-02 17:49
   
군사력 현시=의전 이 아닙니다. 자꾸 두 개념을 혼동하시는듯..
푹찍 21-06-02 17:52
   
9시 프로토스가 캐리어 띄웠는데 배틀 찍고 싶다?
야마토 배틀 한부대 갈거 아니면 닥치고 사업 골리앗만 주구장창 찍어내야죠 ㅋ
이 동네는 풀옵 아니면 살아 남을 수 없습니다 ㅋ
     
이름없는자 21-06-02 18:32
   
누가 풀옵 좋은 줄 모르나? 그럼 왜 자동차 회사는 그걸 옵션으로 내놓을까? 다 돈문제지. 한국해군은 현재로는 풀옵 1대 보다 옵션 빼고 급도 낮춰서 2대를 사는 게 더 유용함.
          
푹찍 21-06-02 19:28
   
말이 짧다? ㅋ
그러니깐 풀옵 아니면 의미 없으니깐 풀옵 뽑자고 어? ㅋ
아니면 아예 뽑지를 말던지 응?
그 소리 하고 있는건데 낄낄 ㅋㅋㅋ
ranteria 21-06-02 18:45
   
스페인 이탈리아는 냉전시기 흑해함대 대응이고 추가로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들여오는 자원선 을 지키는 세력입니다. 2선급이라고 평가절하 할수 없죠 미국이 괜히 6함대를 보내는 지역이 아닙니다. 인도는 방글라데시 독립때 항모전단으로 재미 짭잘하게 봤죠.
우리가 항모들 도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거대한 해병대를 상륙세력으로 제대로 써먹기 위함입니다. 항모 반대하려면 해병대 감축부터 이야기 하는게 맞는 순서라 봅니다.
     
이름없는자 21-06-02 19:02
   
네 해병대는 축소해야 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해병대를 줄이고 그 돈으로 해군을 보강해야 한다고 요. 한국 해병대는 미국 해병대에 이은 세계 제 2위의 엄청난 규모입니다. 세계 3위와도 큰 차이가 있는 사실상 미군 빼고는 유일하게 해병 사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리보다 훨씬 해군 규모가 크고 대만침공을 준비중인 중국도 우리보다 해병대 규모가 적었습니다. 해병대 상륙작전이라는 개념이 현대전장에 적절하지 않고 한국 해병대도 사실상 육군 특수부대와의 치별성도 별로 없습니다. 그러니 장기적으로 해군소속 해병대는 축소되고 육군 기동 특수 부대 로 재편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야구아제 21-06-02 19:03
   
그렇게 따지면 우리나라 특전사도 절반 이상 줄여야 하고, 특공 부대도 줄여야 합니다.

왜냐고요? 너무 많으니까.
          
ranteria 21-06-03 01:09
   
우리나라는 섬이 많은 나라고 그 많은 섬의 도서방위를 육군에게 이양하면 그게 그겁니다. 지금 규모가 과다하긴 하지만 불합리한것도 아닙니다. 더군다나 상대는 해군이 동서로 분단되 있고 육상 기동로 또한 거대한 산맥으로 동서로 분단되어 이런 상황에서 후방을 노릴수 있는 제대로된 상륙세력이 존재한다는것만 으로도 충분히 전선 전면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일수 있습니다. 추가로 우리군이 6.25로 전차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다면 상대는 상륙전으로 인한 전선군 섬멸의 트라우마가 있습니다.
     
야구아제 21-06-02 19:04
   
해병대 작전을 원할하게 하려면 항모가 아니라 상륙함이 필요한 겁니다.
          
ranteria 21-06-03 01:05
   
상륙함은 이미 연대급은 충분히 상륙시킬 수준은 됩니다.(최대 여단급) 하지만 그 상륙세력에 항공우산이 전무하죠 기본적인 항공우산 정도는 씌워줘야할 시기가 온겁니다.
               
rozenia 21-06-03 23:47
   
항모가 해병대에게 좋은역할을 해줄수있는것은 사실이지만 개념과 현실모두에서 해병대와의 호흡은 상륙함입니다. 확장해도 강습상륙함정도죠.

항모는 애초에 단독 항공전투단으로서 가치가 있는것이지 해병대와 묶어놓으면 가치가 떨어집니다.

무엇보다 욕심이 아닌 현실에서 해병대가 단독작적을 할수도 없을뿐더러 하는것도 좋지 않습니다. 병력이 2위일뿐 장비와 훈련체계, 병력배분과 구조 모든면에서 신속대응군으로 분류할수있는 병력은 전체의 30%도 안되는게 지금의 해병대입니다

화력과 항공지원 등 수많은 부분에서 타병과의 지원을 받는게 지극히 당연하구요. 미군이 아닌이상.
토막 21-06-02 21:07
   
항공모함 이라고 해놓고 강습상륙함이 참 많죠.?

제발 항공모함이 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세요.
나그네x 21-06-02 22:18
   
언급한 함정들은 엄밀히 말해서 항모들이 아니군요. 개인적으로 항모급들로 인정하는 함선들은 미해군 빼고.
프랑스 드골급,인도의 비크란트급,영국의 퀸엘급만 항모급으로 생각함.
다른나라들은 상륙함베이스에 뭔가 추가한 느낌.
     
토막 21-06-03 06:21
   
프랑스 드골급도 병력 수송 900여명 화물 50톤이라는 스펙이 붙어있죠.
사커좀비 21-06-03 15:12
   
헬기항모, 준항모...
도대체 항모의 정의가 뭔가요?
     
rozenia 21-06-03 23:53
   
개념자체만 보면 항공기가 이착륙하며 군사작전을 실행할 수 있는 군함이 항모겠죠.

다만 상륙함에 아무리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해도 상륙이 주목적이기에 드라이독이나 엘레베이터등 여러설계상으로 항공기운영에 제약이 많은 게 상륙함인것처럼

경항모라는건 결국 배수량, 즉 비행갑판의 공간제약이 있는 적은 항공기를 운영할수 있는 항모겠죠.
문제는 10-20여기의 항공기가 중동이나 아프리카국가가 아니라 세계군사력 1-5위가 우글거리는
동북아에서 큰 역할을 하긴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헬기항모라는것도 결국 항공기운영에서 헬리콥터를 주 작전기체로 하는 헬기전용항모겠죠. 주로 상륙, 병참, 고속침투 등에 이용되겠죠

준항모라는건 비유적 표현이라고 봅니다. 예를 들어 강습상륙함이지만 수직이착륙 전폭기 10-20여기를 운영할수 있기에 유사시 항모능력도 활용할수있는 경우, 취역은 강습상륙함이지만 항모로서의 기능도 기대할 수있는거죠.

다만, 결국 중형항모의 더 많은 함재기들을 상대하거나 중국 일본 러시아같은 항공세력이 강한 상대로는 준항모나 경항모의 항공전력으로는 의미가 없겠죠.

물론 이모든것은 저의 생각이고 판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