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4-23 17:43
[사진] 풍산이 새로운 155mm 포탄 생산공정 연구중
 글쓴이 : 노닉
조회 : 4,400  


풍산에서 새로운 포탄 제조 공법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음


이건 K307포탄을 제조할 때 노즈부분의 성형에 대한 새로운 공법을 연구한 내용임. 문서 링크는 아래에 있음


https://www.kais99.org/jkais/journal/Vol21No06/vol21no06p80.pdf


대부분의 포탄은 비행 중 공기저항 최소화 및 비행 안정성을 위하여 앞이 뾰족한 유선형의 형태(Ogive 형상)를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탄약의 Ogive 부의 형상 제작 방법은 대부분 소성가공 공법인 Press Nosing 공법을 적용하고 있음


이 Press Nosing 공법은 Fig. 1에서 보는바와 같이 Press로 금형에 맞게 찍어내어 뾰족하게 형상을 만듬


장점은 후가공이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가공비 절감이 가능하며, 소재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음


단점은 소성가공 한계가 낮아 1회 Nosing으로 외경이 50 %이상 수축시 키는 경우 미성형 또는 파열, 표면 뜯김과 같은 불량이 높게 발생함. 가령 155mm짜리 원통을 프레스로 77mm까지 한꺼번에 줄이는 경우 그런 성형불량이 생길 수가 있음.


때문에 K307 탄체와 같이 단면감소율이 높은 제품의 경우 프레스로 찍기전에 성형이 잘되도록 모재를 말랑말랑하게 만들어 줄 필요가 있음.그래서 프레스로 찍기전에 금속을 가열한 후 금속의 물성을 약화시킨 상태에서 프레스로 찍어냄. 이걸 소둔이라고 함. 그 외에도 공정 전, 후 윤활 공정도 들어가야함


그래서 이런 부수적인 공정을 줄여서 생산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Rotary Swaging 공법을 이 포탄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검토하였음.


이 공법은 예전 다산 총열 얘기 나올 때 나왔던 공법임. 2만발 수명보장하는 총열을 만들 수 있는 설비라고 군갤에서도 몇번 얘기나왔었지. 그 이후 S&T도 스웨이징 설비 도입했다지. 아래는 해당 공법의 원리니까 참고하셈


Rotary Swager - Torrington Forming Machinery

https://youtu.be/3rkul-LTW6Y


Rotary Swaging 공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음


설비비가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비숙련자의 작업이 용이 원소재의 칩 발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소재의 절감 효과가 큼 소둔 공정 불필요 윤활이 필요 없으므로 윤활제 미사용에 따른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음 현재 적용되고 있는 Press nosing의 16개 공정에서 3개 공정으로 축소 생산 비용 절감 및 공정 관리 상의 이점 단면 변화율의 경우 최대 80 %이상으로 가공성이 매우 유리



그래서 ¼ 축소 모형으로. Swaging 성형 전, 후 및 시료의 단면감소율에 따른 경도의 변화, 소재의 두께 변화량, 금속학적 성형조직 등이 어떠한 경향으로 나타나는지를 평가하였음.


우리가 얼핏 보기엔 아주 단순해 보이는 공법이지만 소재의 장입 이송속도, 스핀들의 회전수, 소재의 회전여부, 회전속도, 금형의 테이퍼, 금형의 클리어런스 등등 우리가 알 수 없는 많은 인자들이 그 성형성을 좌우하고 있음.


스웨이징 공법이 성형성 좋은 편이라고 해도 단면감소율이 큰 K307 탄체는 단 한번에 최종 요구 치수까지 소성가공이 어려움. 그래서  1차 Swaging(Ø27.5), 2차 Swaging(Ø19.0) 2회에 걸쳐 2차 소성가공을 실시하였음. 그래서 아래 2가지형태로 나누어 시험하였음


1) 1차 Swaging 후 바로 2차 Swaging으로 완료하는 방법 2) 1차 Swaging 후 공정소둔을 실시하고 2차 Swaging으로 완료하는 방법


그래서 금속 튜브를 실제 가공에 들어감 현재의 K307은 단면감소율이 75% 정도임 



일단 성형품 치수 검토결과는 양호하였음. Nose 끝 부분의 탄체 신관나사 가공 부위의 내경이 요구치수를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단면감소율 75%에서는 크랙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가공한계를 알아내기 위해서 단면 감소율을 76%로 더 높히자 크랙이 발생함. 즉 75%의 단면감소율이면 거의 크랙이 발생 임계치로 알려짐.


중간에 소둔공정을 거치면 성형한계는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지만 그렇게 되면 생산비용절감이라는 본목적과 배치되기 때문에 딜레마임


어차피 성형을 좌우하는 다른 인자들이 있으니까 아마 좀 더 연구하면 소둔공정을 쓰지않고도 성형한계를 좀 더 높힐 수도 있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해보고 있음.


혹시나 해서 포탄생산에 이 공법이 쓰이냐 해서 찾아봤는데 우연히 아래 동영상을 찾았네


122mm 포탄 생산에 쓰이고 있음. 이미 포탄 생산공정에 쓰이고 있는 만큼 곧 155mm생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거라고 봄


REPKON   ROTARY HOT SWAGING MACHINE

https://youtu.be/GjOjN47VD0E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3287477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태지2 23-04-23 17:54
   
풍산주식 사려 했는데 지금은 가격이 많이 올라서... ㅎㅎ
6~8월 쯤 주식가격 동반 하락할 것이라고 하던데... 그 때 기회가 될 수 있을지..
안전운전 23-04-23 20:57
   
밀게인데  설마  탄약 포탄 장약 구분못하는 사람은 없겠죠?  저밑에 탄약 폐기해서 전시비축탄  안부족하다는 바보 있던데  전시비축탄은  포탄/장약이고  장약같은 경우 습기에 약해서 적정기간이있어서 폐기순환합니다. 근데 포탄은? 155mm 포탄을 폐기한다는 개소리는 없어야겠죠?  정게 2찍중에 그런놈들이 있었서  밀게는 없길
     
돌쇠3 23-04-23 21:44
   
그걸 구분할 능지가 있으면 2찍 안하겠죠.
     
archwave 23-04-24 03:33
   
뭘 갖고 말하는지 모르겠지만,

155 mm 포탄 몸통 자체를 폐기할 일은 없겠죠. 안에 작약 교체하면 될테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녹슬었다든지 더 이상 안 쓸 탄종이라든지 여러가지 이유로 폐기하는 물량은 발생합니다.

구형 포탄의 경우 신형 포의 약실 압력을 이기지 못 할 경우 역시 발생할 수 있고요. 이런 경우 장약 몇 호까지만 써야 한다는 식으로 제약이 생길 수 있으니 안전을 위해 폐기하는 편이 나을 수 있음.

참고로 일반적인 고폭탄의 경우 작약 교체에는 20 만원 드는데, 포탄 값은 40 만원.

포탄 몸통이 부식된 경우 작약도 불량이 되었을 가능성이 엄청나게 높죠.
작약 교체하고 포탄 몸통도 교체하거나 부식 제거하는 비용이면 그냥 폐기하고
새 포탄 구입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겠네요.