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11-28 10:05
[질문] 초공동 어뢰에 대해
 글쓴이 : 마다가스카
조회 : 3,527  

밑에 유튜브가 설명 하는거처럼  물속에서 시속 800km가 넘는 속도로 움직이는게 맞나요? 그리고 그걸 우리가 개발 한다면 솔직히 초음속 대함 미사일과 더불어 해전에서 더 이상 수상함의 전력우위가 통하지 않는 시대가 될거 같은데.
일본이나 중국도 저런 어뢰를 개발하거나 보유중인가요?
아님 저 유튜버가 오바한건지 궁금 하네요.

https://youtu.be/00oChG-jAEc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떡국 19-11-28 10:11
   
250km/h 정도 되는 놈은 벌써 개발 끝났고, 800km/h는 개발중이라는 이야기죠.
그런데 초공동어뢰는 관성유도 이외의 다른 유도방식은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잠수함으로 적함을 "저격"한다는 느낌이지 않으려나요.

그런데 중국은 "초공동 잠수함"을 개발중이라고 나오더군요.
https://www.yna.co.kr/view/AKR20140824031951074
5800km/h 속도로 태평양을 100분만에 횡단.. ㅎㅎ
대팔이 19-11-28 10:14
   
수중속도가 시속 800km가 넘는지는 몰겠지만... 쨌든 엄청 빠른것만은 사실.....
다만 초공동어뢰의 약점은 수중속도가 빠른데다가 대가리부분에서 진공효과가 발생하기때문에 기존어뢰의 유도센서를 달수가 없음....
현재로서는 걍 빠른 수중 포탄?
꾸물꾸물 19-11-28 10:36
   
영상에 나온 바라쿠다는 어뢰 요격까지 목표로 두고 개발중인 체계입니다.

수상함의 전력 우위는 어뢰 하나로 뒤바뀌지 않습니다. 물론 상황이 어떻게 주어지냐에 따라

교전국면에서 현재도 수중전력이 나을 때도 있고 반대일 때도 있죠.

더욱이 통상 함대를 구성해 다니게 되며 대공, 대수상함, 대잠전을 고려한 배치와 기동이 따르게 되죠.

미국의 경우(타국은 모르겠지만) 함모전단에 잠수함이 따라붙기까지 하죠.
도나201 19-11-28 11:05
   
초공동어뢰의 가장 큰 두려움중하나가..
바로 대응체계가 없다라는 것입니다.
수중에서 굉음을울리며 다가서도 피할수 있거나 방어할수 있는 체계자체가 없다라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눈에 뻔히 보여도 전혀 대응할수 없는 상황이라는것이 가장 큰 두려움이죠.

시속800KM는 독일에서 개발한 초공동어뢰의 속도고.. 이게 세계최고임.

현재 초공동어뢰는 각국에서 다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특이하게 개발방향을 갖고 있습니다.
뭐 시속 500KM정도로 예상되고 ..
종말단계에서 속도를 줄이면서 관성유도에서 유도센서를 이용한 1KM내에서 유도센서로  격침된다고 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일본이 초공동어뢰쪽에서 상당한 성과를 이룬것도 사실이고,
중국도 이미 실전배치직전까지 가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명중률에 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있는 무기체계여서
몇가지 기술적인 난항점이 ..
바로 고체연료사용. (고체연료탄도탄 개발 보유국만 가능)
어뢰상단의 기포발생장치
관성유도로 인한 유도방향조절이 상당히 어려움.(유선유도방식이 불가, 자체유도센서기술을 장착해야함.)
정말이지 이러한 기술적인 한계가 많이 존재하는 분야임.
또 탑재 기기의 대형화.. 잠수함. 함정에 장착하려면 상당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탐지체계개발 및
유도체계 등등 .. 애매한 부분이 많은 무기체계임.

오히려 초초음속 대함미사일의 개발이 더위력적임.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공격이 가능함.
즈믄다솜 19-11-28 11:54
   
지금까지 초공동 어뢰를 사용하는 방법은 상대방 함정이나.. 잠수함을 먼저 발견하고.. 최대한 1키로 내로 가까이 접근해서 움직이는 동선을 예측하고.. 그 방향으로 쏴대는 거죠. 허벌나게 빠른 속도로  직진 운동으로 조져 버리는 방법! 이게 아직까지 운용하는 방법입니다.  최근 방법은 먼거리에서 포착하고 우선은 쏴대죠.. 적 함정이나 잠수함이 발견된 근처 지점에서 어뢰가 잠시 멈추거자 저속으로 진행이 이뤄지면 그때 액티브던 자력식이던 항적음이던 맞춰놓은 상태로 방향을 다시 잡고 그 방향으로 내리 다시 달려 가는거죠. 아직은 그런 식으로 밖에는 운영을 못합니다.
벌레 19-11-28 13:40
   
초장거리 극초음 지대함 미사일 연구로 대부분 선회되고 있습니다.
선박으로 공격하는 것도 위험하고 아예 땅속의 사일로에서 발사시켜버릴 셈인 거죠.
나그네x 19-11-28 21:54
   
초공동어뢰.. 생각보다 상당히 예전부터 개발해오고 있었고 또는 개발된 어뢰인데 유튜브 찾아보면 오래전 실험영상도 있다는..
하지만 생각보다 이슈가 안되는 이유가 이 초공동..초고속어뢰가 아직까지는 생각보다 단점도 만만치 않아서.
nigma 19-11-29 19:15
   
개인적 생각으론 어차파 비슷한 추진방식 쓰는 것 차라리 목표물 근처에서 수상으로 나와 날아서 타격하는 것도 좋겠사 싶습니다.
수중에서 800km까지 가능하다면 그보다 낮은 속도라도 물 밖 비행에선 빠를 테니 근처에서 물 위로 올라 미사일로 타격하면 적의 대응도 어렵고 물밖에서 목포물의 정확한 식별도 용이할 것이니 괜찮을 것 같은데 우리 국방과학연구소에서 함 기술적으로 가능성을 따져봤으면 좋겠네요.

여담입니다만 요새 현시창님 바쁘신지 글이 별로 안보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